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 Remotely
Send the link below via email or IM
Present to your audience
- Invited audience members will follow you as you navigate and present
- People invited to a presentation do not need a Prezi account
- This link expires 10 minutes after you close the presentation
- A maximum of 30 users can follow your presentation
- Learn more about this feature in our knowledge base article
전통건설기술-한옥(완료)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영역 우리나라의 전통 건설 기술
Transcript of 전통건설기술-한옥(완료)
태양의 남중 고도를 이용하여 한여름에는 뜨거운 햇볕이 건물 안에 드는 것을 막아 주고 한겨울에는 햇볕이 많이 들어와 따뜻하게 하였다.
처마
우리나라의 전통 난방 방식으로, 아궁이에 불을 때어 방바닥을 데운 후 방바닥에서 방출되는 열로 방 전체를 따뜻하게 한다. 열의 전도, 복사, 대류를 모두 이용한다.
온돌
한옥은 못을 사용하지 않고 나무에 홈을 파 맞물려 연결시켰다. 이는 못이 부식하거나 나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기둥
벽의 모든 재료는 자연에서 온 것이다. 특히 흙은 습한 날씨에는 습기를 머금고, 건조한 날씨에는 습기를 내뿜는 가습기 역할을 한다.
벽
흙과 짚
강회
대나무
나무+새끼줄
바닥에 기단을 쌓아 마당보다 높게 집을 지었는데, 이는 빗물이 넘치거나 바닥의 습기가 올라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기단
빗물이 오목한 길을 따라 바깥쪽으로 흘러내릴 수 있게 한다.
기와
- 방안의 온도 습도 조절
- 강렬한 햇빛을 막아 방안의 자연조명 역할
- 공기가 잩 통하여 자연환기
창호지
- 방과 방사이를 이어줌
- 땅에서 올라오는 습기, 먼지 열기를 막아붐
- 따뜻한 남부지방에서 발달
마루
Full transcript처마
우리나라의 전통 난방 방식으로, 아궁이에 불을 때어 방바닥을 데운 후 방바닥에서 방출되는 열로 방 전체를 따뜻하게 한다. 열의 전도, 복사, 대류를 모두 이용한다.
온돌
한옥은 못을 사용하지 않고 나무에 홈을 파 맞물려 연결시켰다. 이는 못이 부식하거나 나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기둥
벽의 모든 재료는 자연에서 온 것이다. 특히 흙은 습한 날씨에는 습기를 머금고, 건조한 날씨에는 습기를 내뿜는 가습기 역할을 한다.
벽
흙과 짚
강회
대나무
나무+새끼줄
바닥에 기단을 쌓아 마당보다 높게 집을 지었는데, 이는 빗물이 넘치거나 바닥의 습기가 올라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기단
빗물이 오목한 길을 따라 바깥쪽으로 흘러내릴 수 있게 한다.
기와
- 방안의 온도 습도 조절
- 강렬한 햇빛을 막아 방안의 자연조명 역할
- 공기가 잩 통하여 자연환기
창호지
- 방과 방사이를 이어줌
- 땅에서 올라오는 습기, 먼지 열기를 막아붐
- 따뜻한 남부지방에서 발달
마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