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물체에서 나오거나 반사된 빛이 눈에 들어오면 이를 뇌에서 인식하기 때문에 우리는 그 물체를 볼 수 있다.

정리하기

광원

1. 스스로 빛을 내는 물체를 ( ) 이라고 한다. 이 물체에서 나온 빛의 일부가 우리 눈에 직접 들어올 때, 우리는 그 물체를 볼 수 있다.

2. 물체가 광원이 아니라면, 광원에서 나온 빛의 일부가 물체에 ( )된 후 우리 눈에 들어올 때, 우리는 그 물체를 볼 수 있다.

반사

물체를 보는 원리

빛과 파동

(1)물체를 보는원리

예제 더하기

O, X 퀴즈

1. 광원에서 나온 빛은 직진하고 직진하던 빛이 물체를 만나면 반사한다.

O

2. 물체에 막혀서 빛이 도달하지 못한 부분에는 그림자가 생긴다.

O

(2)광원인 물체를 볼 때

광원에서 나온 빛의 일부가 우리 눈에 들어온다.

(3)광원이 아닌 물체를 볼 때

광원에서 나온 빛의 일부가 물체에 반사되어 우리 눈에 들어온다.

광원에서 나온 빛의 진행

(1)

광원

스스로 빛을 내는 물체

광원이 아닌 물체는

스스로 빛을 내지 않고

광원에서 나온 빛을

반사시킨다.

생각열기

밤이 지나고 아침이 오면 빛을 느낄 수 있다.

어두운 곳에서 갑자기 빛을 보면 눈이

부시지만 빛에 적응하면

주변의 사물들이 하나둘 보이기 시작한다.

어두운 곳에서 빛이 비출 때의 상황을

생각해 보면서 빛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생각해 본다.

빛이 없으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빛의 직진과 반사

(2)

텔레비전이나 휴대 전화 화면을 볼 수 없을 것이다.

촉감이나 소리 감각이 매우 발달할 것이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448093&cid=51638&categoryId=51638

빛이 전혀 없을 때 흰색 물체는 어떻게 보낼까?

흰색 물체는 스스로 빛을 내지 않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 광원에서 나온 빛은 직진한다.
  • 직진하던 빛이 물체를 만나면 반사하여 다른 방향으로 나아간다.
  • 빛이 도달하지 못한 부분에 그림자가 생긴다.

01. 물체를 본다는 것은

학습목표

빛이 직진하고 반사하는 성질이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빛의 경로를 통해 물체를 보는 과정을 표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