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3-1. 일

1) 일의 양

2) 일률

3) 도구를 사용 할 때의 일

3-1) 도르래

3-2) 지레

3-3) 빗면

3-2. 역학적 에너지 전환과 보존

1) 일과 에너지

저번시간에 뭘 배웠더라??

1. 일을 하는 빠르기를 ( )이라고 한다.

2. 일률 = 한 일의 양(J) / 걸린시간 ( )

= 힘(N)*이동거리( ) / 걸린시간( )

= 힘(N)*( )(m/s)

오늘의 간단한 학습목표 ~

1) 고정도르래와 움직도르래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2) 도르래와 일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생각열기 !

조선시대의 정약용은 수원 화성을 쌓을 때 거중기를 만들어 사용했다. 거중기를 사용하면 무거운 돌을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는데, 그 원리는 무엇일까 ?

3번째 수업

도구를 사용할때의 일

1) 도르래

아 ~ 도르래를 이용했구나 ~!

저엉다압으은~?

어라? 그러면...

물체를 그냥 들어 올릴 때와 고정 도르래나 움직도르래를

사용하여 들어 올렸을 때 드는 힘과 힘이 작용하는 거리와

일의 양이 어떻게 변할까 ??

F = 1/2 w

F = w

s = 2h

s = h

w = F x s = w x h

w = F x s = 1/2w x 2h

= w x h

힘의 방향을 바꿀수 있다.

힘의 이득을 볼 수 있다.

더 생각해 보자면 ~ ?

탐구 2) 도르래를 사용할 때의 일

아하 !! 그렇구나 !!! ㅠ ㅡㅜ

도르래의 예

: 국기게양대, 스키장리프트, 거중기, 기중기의 물체를 드는 부분

다음시간에는 ~

* 복합도르래

: 여러 개의 고정도르래와 움직도르래를 함께 연결한 도르래

빗면의 원리

1. 고정 도르래

: 힘과 이동거리는 변함없고, 힘의방향을 바꿀수 있다.

움직 도르래

: 힘의 크기는 작아 지지만 이동 거리가 길어진다.

2. 일의원리 : 도구를 사용할 때나 도구를 사용하지 않을 떄나 한 일의 양은 서로 갈아서 일에는 아무런 이득이 없다.

Thank you for attention !

w

Photo based on: 'horizon' by pierreyves @ flickr

w

4

w

8

w

6

w

8

w

2

w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