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http://prezi.com/zxd3d4xucpvf/visita-do-papa-ao-brasil/

감사합니다:)

출처 : 일반화학책, 블랙보드 강의

"열량계법"

-colorimeter method

"Quiz" time!!

세상 간단한

①. 건조된 열량계의 질량을 측정한다. ->저울로 한번에 잴 수 없는 경우 유리그릇과 나머지를 따로 측정한다.

②. 열량계에 50ml정도의 찬물을 붓고 질량을 잰 후에 열량계를 설치하고 온도계와 MBL 시스템을 이용하여 PT온도 센서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지 확인하자.

->찬물 붓고 5분대기

③. 50ml물을 비커에 넣고 버너 불꽃을 작게 하여 냉수 온도보다 15℃정도 더 높게 가열한다. 버너 불꽃을 끄고 열량계 온도보다 약 10℃정도 차이가 날 때까지 식힌다. ->이때, MBL시스템 이용해서 더운물 잃은 열량, 찬물 얻은 열량, 열량계가 얻은 열량 다 구할 수 있음

1) 첫번째 실험 – 열량계의 열용량 결정

열량계법 정의 : 화학 반응으로 일어나는 열 변화량의 측정(발열 반응 흡열 반응)

열량 정의 : 계와 주위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계가 방출하였거나 흡수한 에너지

*열량은 T에 비례 q=C T(C는 열용량) <- 저 수식 뒤에 이용

열용량(비열*질량)의 정의 : 계의 온도를 1 (또는 1K) 올리기 위해

필요한 열량

*C= 단위는 J/ 또는 J/K

x

q

이론

x

q

비열의 정의 : 순물질 1g을 1 (또는 1K)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으로 상온에서 물질에 따라 고유한 값을 가진다.

비열 = 열용량/질량 = C / m = (C= )

열량계의 시스템 = 고립계 (이유 : 주위와 물질교환 x 에너지 교환 x)

열용량의 계산 : 고열원이 방출한 열량 = 저열원이 흡수한 열량

고열원의 열용량 (처음온도 – 평형온도) = 저열원의 열용량 (평형온도 – 처음온도) <-이때 우리 실험에 이 식을 적용해보면 고열원 = 더운물, 저열원 = 찬물+열량계

*따라서 열용량 계산이 가능

q

m x

x

④. 더운물과 냉수의 온도를 온도계와 PT온도센서를 이용하여 다시 측정하여 기록한다. -> 온도가 평형이 될 때까지 측정

⑤. MBL시스템을 구동하는 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매 1초마다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정한 이후에 실험시작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더운물을 열량계 속에 붓는다.

⑦ .또한 온도가 일정해지면 ‘실험정지’를 눌러서 MBL 측정프로그램 수행을 정지시키고 측정된 결과를 파일로 저장한다.

⑧. 열량계 전체 질량을 측정하여 추가된 더운물의 질량과 열량계의 열용량을 계산한다.

⑥. 또한 열량계의 뚜껑을 씌우고 조심스럽게 흔들어 주면서 온도가 일정해 질 때까지 매 5초마다 온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온도를 기록한다. -> 꼭 5초가 아니어도 괜찮음!

실험 목적

실험 방법

나.. 오래살고 싶은데??

텔로미어, 늘릴 수는 없나?

↑<세포분열에 의한 정상체세포와 암세포의 텔로미어의 길이변화>

물질의 기본 원리인 <에너지 보존 법칙> "고립계가 잃은 열은 주위가 얻은 열과 같다."는 기본 성질을 이용해

에너지의 변화를 열량으로 측정함으로써 물질의 상태를 이해한다.

1. 스트레스 줄이기

=>앞에서 측정한 열량계의 열용량 이용해서 유리그릇 안에서 중화 반응을 일으키고 중화열 이용해서 발열된 에너지 측정

2) 두 번째 실험 – 강산에 대한 강염기의 중화열

①. 매스실린더를 이용하여 1.0M NaOH 50ml 용액을 비커에 담는다.

②. 매스실린더를 이용하여 1.0M HCl 50ml용액을 비커에 담는다.

③. 산과 염기 용액의 온도를 온도계로 확인하여 양쪽 온도가 같아질 때까지 용액을 식힌다. -> 온도 평형 테이블과 똑같이 함!

2) 두 번째 실험 – 강산에 대한 강염기의 중화열

④ . 건조된 열량계의 질량과 50ml NaOH용액을 열량계 속에 넣고 질량을 측정한다.

->NaOH가 아닌 HCl을 사용해도 괜찮음!

⑤ . 온도계로 초기온도(T1)을 기록하고, MBL Excel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매 1초마다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정한다. ‘실험시작’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HCl 용액을 열량계 속에 붓고 뚜껑을 씌우고 잘 흔들어준다.

⑥ .온도가 일정하여 질 때까지 매 5초 간격으로 온도계를 이용하여 수기로 측정한 온도를 기록한다. (최종온도 T2)

⑦. 또한 온도가 일정해지면 ‘실험 정지’를 눌러서 MBL 측정 프로그램을 정지시키고 측정한 결과를 파일로 저장한다.

⑧. 열량계 전체 질량을 측정하여 추가된 산 용액의 질량과 중화열을 계산한다.

2. 과일&채소 많이먹기

(블루베리, 오메가3)

=>앞에서 측정한 열량계의 열용량 이용해서 유리그릇 안에서 중화 반응을 일으키고 중화열 이용해서 발열된 에너지 측정

중화열 계산

3.꾸준한 지구력 운동!!

4. 소식하기

열량계의

열용량

5. 충분한 수면

(7~8시간)

q - q

1

2

C =

T

2

1

=> 열량계가 조별로 조금씩 다르므로 조별로 다른 값이 나옴

더운물이 잃은 열량

q = T x 비열 x W

(이때 W1은 더운물 질량)

찬물이 얻은 열량

q = T x 비열 x W

(이때 W2는 찬물의 질량)

2

열량계법

3조

김현건 박주혁 송희준

전혜경 홍수정

T

C

T

더운물이 잃은 열량 = 찬물이 얻은 열량

중화열의 정의 : 산과 염기를 각각 1몰씩 중화시켰을 때 발생하는 반응열

2

중화반응이 일어날 때의 엔탈피 변화량 ( H )

알짜반응식 : H (aq) + OH (aq) -> H O

+

C

C + {물의 비열(1g당)x전체 용액의 부피}x(T - T )

m

2

1

q =

n

염기용액의 몰 농도 x 염기 용액의 부피

C

T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