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content…
Transcript

Diode

4. 역방향 전압

n형 반도체쪽에 음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역방향 전압을 걸다'라고 한다.

다이오드에 역방향 전압이 걸리면

n형 반도체에는 전자가 접합면에서 멀어지면서 전원의 (+)극 쪽으로 전자가 몰린다.

p형 반도체에는 전자가 공급되어 양공은 거의 사라지고 전원의 (-)극 쪽으로 양공이 몰린다.

따라서 접합면의 에너지띠에는 남아도는 전자나 양공이 없게 되어 전자 전이가 일어 날 수 없다. 전원의 (+)극 쪽은 전자를 극히 일부만 가져가고 더 이상 가져갈 수 없게 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1. 다이오드는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로

되어 있다.

n형 반도체에는 반도체 속을 이동할 수 있는

전자가 포함되어 있다.

p형 반도체에는

이동 가능한 양공이 포함되어 있다.

케리어 : 전류를 흐르게 만드는

주체인 전자와 정공(양공)

하지만 반도체는 양성자의 개수와 전자의 개수 같아서 전기적으로 중성인 상태이다.

2. pn접합 부분에서는 전자와

양공이 결합되어 소멸한다

그러면 n형 반도체 속의 접합 부근에서는 전자가 없어지게 된다. 전자 그 자체는 전기적으로 마이너스이기 때문에 이 전자가 없어진다는 것은 전기적으로는 플러스로 치우치게 된다 는 뜻이다.

p형 반도체 속의 접합 부근에서는 양공이 없어지게 된 다. 양공 그 자체는 전기적으로 플러스이기 때문에 양공이 없어진다는 것은 전기적으로는 마이너스로 치우치게 된다는 뜻이다.

접합부분 근처에서 마이너스와 플러스의 미립자가 서로 당겨져 결합된다.

n형 반도체 속의 전자는 p형 반도체 방향으로 이동하고 p형 반도체 속의 양공은 n형 반도체 방향으로 이동, 서로 결 합되어 소멸돼버린다

3. 순방향 전압

p형 반도체에 양전압, n형 반도체에 음전압을 인가한 것을 순방향 전압이라고 한다.

순방향 전압이 걸리면 n형 반도체에 전자를, p형 반도체에는 양공을 주입하게 된다.

그 결과 양공과 전자가 과도 상태가 되기 때문에 공핍층이 축소, 소멸하고 양공과 전자는 접합부 근처에서 차례로 결합하여 소멸(재결합)한다.

다이오드 전체로 보면 이러한 동작은 전자가 n형 반도체에서 p형 반도체로 흐르는 즉, 전류가 p형에서 n형으로 흐르는 것이다.

5. 다이오드의 정류 작용

일반 가정에는 교류 전기가 공급된다.

가전제품 대부분은 직류를 사용한다.

두개의 컨댄서(축전지)- 파형을 직선으로 맞춤

4개의 다이오드-

모든파형을 양극으로 바꿈

트랜스-

전압을 낮춰줌

한개의 다이오드는 전류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여 아래쪽 파형은 모두 제거한다.

양공은 플러스

전하를 가진 입자

전자는 마이너스 전하를 가진

미립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