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 presentamos
Tu nuevo asistente de presentaciones.
Perfecciona, mejora y adapta tus contenidos, busca imágenes relevantes y edita elementos visuales más rápido que nunca.
Búsquedas populares
1. 이르쿠츠크의 안긴스코에의 한 교회 사찰의 아들로 출생
2. 이르쿠츠크 신학교 졸업 후 1821년 사제 안수
3. 알라스카 앞의 열도의 정교회 신자들 목회의 책임이 주어짐
4. 1823년 출발 - 14개월 걸린 여정
5. 남은 성도가 없었음
- 처음 다시 시작/ 예배당 건축, 언어 학습, 신앙 교육,
6. 복음에 대한 반응이 긍정적
7. 알류산 열도, 쿠라일 열도, 캄차카 반도, 시베리아 북단, 한반도 북단, 일본 등을 다니며 사역
8. 러시아정교회 대교구 감독으로 사역/정교회 선교 협회 창설
1. 19세기 천주교의 선교에 대해 알기
2. 19세기 정교회의 선교에 대해 알기
1. 종교의 자유를 허용하는 칙령 - 1773년 캐서린 2세, 정교회 총회
2. 정교회를 떠나는 사람의 증가 - 주로 이전에 이슬람을 믿은 사람들 가운데에서
3. 정교회의 갱신 - 그리스정교회의 신학과 전례의 재발견
3. 19세기 천주교 선교의 특징들
4. 19세기 러시아 정교회의
3명의 선교사들에 대해 알기
5. 조선에서의 선교 활동
1773년 천주실의를 접한 실학자들이 천주교를 공부
1783년 이승훈이 중국에서 영세를 받고, 국내에서 전도하고 영세를 줌.
1794년 중국인 신부 주문모가 조선으로 왔다가 순교
1866년 조선에서 천주교인이 25000명으로 추산,
대원군이 주도한 병인박해, 사제들과 함께 8000명이 순교
서울 마포 절두산, 충남 해미읍
6.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7. 중동 지역에서의 선교 활동
천주교 선교의 가장 큰 열매를 맺은 지역
무슬림에 대한 선교적 노력 보다는 정교회들을 천주교화 하는데 주력
정교회 교인들에 대한 이해와 관심 부족 - 천주교화 해야 할 존재들로 인식
핍박- "십자가를 밟고 지나가라!" 1836년 베트남 밍망 왕
"천주교 사제"에 현상금! 1855-1862 베트남 투둑 왕
순교 - 115명의 사제, 십만명의 신자
정교인들은 천주교회와 협력은 원해도 서구화, 천주교화를 원하지는 않음
이디오피아 콥트정교회도 천주교화 하려고 했으나, 무위에 그침
1885년이후 70년간 프랑스의 보호 아래 천주교 선교
8. 아프리카 선교
아프리카 선교를 위한 수녀회들 - 성요셉 수녀회 등
19세기 중반이후, 아프리카 선교를 위한 수도회의 설립
아프리카선교회/백의의 신부들 - "아프리카 선교를 했던 천주교 단체 가운데 가장 잘 훈련된 단체"
라비제리 대감독 - 알제리와 서부 사하라 관장 / 애국적 행위를 하는 선교사 - 영토확장
노예 무역 반대 - 노예 제도 폐지를 위한 국제 협력
기독교인 무장 호송대 설립 운영
노예 해방을 통한 기독교 마을 - 행정/치안을 하는 선교사
격리 - 교사 중심의 위성 마을 생활 - 흡수 <- 현지 천주교인 사회 형태
콩고에서 시작하여 사하라를 지나 모잠비크
서구 열강은 아프리카에서 종교, 과학, 구제를 장려 - 선교 보호, 지원 및 자유
1. 쇠퇴되었던 천주교 선교의 재건
1814년 예수회의 재건을 시작으로 다양한 수도회와 수녀회가 설립되었다.
1815년 이후 평신도들의 선교 참여를 유도하는 활동들이 있었다. - 재정 후원, 선교 소식지 발간,
전세계적 천주교 교회 조직 정비 및 사제 임명 - 인도에서 포르투갈의 영향력 축소시킴
2. 인도에서의 선교 활동
콘스탄트 리이벤스(예수회 수도사)의 인도 초타 나그푸르의 콜 부족의 집단 개종 유도
그의 인권 보호 활동에 20년이 되지 않아 많은 사람들이 루터교에서 천주교로 개정 - 7900명의 세례교인
교육 선교 (초기) 초등교육과 신학교 교육 -> (19세기 후반) 고등 교육 - 지식인 배출/개종의 열매는 많지 않음
현지 교회 지도자 양성이 여전히 부족했다. - 고위 교회지도자는 여전히 유럽인
3. 중국에서의 선교 활동
중국의 여러 항구의 개항 조치 이후 여러 수도회와 수녀회가 가 중국에 입국하여 사역
1860년, 중국-프랑스 조약이후 천주교 선교사들이 프랑스의 보호를 받으며 사역
선교사들은 중국인 천주교인을 사법적으로 보호하는 활동도 하였음
개신교보다 빠르게 성장. 1890년 639명의 유럽인 사제/369명의 중국인 사제/50만명 가까운 중국인 신자
1. 1859년 러시아인이 일본에 거주 가능하게 되었음
2. 이반 카사트킨이 1861년 6월 일본에 사제로 입국
의화단 사건으로 희생이 있었으나, 새로운 선교 인력 충원으로 선교는 계속되었고, 천주교회는 빠르게 성장
1900년 1375명의 사제와 72만명의 신자, 1912년 2255명의 사제와 143만명의 신자
3. 5년간 중국어와 일본어 학습
4. 1868년 3명의 회심자에게 세례. 1882년 7611명, 1914년 34782명
5. 1869년 귀국 사역 보고의 결과로 선교부가 구성되었고, 수도원장이 되어 일본으로 귀환
6. 1880년 감독, 1906년 대감독이 됨
천주교회의 일반적인 정서는 온정주의(Paternalism)
- 빈센트 레베 신부(나사로회 소속, 1902년 중국입국) - 중국인들과 동화되어야 하는 것을 제안
7. 일본인에 의한 일본 복음화의 비전을 가지고 일본인을 교회 행정에 참여 시킴
8. 백의 사제-예배 관련, 흑의 사제-교회 치리와 지도
9. 하류 계층민들이 정교회 신자가 많이 됨
10. 1917년 러시아 혁명이후 지원이 중단된 뒤 교회가 쇠퇴
4. 일본에서의 선교 활동
1859년, 천주교 선교사 (지라르) 다시 일본 입국,
과거 선교의 열매들, 비밀 신자들을 만남, 1만명은 천주교회 전통 안으로, 1만명은 잔류함
1891년 44500명의 신자 (15명의 일본인 사제), 1910년 63000명 (32명의 일본인 사제)
인도
중국
일본
조선
인도차이나
중동
아프리카
1. 천주교 선교의 재건
2. 정부의 보호와 지원 속의 선교
3. 온정주의적 선교
4. 개신교와의 반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