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 밑줄 그은 부분이 바르게 쓰였는지 생각하며 규희의 일기를 읽어봅시다.

▣ 재현이가 무엇 때문에 고민하고 있는지 생각하며 물음에 답해 봅시다.

▣ 다음 시간에는 발음이나 표기가 틀리기 쉬운 낱말의 조사 계획을 세워봅니다.

▣ 다음시간에는 소중한 우리말에 대하여 알아 봅니다.

6. 소중한 우리말

▣ 어떤 상황인가요?

- '반드시’와‘반듯이’를혼동하는상황

▣ 마지막 장면에서 어머니께서는 어떻게 대답하실 것 같나요?

- 자세를 반듯하게 해야 한다는 뜻으로 말한 거란다.

▣ 문제 상황과 비슷한 경험 말하기

요약한 내용 만화로 만들기

▣ 글의 짜임에 따라 요약한 내용을 만화로 만들어 봅시다.

토론 준비표 작성하기

▣ 근거의 타당성을 높여 줄 수 있는 자료를 조사하여 토론 준비표를 작성하여 봅시다.

틀리기 쉬운 우리말

낱말의 기본형

걷다

빠르다

놀다

예쁘다

낱말의 짜임

올바른 발음과 표기 방법

▣ 발음이나 표기가 틀리기 쉬운 낱말의 조사 계획을 세워 봅시다.

틀리기 쉬운 낱말 조사 계획

▣ 틀리기 쉬운 낱말을

바르게 발음하고 표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 드라마나 뉴스를 보고 다음과 같은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조사주제 정하기

재현이의 고민

규희의 일기

발음이나 표기가 틀린 생활 속의 낱말

틀리기 쉬운 낱말

▣ TV의 뉴스에서 어떤 문제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나요?

혼동하기 쉬운 낱말

우리말을 잘못 사용하고 있는 문제

발음이나 표기가 틀린 낱말을 사용하는 문제

‘안’과 ‘않다’와 함께 쓰일 때 변하는 규칙

▣ 밑줄 그은 부분을 어떻게 고쳐 써야 할까요?

▣ 위와 같은 문제가 일어나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않습니다

낱말이 변하는 규칙

▣ ‘됩니다’와 ‘됍니다’ 중에서 어느 것을 쓰는 것이 바른가?

올바른 표기와 발음을 모르고 있기 때문

혼동하기 쉬운 낱말이 많기 때문

하다

그렇다

안 먹고

하다

그렇다

하지

않다

그렇지

▣ 국어사전에서 낱말의 뜻을 찾아 쓰시오.

가다

높다

가다

높다

두 팔을 벌려 품 안에 있게 하다.

안다

높지

가지

않다

다른 것으로 바뀌거나 변하다.

되다

않다

어떤 행동을 안 하다.

돼서

되어서

-어라

돼라

-었다

되었다

‘안’과 ‘않다'의 올바른 표기

‘되다'의 올바른 표기

♣ 조사하려는 내용과 조사 대상에 알맞은 조사 방법을 정한다.

않다

설문

검색

관찰

면담

돼라

돼서

됐다

않다

▣ 각 조사 방법의 장단점을 알아봅시다.

▣ 모둠의 의견을 모아 조사 방법을 결정하고, 그렇게 결정한 그 이유를 써 봅시다.

▣ 같은 뜻이 되도록 파란색으로 쓴 부분을 바꾸어 쓰시오.

실제 모습을 직접 담을 수 있다.

관찰자에 따라 정보가 다를 수 있다.

▣ 같은 뜻이 되도록 파란색으로 쓴 부분을 바꾸어 쓰시오.

시간과 공간적 제약이 따를 수 있다.

궁금한 점을 직접 질문할 수 있다.

♣ 역할을 분담하고 맡은 일에 따라 준비물을 마련한다.

♣ 조사하고자 하는 주제와 내용에 가장 적합한 대상을 정한다.

돼도

☞ 밥을 먹지 않을 겁니다.

정확한 정보가 아닐 수 있다.

다양한 정보를 모을 수 있다.

☞ 다시는 만나지 않겠습니다.

조사 기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 지금은 비가 오지 않습니다.

사람들의 다양한 생각을 모을 수 있다.

됐다

☞ 가지 않을 거면 쉬다 가세요.

전문가

학생

주변 환경

매체

▣ 모둠 친구들끼리 역할을 나누고 준비물을 생각해 봅시다.

'-이'와 '히'의 표기와 발음

♣ 조사를 실시하는 날짜와 할 일을 정한다.

♣ 무엇을 알고 싶은지 정한다.

☞ 우리 주변이나 생활 속에서 발견되는 잘못된 낱말

▣ 밑줄 그은 부분에서 같은 낱말이 반복되는 낱말을 찾아 보시오.

▣ 밑줄 그은 부분의 끝이 ‘ㄱ’인 낱말을 찾아보시오.

겹겹이

줄줄이

틈틈이

그윽이

오뚝이

딱히

정확히

☞ ‘-이’ 바로 앞의 받침이 그대로 발음되는지 확인해 봅시다.

☞ 발음이나 표기가 혼동되어 주의 깊게 공부하여야 할 낱말

(줄주리)

(겹겨비)

(틈트미)

(정화키)

(그으기)

(오뚜기)

(따키)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

☞ 반복되는 낱말의 종류를 확인해 봅시다.

☞ 밑줄 그은 부분 뒤에 ‘-하다’가 붙어 다른 낱말이 되나요?

▣ 밑줄 그은 부분의 끝이 ‘ㅅ’인 낱말을 찾아보시오.

오뚝하다

딱하다

사람이나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

따뜻이

깨끗이

빠듯이

정확하다

그윽하다

☞ ‘ㅅ’이 그대로 발음되나요?

(빠드시)

(깨끄시)

(따뜨시)

▣ 앞에 들어 있지 않은 낱말을 써 봅시다.

☞ 밑줄 그은 부분 뒤에 ‘-하다’가 붙어 다른 낱말이 되나요?

♣ ‘-이’로 표기된 낱말

높이

많이

같이

적절히

♣ ‘-히’로 표기된 낱말

과감히

분명히

영원히

나란히

말끔히

고요히

깨끗하다

☞ ‘-이’, ‘-히’로 구분해서 표기하는 기준이 무엇일까요?

빠듯하다

사람이나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

‘-하다’를 붙일 수 있는 낱말 뒤에는 ‘-히’를 쓰고, ‘-하다’를 붙일 수 없는 낱말 뒤에는 ‘-이’를 쓴다.

따뜻하다

'-이'와 '히'의 올바른 표기

☞ 지금은 비가 안 옵니다.

☞ 밥을 안 먹을 겁니다.

☞ 다시는 안 만나겠습니다.

☞ 안 갈 거면 쉬다 가세요.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