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과 생활의 균형'이 있는 대한민국
'일과 생활의 균형' 수준
야근창조담당관실
나 과장
오 사무관
육 사무관
권 사무관
최 사무관
'에디슨은 야근을 발명했다!' - 장시간근로부 -
국가공무원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일과 생활의 균형’ 수준 제고
(2020년까지 ①‘일과 생활의 균형’ 수준 70점 달성, ②참여도․만족도 20%p 이상 향상)
① (문화적측면) '인식 및 조직문화' 개선으로 분위기 조성
② (제도적측면) 참여 촉진을 위한 '제도적 장치 강화'
③ (경제적측면) 소득 감소 등에 대한 '보상 및 지원대책' 마련
제도적 장치 강화
보상 및 지원대책 마련
인식 및 조직문화 개선
- 한부모(외벌이) 육아휴직 급여 인상
- '초과근무 총량관리제'를 모든 부처로 확대
- 국무회의 등을 통해 고위직 참여 촉진
- 직장어린이집 설치 확대, 시간선택제 지원 등
- 주 2회 '가족 사랑의 날' 전 부처 시행
- 기관장 지시사항 하달 및 실적관리
3-① 육아휴직 및 보육에 대한 지원 확대
3-② 우수기관 및 부서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3-③ 국가공무원의 임금수준 현실화
2-① 효과성이 검증된 제도를 전 부처로 확산
2-② 제도의 활성화 유도 및 실효성 제고
2-③ 지속적 제도 정착을 위한 평가․점검 강화
1-① 하향식(Top-down)의 관심․참여 유도
1-② 인지도 제고를 위한 교육 및 홍보 강화
1-③ 야근․주말근무를 유발하는 관행 해소
- '업무효율화 성과급' 제도 도입
- 자율출퇴근제 등 신규제도 시범적용
- 중앙공무원교육원 교육과정에 의무적 편성
- 일회성.전시성 사업 및 형식적 제도 폐지
- 우수기관 '재충전휴가' 등 인센티브
- 부처별 직장교육, FAQ 및 사례 안내
- 고위직 성과평가 및 정부업무평가에 반영
- 초과근무수당, 연가보상비 단계별 감축
- 핵심근무시간 설정, (월)회의.행사.보고 제한
- 실질소득 감소를 고려한 공무원 임금 인상
- 형식적 운영 방지를 위한 점검 및 감사
- 일과 후 관행적 업무연락(카카오톡) 금지
제128기 5급승진자과정 교육생 100명 대상
'일과 생활의 균형' 제도에 대한 설문조사
공직사회에서 '일과 생활의 균형'이 어려운 이유는?
직장중심의
조직문화
이용이 어려운
제도
낮은
임금수준
'일과 생활의 균형'과 업무생산성의 관계
국가공무원의 '일과 생활의 균형'
정 명 희
어머님이 눈길에 넘어지셔서
무릎 수술을 하셨는데...
주말에 근무하느라...
이번 주는 가볼 수 있을지 모르겠어
정시퇴근 해야 합니다!
여자친구랑 데이트가...
야근에 주말근무 때문에
여자한테 차인 것만해도 ㅠㅠ
결혼 기념일이라..
오늘도 야근하면
이혼당할지도 몰라요
(오 사무관은 즐거운 마음으로 퇴근 준비 중)
(오후 6시 20분)
(연일 계속되는 야근, 주말근무로 인해 지쳐있는 직원들)
(오후 3시)
애 데리러 어린이 집에
가봐야하는데...
칼퇴근 할 수 있을까?
'자율출퇴근제' 도입
주 40시간 이내에
출퇴근시간을 자율 조정
주 3~4일만 근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