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content…
Loading…
Transcript

21420029 영어과

장새롬

4장 아동기 인지 발달과 신앙 생활

II. 인지 발달

나는 말이지..

무엇보다 아동심리에

관심이 많았다네.. 나는 내

아이들을 중심으로 아동들의

사고발달을 관찰하고

방법으로 아이들의 심리를

연구했다네... 허허

인지 발달...

인지가 무엇

인지 궁금하지

않나요?

난 피아제라고

하네

임상적인

: 알다, 인식하다의 의미를 가짐

즉, 아는 것, 이해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되겠어요!

사람의 이상행동을

이해하고 정신이 건강

하지 못한 자의 치료를

위하여 발전된 심리학

의 한 연구방법이다.

그런데 인지는 혼자 쓰이지 않고 계속해서 발달이란 단어가 따라 붙습니다. 4장의 소제목들을 살펴봐도... I. 뇌와 지각발달, II. 인지 발달, III. 정보처리 능력 발달

한 사람이 인식하고 이해하는 과정이 보편적인 어떠한 단계를 거치는데.. 그거슨!! 발달의 과정을 겪는 것이다.

1980년 임종까지 피아제는 다양한 봉사 및 교육활동을 했으며, 생의 마지막 해에도 그의 집에서 아동 사고의 본질과 발달에 관한 저술과 연구를 계속함

스위스의 심리학자,

논리학자, 제네바 대학

교수

마치 유딩, 초딩, 중딩, 고딩이 괴어가는 과정에서 인지 발달이 이루어지는 구나 . 그래서 우리가 신앙교육을 할 때에도 이 인지 단계를 숙지하여 그 나이 특성에 맞게 교육을 해야하는 구나

아하

IV. 인지와 신앙교육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은.....

참여하는 교육

그래서 우리가 인지 발달에 대해 공부해야 하는 이유 같아요...

  • 그의 인지 발달 이론은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어떻게 그리고 무엇으로 지식이 구성되는지에 대한 이론이에요

우리는 이스라엘의

창조교육의 핵심이자

인지발달을 돕지!

I. 뇌와 지각 발달

자녀들이 신앙적인 삶에 직접 참여하여 몰두할 때만이 제대로 되어질 수 있다. 그래서 이스라엘 교육은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는 교육을 첫번째로 손꼽는다.

  • 피아제는 인간의 인지 발달이 4단계로 이루어진다고 보았어요(2 페이지 참고)

1) 뇌 발달

2) 인지 발달

  • 인지구조가 질적으로 변화한다고 하였다. (주요 개념 설명은 2페이지 참고)

대화하는 풍토

III. 정보처리 능력 발달

(자세한 설명은 2페이지 참고)

참여

토론

창의력

1. 하브루타

나이, 계급, 성별에 상관없이 두명씩 짝을 지어 탈무드를 펼치고 한구절씩 읽어가며 서로 질문하고 대화하고 토론하고 논쟁하는 것, 또는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다.

2. 질문

유대인 부모는 아이에게 가르치기 위해 질문한다. 자녀들이 스스로 자기 답을 알아내게 하는것이다.

이스라엘 교육법

뇌와 인지 발달의 단계를 크게 신생아 - 영 유아기 -학동기 로 나눠서 살펴 볼 수 있습니다. (교제 96-100 참고)

3. 부모가

아이들과 열심히

놀아준다.

1. 놀이도 학습도 또래

아이들과 함께한다.

(아이들은 항상 4-5명의

그룹을 이뤄 활동)

2. 밤마다 성경을

읽어준다.

창의력 개발

1. 보이지 않는 하나님에 대한 신앙

2. 유대 민족의 지혜의 보고인 토라교육, 탈무드 교육

1. 피아제 인지 발달 단계

2. 인지 발달 이론의 기본개념

인간의 인지는 동화와 조절을 통해 발달한다.

도식:배경지식+사고구조

동화 : 새로운 정보가 기존의 도식과 비슷하여 받아들이기 용이할 때 일어난다.

조절 : 새로운 정보가 기존의 도식으로는 받아들이기 힘들 때 (이것을 두고 인지적 불균형이라고 한다), 기존의 도식을 수정하여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인다.

동화는 인지의 양적 변화가 일어나고, 조절은 인지의 질적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다.

3. 기억의 과정

3. 20-30초 동안 기억 유지, 새로운 정보

입력시 기억에서 사라짐

1. 시각, 청각, 촉각 등을 사용해

부호화하여 입력한다.

만약 내가 이 텀블러를 기억하려고 한다면..

먼저 분홍색이 눈에 띄네. 꽃도 보이고 스타벅스가

적혀 있고

-형태를 탐색/파악 후에 그 형태 자체로 기억하는

과정을

-이렇게 부호화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말 그대로

-내가 저장한 정보를 꺼내쓰는 것을

정보 투입

단기기억

부호화

저장

인출

감각 기관

장기기억

반응결과

2. 외부에서 감각기관에 정보가 들어오면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저장

4. 투입된 정보가 비교적 영속적으로

저장되는 기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