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content…
Loading…
Transcript

교양 있는 표기 생활

2017.5

경산여자상업고등학교

국어교생 권오수

올바른 표기의 중요성

띄어쓰기가 잘못 되면..

자주 틀리는 맞춤법

한글맞춤법의 역사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제정…1989 시행

변화 및 수정을 거치기도…

☞서술성이 있기 때문에 용례로 적절치 않음.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 (2017.3.28)

한글맞춤법의 구성

1장 총칙/2장 자모/ 3장 소리에 관한 것

4장 형태에 관한것/ 5장 띄어쓰기/ 6장 그 밖의 것

어떻게 띄어 써야 하나

한글맞춤법 총칙

기본적인 네 가지만 알아도 틀리지 않아요

제 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 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씀을 원칙으로 한다.

단어는 독립적으로 쓰이는 말의 단위이기 때문에,

글은 단어를 단위로 하여 띄어 쓰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우리말의 조사는 접미사 범주에 포함시키기

어려운 것이어서 하나의 단어로 다루어지고

있으나, 형식 형태소이며 의존 형태소이므로,

그 앞의 단어에 붙여 쓰는 것이다.

1. 각 단어는 띄어 씀

2. 조사는 앞말에 붙여 씀.

3. 의존 명사는 띄어 씀.

4.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씀.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려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음.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