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밑줄 그은 부분이 바르게 쓰였는지 생각하며 규희의 일기를 읽어봅시다.
▣ 재현이가 무엇 때문에 고민하고 있는지 생각하며 물음에 답해 봅시다.
▣ 다음 시간에는 발음이나 표기가 틀리기 쉬운 낱말의 조사 계획을 세워봅니다.
▣ 다음시간에는 소중한 우리말에 대하여 알아 봅니다.
6. 소중한 우리말
▣ 어떤 상황인가요?
- '반드시’와‘반듯이’를혼동하는상황
▣ 마지막 장면에서 어머니께서는 어떻게 대답하실 것 같나요?
- 자세를 반듯하게 해야 한다는 뜻으로 말한 거란다.
▣ 문제 상황과 비슷한 경험 말하기
요약한 내용 만화로 만들기
▣ 글의 짜임에 따라 요약한 내용을 만화로 만들어 봅시다.
토론 준비표 작성하기
▣ 근거의 타당성을 높여 줄 수 있는 자료를 조사하여 토론 준비표를 작성하여 봅시다.
틀리기 쉬운 우리말
낱말의 기본형
걷다
빠르다
놀다
예쁘다
낱말의 짜임
올바른 발음과 표기 방법
▣ 발음이나 표기가 틀리기 쉬운 낱말의 조사 계획을 세워 봅시다.
틀리기 쉬운 낱말 조사 계획
▣ 틀리기 쉬운 낱말을
바르게 발음하고 표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 드라마나 뉴스를 보고 다음과 같은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조사주제 정하기
재현이의 고민
규희의 일기
발음이나 표기가 틀린 생활 속의 낱말
틀리기 쉬운 낱말
▣ TV의 뉴스에서 어떤 문제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나요?
혼동하기 쉬운 낱말
우리말을 잘못 사용하고 있는 문제
발음이나 표기가 틀린 낱말을 사용하는 문제
‘안’과 ‘않다’와 함께 쓰일 때 변하는 규칙
▣ 밑줄 그은 부분을 어떻게 고쳐 써야 할까요?
▣ 위와 같은 문제가 일어나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않습니다
낱말이 변하는 규칙
▣ ‘됩니다’와 ‘됍니다’ 중에서 어느 것을 쓰는 것이 바른가?
올바른 표기와 발음을 모르고 있기 때문
혼동하기 쉬운 낱말이 많기 때문
하다
안
그렇다
안 먹고
하다
그렇다
하지
않다
그렇지
▣ 국어사전에서 낱말의 뜻을 찾아 쓰시오.
가다
높다
안
가다
높다
두 팔을 벌려 품 안에 있게 하다.
안다
높지
가지
않다
다른 것으로 바뀌거나 변하다.
되다
않다
어떤 행동을 안 하다.
돼서
되어서
-어라
돼라
-었다
되었다
‘안’과 ‘않다'의 올바른 표기
‘되다'의 올바른 표기
♣ 조사하려는 내용과 조사 대상에 알맞은 조사 방법을 정한다.
안
않다
설문
검색
관찰
면담
돼라
돼서
됐다
않다
▣ 각 조사 방법의 장단점을 알아봅시다.
▣ 모둠의 의견을 모아 조사 방법을 결정하고, 그렇게 결정한 그 이유를 써 봅시다.
▣ 같은 뜻이 되도록 파란색으로 쓴 부분을 바꾸어 쓰시오.
실제 모습을 직접 담을 수 있다.
관찰자에 따라 정보가 다를 수 있다.
▣ 같은 뜻이 되도록 파란색으로 쓴 부분을 바꾸어 쓰시오.
시간과 공간적 제약이 따를 수 있다.
궁금한 점을 직접 질문할 수 있다.
♣ 역할을 분담하고 맡은 일에 따라 준비물을 마련한다.
♣ 조사하고자 하는 주제와 내용에 가장 적합한 대상을 정한다.
돼도
☞ 밥을 먹지 않을 겁니다.
정확한 정보가 아닐 수 있다.
다양한 정보를 모을 수 있다.
돼
☞ 다시는 만나지 않겠습니다.
조사 기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 지금은 비가 오지 않습니다.
사람들의 다양한 생각을 모을 수 있다.
됐다
☞ 가지 않을 거면 쉬다 가세요.
전문가
학생
주변 환경
매체
▣ 모둠 친구들끼리 역할을 나누고 준비물을 생각해 봅시다.
'-이'와 '히'의 표기와 발음
♣ 조사를 실시하는 날짜와 할 일을 정한다.
♣ 무엇을 알고 싶은지 정한다.
☞ 우리 주변이나 생활 속에서 발견되는 잘못된 낱말
▣ 밑줄 그은 부분에서 같은 낱말이 반복되는 낱말을 찾아 보시오.
▣ 밑줄 그은 부분의 끝이 ‘ㄱ’인 낱말을 찾아보시오.
겹겹이
줄줄이
틈틈이
그윽이
오뚝이
딱히
정확히
☞ ‘-이’ 바로 앞의 받침이 그대로 발음되는지 확인해 봅시다.
☞ 발음이나 표기가 혼동되어 주의 깊게 공부하여야 할 낱말
(줄주리)
(겹겨비)
(틈트미)
(정화키)
(그으기)
(오뚜기)
(따키)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
☞ 반복되는 낱말의 종류를 확인해 봅시다.
☞ 밑줄 그은 부분 뒤에 ‘-하다’가 붙어 다른 낱말이 되나요?
▣ 밑줄 그은 부분의 끝이 ‘ㅅ’인 낱말을 찾아보시오.
오뚝하다
딱하다
사람이나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
따뜻이
깨끗이
빠듯이
정확하다
그윽하다
☞ ‘ㅅ’이 그대로 발음되나요?
(빠드시)
(깨끄시)
(따뜨시)
▣ 앞에 들어 있지 않은 낱말을 써 봅시다.
☞ 밑줄 그은 부분 뒤에 ‘-하다’가 붙어 다른 낱말이 되나요?
♣ ‘-이’로 표기된 낱말
높이
많이
같이
적절히
♣ ‘-히’로 표기된 낱말
과감히
분명히
영원히
나란히
말끔히
고요히
깨끗하다
☞ ‘-이’, ‘-히’로 구분해서 표기하는 기준이 무엇일까요?
빠듯하다
사람이나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
‘-하다’를 붙일 수 있는 낱말 뒤에는 ‘-히’를 쓰고, ‘-하다’를 붙일 수 없는 낱말 뒤에는 ‘-이’를 쓴다.
따뜻하다
'-이'와 '히'의 올바른 표기
이
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