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Lesson08
Perspective
[perspective]
1. 관점, 시각
2. (문제 해결을 위한 사고에서의) 균형감
3. 원근법 (한 점을 시점으로 하여 물체를 원근법에 따라 눈에 비친 그대로 그리는 기법.)
3. 원근법 (한 점을 시점으로 하여 물체를 원근법에 따라 눈에 비친 그대로 그리는 기법.)
원근법 = 한 점을 시점으로 하여 물체를 원근법에 따라
눈에 비친 그대로 그리는 기법.
지평선(수평선) =
눈높이(Eye Level)
"투시는 지평선(수평선)을 기준으로 시작한다."
= 눈높이(Eye level)은 물건의 폭, 깊이, 높이의 선이 모이는 점.
지면에 대해 평행한, 폭, 깊이 방향의 소실점은 반드시 눈높이(Eye level)에 위치함.
= 눈높이(Eye level)보다 위에 있는 물체는 올려다보는 구도,
아래에 있는 물체는 내려다보는 구도가 된다.
= 평평한 지형에서, 같은 크기의 사물(인물)이
눈높이(Eye level)에 걸리는 부분은 거리에 상관없이 동일하다.
https://expertphotography.com/wp-content/uploads/2020/06/perspective-photography-alexander-schimmeck-zeA_VTcRalE-unsplash.jpg
https://i.pinimg.com/originals/0d/a7/e1/0da7e1f056a15dff2d863d8e3247434e.jpg
- 소실점 = 1개
- 화면이 하나의 소실점으로 집중
- 가로수 길이나 기찻길, 큰 길 등을 그릴 때
주로 쓰며 대각선 구도로 나타난다.
- 소실점 = 2개
- 2개의 소실점으로, 3차원의 공간감을
나타내는 기법.
- 사선을 이용하여 주로 웅장한 건물이나
골목길 등을 표현할 때 쓴다.
- 소실점 = 3개
- ‘공간 원근법’이라고도 하며 소실점 셋이 화면의 양쪽과 위나 아래에 존재.
- 주로 빌딩, 전경 등을 표현할 때 쓴다.
- 소실점 = 4개
- 소실점 넷이 화면의 양쪽과 위아래에 존재.
- 투시선에 곡선이 추가되면서 왜곡이 발생하기 시작.
- 소실점 = 5개
- 화면의 상, 하, 좌, 우 그리고 중심까지 소실점 5개가 존재.
- '어안 렌즈(Fisheye)'라고도 한다.
1) 퍼스 자 만들기
(1) 레이어 메뉴에서 만들기
- 레이어 메뉴 -> '자/컷 테두리' -> '퍼스자 작성'
- '1점 투시', '2점 투시', '3점 투시' 중 선택
(2) '자' 도구에서 만들기
- 보조도구에서 '퍼스자' 선택
- '소실점 추가'하여 선 긋기
2) 퍼스 자의 요소
[아이 레벨]
: 파란 색 수평선
[소실점]
: 물건의 폭, 깊이, 높이의 선이 모이는 점
: 지면에 대해 평행한, 폭, 깊이 방향의 소실점은 반드시 아이 레벨에 위치
[가이드 선]
: 소실점에서 연장하는 1쌍의 선. 소실점에는 반드시 포함
: 작화할 때의 가이드 외에 소실점의 위치를 결정할 경우 컨트롤러로도 사용.
[보조선]
: 1점 투시, 2점 투시의 경우에만 표시.
: 높이 방향의 수직선을 나타내는 보조선.
[핸들]
: 자 전체나 소실점, 가이드선, 보조선마다 존재하는 각각의 요소를
조작하기 위한 점.
3) 퍼스 자 조작하기
- 퍼스 자를 만든 다음 '조작'툴의 '오브젝트'로
퍼스자를 선택한 뒤에 조작
- 아이 레벨(Eye Level)선 조작하기
ㄴ 수평인 파란 선
ㄴ 선 위에 있는 핸들 드래그 = 각도 조작
- 소실점 조작하기
ㄴ 아이 레벨 선 위의 구멍뚫린 원이 '소실점'
ㄴ [아이 레벨 고정] 체크 여부
- 스냅 전환하기
ㄴ 가이드 선 부근의 '<I>'를 클릭하여 전환
ㄴ 스냅 유효 = 보라색 <I> / 무효 = 녹색 φ
<1점 투시>
<2점 투시>
<3점 투시>
<3점 투시>
<1점 투시>
<2점 투시>
<3점 투시>
= 8강 실습 과제 : 잠깐 실습 1, 2, 3(했던 그대로) + 실습 1, 2, 3
= 잠깐 실습 : 사이즈 자유
실습: 해상도:144 / 1457px*2064px[B4] / 가로세로 구별 X
= jpg 파일 제출.
= 파일명은 '0X반_실습08_학번_이름_잠깐실습01.JPG'
'0X반_실습08_학번_이름_실습01.JPG'
ex) 01반_실습08_19450815_마동석_잠깐실습01.JPG
01반_실습08_19450815_마동석_실습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