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아름다운 한반도
화성암과 지형
1) 화성암의 종류
중생대 화성암
심성암
2) 분포 지역
화산암지형
- 제주도(신), 울릉도(신), 독도(신), 철원·한탄강 용암대지(신), 백두산(신)
심성암지형
- 심성암중 화강암은 서서히 냉각되었기때문에 광물의 크기가 비교적 크다
변성암과 지형
1. 변성암의 종류
- 규암-사암이 변성
- 편마암-셰일이 변성
- 대리암-석회암이 변성
- 화강편마암-화강암이 변성
2. 변성암 지대에서 잘 나타나는 지형
판상절리
선캄브리아 변성암
- 지하에 있던 화강암체가 지표에 노출 되면서 압력감소에 따라 절리가 생기고 절리에 침투한 물의 동결작용으로 암석이 붕괴되면서 표면이 벗겨져 나가 현재와 같이 정상부가 돔형으로 된 암봉을 이루게 된 것이다.
- 판상절리는 하중의 제거로 지표에 동심원으로 평행하게 발달되는 절리를 말한다 (압력감소)
북한산, 불암산의 화강암
돔 형성 과정
한반도의 지형적 특징
1.쥐라기 중기에 선캄브리아 시대의 변성 퇴적암을
화강암질 마그마가 지하 약 5~10km 깊이에 관입함
2.쥐라기, 백악기 사이에 단층활동이 일어남. 단층선을
따라 침식이 심화됨
3.북한산, 불암산에 돔이 형성됨
카르스트 지형
석회암-지하수에 의한 화학적 풍화
삼척, 울진, 충북 단양 등
삼척 환선굴
평창 백룡굴,
영월 고씨굴 등
- 기존의 암석이 지하에서 높은 열과 압력에 의해 변성작용을 받아서 생성된 암석
ex)지리산, 태백산,
소백산, 백령도 등
해안 지형
- 중생대의 화강암이 지하의 관입한 후 풍화와 침식작용을 받아 융기하였다
- 북한산 인수봉은 판상절리에 의해 암석표면이 양파 껍질처럼 벗겨지고, 정상부는 화강암 등이 이루고있다
서해 - 해안선이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
조차가 크고 (아산만, 평균 8.5m), 간석지가 발달
동해 - 해안선 단순, 사구,석호, 사빈 발달
경기도 북한산
남해 - 해안선이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
화산 지형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지형
화산섬, 용암 대지, 고원, 용암 동굴, 응회암층, 주상절리, 협곡, 폭포, 온천 등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낭림산맥과 태백산맥의 축
대부분 하천은 서해나 남해로 흐름
동고 서저 지형
대이작도
강원도 설악산
퇴적암과 지형
1) 퇴적암
2) 퇴적 구조
고생대 퇴적암
해성층(바다)
백령도
경기도 연천
한탄강
경기도 북한산
백령도의 지질
-대부분 규암
두무진-규암
콩돌해안-규암의 침식
사곶해안-규암의 침식
석영모래로 되어 있어 버스가 지나다닐 정도로 단단하게 굳어 있음.
유사시 활주로로 사용될 정도
강원도
삼척 환선굴
시대별 지질특징 그래프
원시바다에 이산화탄소가
녹아 석회석이 만들어짐
석회동굴 - 대부분 고생대
완족류
삼엽충
충북 단양 - 고수동굴
선캄브리아 〉 중생대 〉 고생대
석회동굴
-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지하수에 의해 석회석이 녹아 동굴이 형성
ex) 단양고수동굴, 고씨동굴
태백 구문소, 강원도 삼척
환선굴
태백 구문소
변성암 〉 화성암 〉 퇴적암
해성층이므로
삼엽충,완족류 화석 발견
ㅁ※중생대에도 퇴적암이 있지만 화성암의 비율이 높다.
변산반도
채석강
채석강 - 중생대 퇴적층인 응회암
변산반도
채석강
주상절리
시대별 지질특징
무등산 주상절리대
한탄강의 주상절리대
용암이 식으면서 급격한 부피 변화와 함께 수축되는 과정에서 기둥모양으로 굳은 것이다
독도의 생성과정
특징
- 주상절리의 방향은 냉각이 진행되는 방향과 같다
- 기둥의 단면은 4~6각형으로 다양한 모습을 가지고있다
1.해수면 밑에서 조용한 분출에 이어 수면위에서
폭발적 분출이 일어남
2.조용한 용암분출 뒤 닫힌 화구에서 다시 화산
폭발이 일어남
경기도 연천 한탄강
3.화산활동이 멈춘 뒤 파도 침식으로 사면이
붕괴됨
4.독도 상부가 대부분 침식되고 해수면이
상승함
마이산
마이산- 중생대 역암층 (자갈이 빠져나간 타포니)
- 화산폭발로 형성된 추가령구조곡의 좁고 긴 골짜기를 지나는데, 이유역에는 절벽과 협곡이 발달하여 있다
- 수면 부터 그위로 이루어진 암석들의 색은 검은색을 띄우며, 구멍이 나있는 전형적인 화산암인 현무암으로 되어있고, 그것으로 보건데 원래 지형을 화산이 덮었을 것으로 추측할수있다
마이산
중생대 퇴적암
육성층(육지)
- 마이산은 중생대에 생성된 역암층으로 되어 있고 역암층에서 자갈이 빠져나와 구멍이 뚫린 타포니를 관찰할 수 있다.
- 고성군덕명리해안 의 바닷가 암반을 이루는 퇴적층은 셰일층은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는 공룡발자국만 있고
암모나이트없다.!! 육성층
선캄브리아(변성암)
고생대(퇴적암)
중생대(화성암-심성암)
퇴적암
신생대(화성암-화산암)
퇴적암
백령도
바다에서 만들어진 해성층 석회암
강원도 석회동굴 삼엽충
북한산, 설악산 - 판상절리
육지에서 만들어진 육성층
고성 공룡발자국, 마이산(역암)
한라산,백두산,울릉도,독도,
철원(한탄강) - 주상절리
제주도 수월봉(응회암)
- 마이산은 두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치 말의 귀를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두 봉우리 사이의 탑사라는 사찰 주위에는 세찬 비바람에도 무너지지 않는 80여개의 돌탑이 있다.
신생대 화성암
화산암
고성군 덕명리
고성 - 중생대 퇴적암층의 공룡발자국
고성군 덕명리
- 화산암중 현무암은 서서히 식어서 입자가 작은 특징을 가진다
- 대표적인 지형으로 신생대 제4기에 화산활동에 의한 현무암 으로 이루어진 것들이다
ex)한탄강 일대,
제주도,독도
제주도
제주도(한라산)
- 마지막분출시 격렬한 화산분출이 있었으며 이때 많은 양의 화산분출이 있었음 (제주 수월봉)
- 용암이 흐르면서 생긴 용암동굴(만장굴, 김녕굴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