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서해
조차가 크고 바닷물의 움직임이 빠르다 =
조력 발전을 하기 좋은 입지 조건
최근에는 인공구조물 때문에
조류나 파도의 방향이 바뀌면서
퇴적 작용이 활발하던 곳에
심한 침식 작용이 일어나기도 한다
2. 다음 중 조차의 크기의 비교로 옳은 것은?
(1) 동해안 > 서해안
(2) 동해안 = 서해안
(3) 동해안 < 서해안
(4) 알 수 없다
조력 발전 : 밀물과 썰물 때의 조차를 이용하여 전기 생산
조류 발전 : 빠른 속도로 흐르는 조류로
프로펠러를 회전시켜서 발전
<우리나라>
일부 해수욕장 모래가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다
동해안의 해안 도로에서는
많은 곳에 침식이 일어나고 있다
Quiz Time!!
Q. 동해안 백사장이 사라지게 된 원인은?
A. 주변에 OO가 생겼기 때문이다.
항구
JTBC
Q. 이 방송의 출처는?
해파가 집중되어 침식 작용 우세
해파가 약하여 퇴적 작용 우세
해수욕장으로 많이 이용
밀물 : 바닷물이
들어오는 것
{
조석
썰물 : 물이 나가는 것
Q. 이순신 장군님은 명량 대첩 때 무엇을 이용해서
승리를 거두셨을까요?
서해안 + 남해안 = 조차가 크다
= 조류가 빠르다
만조 : 밀물로 바닷물의 높이가
가장 높아졌을 때
빠르고 강한 조류는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이용
(1) 폭이 넓어 조수간만의 차가 크다
(2) 폭이 좁아 조수간만의 차가 크다
(3) 폭이 넓어 조류가 강하다
(4) 폭이 좁아 조류가 약하다
(5) 폭이 좁아 조류가 강하다
간조 : 썰물로 바닷물의
높이가 가장 낮아졌을 때
(5) 폭이 좁아 조류가 강하다
하루에 대략 두번씩 만조와 간조가 발생
만유 인력 때문에 어떤 일이 생기는 것일까?
보름달, 그믐
우리나라의 조차 : 동해안 조차 약 30cm, 서해안 조차 약 8m
-> 황해는 대륙붕 지역이므로 썰물일 때 바닷물이 빠지면 갯벌이 넓게 드러난다
자정을 조금 지난 시각
(새벽 0시 25분경)
사리 무렵에 태풍이 다가오면
해수면이 높은 상태에서 해일이 밀려와
큰 피해가 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한다.
동해안은 조차가 작기 때문에 만조와 간조가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서해안은 조차가 높아 대륙붕이 발달하고, 간조 때 바닷물이 빠져나가면서 갯벌이 넓게 드러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