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Postmodernism and Postmodernity

기본적 정의

<포스트모던 문화와 포스트모던 사회의 특징들>

  • 문화와 미디어의 강력한 영향
  • 경제나 사회생활이 산업노동을 통한 물품생산보다는, 상징과 라이프스타일의 소비중심
  • 실재에 관한 관념과 표상을 의심
  • 서사와 역사 대신 이미지와 공간이 문화 생산의 원리
  • 패러디, 패스티쉬,아이러니, 팝 절충주의 등의 스타일 대세
  • 소비적 도시풍경으로 엔터테인먼트, 레저, 라이프스타일 서비스, 쇼핑몰, 놀이공원, 아케이드 등이 형성됨
  • 혼종성이 분류체계를 흔듬.

포스트모더니즘 :

모더니즘의 미적/예술적 코드를 거부하는 스타일.

포스트구조주의에서 출현하여, 모더니스트 사유를 거부하는 철학적 이론적 입장 포괄.

DEFINITION

포스트모더니티 :

모더니티의 단계를 넘어선 것으로 여겨지는 사회발전의 한 단계. 동의어로 포스터모던 시대가 있다.

문화와 문화소비,미디어,정보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근본적 전환이 있다는 관점.

포스트모던화 :

모더니티로부터 포스트모더니티로의 전환을 추동하는 사회변동과정을 지칭.

지구화 :

기존의 정치, 문화, 경제적 경계들의 소멸로 세계가 점점 더 상호연결되는 과정을 지칭.

포스트모던 건축들:

유희적, 혼종, 패스티쉬, 대중적 기호코드, 직선보다 곡선, 막다른 골목

Art & Culture

모더니즘 예술?

모더니즘적 예술: 자기지시적 예술

20세기 초 예술의 변혁

- 회화의 대상성이 사라지고 추상회화가 등장

- 음악의 화성이 사라지고 무조음악이 등장

- 연극의 인과관계가 사라지고 부조리극이 등장

- 시의 의미가 사라지고 무의미시/구체시 등장

Kandinsky, Composition 8 (1923)

Stéphane Mallarmé , Un coup de dés (1897)

Mondrian, New York (1942)

포스트모더니즘 예술?

포스트모더니즘 예술

Duchamp, <L.H.O.O.Q>(1919)

<패스티시>

Friedrich Jameson on parody/pastishe

"Pastishe is, like parody, the imitation of a peculiar or unique, idiosyncratic style, the wearing of a linguistic mask, speech in a dead language. But it is a neutral practice of such mimicry, without any of parody's ulterior motives, amputated of the satiric impulse, devoid of laghter"

"패스티시는 공허한 패러디, 유머감각을 상실한 패러디"

"it is simply done because it is stylish"

유희적, 분절적, 패스티쉬, 비합리성.

교훈이나 메시지 조롱, 천재나 예술가같은 지위 조롱, 예술의 숭고한 가치 비판, 저급예술과 고급예술의 경계 도전

<키치>

"똥의 절대적 부정" (밀란 쿤데라)

"천박함, 반복과 단조로움, 권태감을 자아내는 세상의 시시한 것들에 축복의 세례를 내린다."

<캠프>

진지하게 굴지말고 놀것을 제안. 가벼움, 경박함, 도덕적 엄숙주의에 대한 거부, 스타일에의 탐닉. 고급예술과 아방가르드에 대한 반발인 동시에 대중문화를 포괄한 후기 자본주의 시대에 조응.

"풍요로움이라는 정신병리를 견뎌낼 수 있는 사회의 문화"

앤디 워홀의 팩토리

포스터모더니즘

사회이론

POSTMODERNITY

THEORY

Jean Franscois Lyotard

장 프랑수와 리오타르

Lyotard

거대 서사의 종말

거대 서사는 어떤 통합 양식을 사용하든 상관없이, 그리고 추론의 서사이든 해방의 서사이든 상관없이, 자신의 신용을 잃었다.

지식과 경험을 성공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이론이나 세계관(맑스주의 등)을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

진리의 불가능성, 보편의 부재, 휴머니즘 비전에 대한 포기

비산업사회의 종교적 역할을 하던 서사, 그리고 산업사회와 계몽주의 하에서 진보 이성 지식 해방의 이념을 주던 서사의 종말

그 결과, 지식은 과학자와 전문가에게 위임되며, 연구는 축소되고, 전문영역으로만 할당된다.

Baudrillard

Jean Baudrillard

장 보드리야르

시뮬라크르 (Simulacre)

:원본도 기원도 없는 복제물

1. 원본의 모방(플라톤)

2. 원본-모방의 연결성 해체

3. 원본없는 이미지의 실재

문화체험관광

다큐멘터리

히로시마 원자폭탄 TV 중계

NEW HIRE

If there’s more than one new employee, you can add more subtopics like this one.

Name, Department

Start date

WHAT'S NEXT

논쟁점

January

March

February

CHANGES

CHANGES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