보일의 법칙
일정온도에서 기체의 압력과 그 부피는 서로 반비례한다는 법칙으로 1662년 아일랜드의 R.보일이 실험을 통하여 발견하였다.
감사합니다.
압력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
기체의 압력이
나타나는 이유
"
기체 분자의 운동
"
기체의 분자 운동으로 나타나는 힘
넓이에 따른 압력
운동화와 하이힐
고무풍선 속의 압력
풍선 속의 기체 분자들이 끊임없이 움직인다.
출처: ebs, google, 지식백과
출처: ebs
일정한 넓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의 크기가 클수록 압력이 크게 작용한다.
압력(N/㎡) =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
(힘의 받는 면의 넓이)
운동화보다 하이힐의 면적이 더 좁기 때문에 더 아프다.
기체의 압력
기체 분자가 끊임없이 운동하면서 용기 벽에 미치는 단위 면적당 힘
①모든 방향으로 같은 크기로 작용한다.
②기체 분자의 횟수가 많을수록 압력이 커진다.
기체 분자들의 운동으로 인하여 풍선의 벽면에 힘을 가한다.
압력의 이용
참고 자료
압력을
크게
하는 경우
삽의 끝이 뾰족하면 땅을 더 쉽게 팔 수있다.
칼날이 날카로울수록 잘 썰린다.
못, 송곳, 압정, 주사 바늘 등을 뾰족하게 만든다.
압력을
작게
하는 경우
스키를 신으면 눈 속에 잘 빠지지 않는다.
일반 자동차보다 트럭의 바퀴 수가 많다.
탄산음료 캔의 바닥을 오목하게 만든다.
Boyle's law
Present Remotely
Send the link below via email or IM
Present to your audience
- Invited audience members will follow you as you navigate and present
- People invited to a presentation do not need a Prezi account
- This link expires 10 minutes after you close the presentation
- A maximum of 30 users can follow your presentation
- Learn more about this feature in our knowledge base article
기체의 분자 운동으로 나타나는 힘
No description
by
Twe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