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사상가 증자
은나라의 시조 탕왕
로마의 황제이자 철학자 아우렐리우스
무절제한 욕구나 충동적인 행동과 감정조절, 그릇된 행동을 하지 않도록 감시
이러한 자세는 우리가 인간적인 삶을 살아가는 바탕이 된다.
1. 성현이란 무엇을 뜻하는 단어일까요?
2. 과거에 있었던 성현들 중 예로 든 사람이 아닌 것은?
학습목표
도덕적으로 성찰하는 삶
1)성찰에 대해 알아보자
2)과거에서 찾는 성찰의 예와 중요성
3)아우렐리우스의 성찰
1)4가지 이유와 그 사례
1)나의 행동 성찰하기
2)퀴즈 및 문제
성찰하는 삶
삶의 목적
물음에 스스로 답함을 통하여 더욱 의미있고 계획적이며 행복한 삶을 꾸려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유!
1-2 김효겸
*성현:지혜와 덕이 매우 뛰어나 총명한 사람
로마의 황제이자 철학자였던 아우렐리우스도 꾸준히 성찰했던 사람으로 유명하다. 그의 '명상록'에는 전쟁을 치르는 와중에도 틈이 날 때마다 성찰했었던 기록이 담겨있다.
1)명상록 동영상
2)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은 난관에 부딪쳤을 때 스스로를 경계하고 깨우쳐 올바른 길을 찾고자했던 개인의 치열한 성찰의 결과물이다.
현재 뿐만 아니라 옛날부터 성현들은 삶의 중요성을 몸소 보여주었다.
탕왕: 하나라의 속국이었던 상나라의 사람이었으나 하나라를 멸망시키고 은나라를 개국한 개국 군주이다.
탕왕은 매일 사용하는 세숫대야에 '나날이 새롭게하며 또 새롭게 한다.'라는 글귀를 새겨 넣었다고 한다. 날마다 얼굴을 씻듯이 인격을 닦는 것을 게을리하지 않은 것이다.
중국 노나라의 사상가였던 증자는 매일 세가지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면서 자신의 행동을 성찰하였다고 한다.
- 공과격이란? 선을 공으로 악을 과로 구별하여 공을 늘리고 과를 줄일 것을 가르치는 도덕 법칙이다.
옛날 중국에서부터 쓰이던 공과격은 현대에도 대표적인 자신의 행동 성찰하기에 쓰인다.
3. 아우렐리우스의 성찰의 기록이 담겨져 있는 책의 제목은 무엇일까요?
4. 도덕적 성찰이 필요한 이유 4가지는 무엇일까요?
5. ooo은 선은 공으로 악을 과로 분류하여 공은 늘이고 과는 줄일 것을 나타내는 도덕법칙은?
- 옛날 중국 사람들은 착한 일을 하면 오래 살지만 나쁜 일을 하면 일찍 죽는다는 설을 믿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은 매일매일 자신들의 행동을 평가하는 기록표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공과격'이다.
1) 지혜와 덕이 매우 뛰어나 총명한 사람
2) 위인
3) 과거의 높은 지위
1)탕왕
2)아우렐리우스
3)공자
4)증자
도덕으로 성찰하는 자세
성찰이란?
1- 1번
2- 3번
3- 명상록
4- 삶의 목적을 올바르게 설정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
바람직한 인격과 인간다운 삶
바람직한 사회
5- 공과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