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생산의 3요소

QUESTION

선교 인류학 교수에게 있어 생산은 무엇일까?

ANSWER

선교 인류학 교수의 경우 서비스가 바로 생산이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은 시간과 에너지를 사용하며 그 외에도 강의안(도구), 지식(문화인류학적 개념과 교수법), 자원(교실, 컴퓨터, 펜)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람들은 생산할 때

자신의 시간과 힘을

도구와 지식을

환경 속에서 가용한 자원을

사용한다.

생산에 있어 사회적 3요소

한편, 생산 활동에서 사회적 요소들도 있는데,

가급적 덜 일하려고 하고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협력하고

자원 획득을 위해 갈등이 잠재적으로 존재한다.

덜 하는 것

(시간과 에너지의 투자가 적은 것)

혼자보다는 보다 효과적으로 협력하는 것

갈등의 발생

갈등의 발생? 그 원인은?

갈등이 발생하는 이유가 흥미로운데 이것은 그 원인이 앞에서 언급한 ‘덜 하는 것’과 ‘협력’이라는 점에서다.

왜 생산에 대해 배우나?

누구나 살려면 먹어야 한다. 따라서, 생존을 위한 생산을 한다. 이것은 보편적이다.

생산의 형태

한편, 어떻게 생산하는가는 문화마다 다르다.

적응(Adaption)이란?

주어진 환경 속에서 생존/재생산할 수 있도록 신체와 행동을 개발하는 과정

적응하는 방법 두가지는?

Foraging(수렵 채집)

Pastoralism(목축)

Agriculture(농업)

생리적/유전적으로

문화적으로

- 기후에 대처

- 음식에 대처

문화적 적응

* (희귀한 경우에는 아끼고)많이 사용해온 방법으로 후손을 남기고 집을 짓는다.

* 건축 재료 - 볏짚, 기와, 얼음

생리적 적응

다섯가지 대표적인 적응의 예

벼농사법도 다르다

* 사람의 몸이 자연에 맞추어 적응한다.

* 추운 지방 사람들 - 피하 지방층이 두껍고

더운 지방 사람들 - 피부가 검고

넉넉한 영양 섭취 - 키의 성장 / 수영 금메달?

* 어디나 모내기하는 것이 아니다.

* 쌀밥, 쌀국수, 월남쌈종이

문화적인 요소는 많이 없다.

하지만, 생김새의 차이는

집단 간의 구별을 가져온다.

음식을 구하는 방법

의복

* 낚시

낚싯대, 그물, 배, 투망,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한 경우, 유속을 이용한 경우, 물속에 직접 들어가는 경우

* 사냥

올무, 총, 화살, 짐승 종류와 환경에 따른 사냥 도구의 차이

보온을 위해 동물의 가죽을 입는 경우, 신체 일부만 가리는 경우, 문화가 유행과 만나서 변화가 생기는 경우 등이 있다.

Foraging 수렵채집

1주일 몇 시간 일할까?

남/여 중 누가 더 일할까?

지금도 존재하나?

* 창세부터 지금까지도 여전히 존재한다.

* 규모가 작은 소규모의 BAND형 집단이며(수가 적어야 이동하기 더 편하고 동시에 자원은 한정적이기 때문) 돌아다니면서 산다.

* 나뉘거나 합치기도 한다.

* 방황은 아니지만 일정한 주기, 코스로 이동하며 살아가는 사회라고 볼 수 있다.

집단의 규모는? 왜?

다른 집단과의 관계는? 왜?

Pastoralism 목축

* BAND보다는 큰 규모를 형성한다. 왜?

* 지구상 어디에서 이들을 발견할 수 있을까?

* 얼마나 오래 동안 한 곳에 머무를까?

* 언제 이동할까?

* 과연 자급자족이 가능한가?

배운 점

느낀 점

실천할 점

성경적인 생산 방식?

수렵채집의 생산 방식보다 집약 농업 생산 방식이 더 우월한가?

원시 농업 생산 방식보다 도시 서비스 생산 방식이 더 성경적인가?

Agriculture 농업

Horticulture 원시농업

특징은?

종류는?

a. Stick gardening: 작은 땅, 적은 양의 수확량,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적음

b. Slash and burn or shifting agriculture: 화전민, 윤작, 열대 지방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역시 수확이 적음

토지 선택 - 화전 - 포기 - 회복

Intensive agriculture 집중 및 집약 농업

특징은?

가축 사용, 관개시설 사용, 비료 사용

사회에 끼치는 영향들은 ?

* 보다 작은 땅에서 많은 식량을 얻을 수 있다.

* 식량부족으로 인한 생존의 위협이 감소하여 더 많은 인구가 살 수 있다.

* 잉여 노동력으로 산업을 하기도 하며 종교인, 건축가, 정치가, 예술가 등의 특수하고 다양한 직업군이 생긴다.

* 도시와 문화가 시작되며 사람들 사이의 갈등이 잦아져 본격적으로 법이 필요한 사회가 된다.

* 쓰레기의 발생이나 장작을 만들기 위한 벌목 등으로 인해 환경과 큰 충돌이 생긴다.

* 많은 양의 에너지 소모가 일어난다.

※ 기계농업: 기업화 된 농업이다.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며 연구에 의지, 기술에 의존적(예를 들자면 헬리콥터를 이용하는 경우)이고 에너지를 사용한다. 시장의 형성(서비스를 생산하는 사회이므로 대부분 환금 작물을 재배) 또한 기계농업의 특징이다.

지난 시간 복습

성경적인 생산방식

이번 주 학습목표

생로병사는 모든 인간이 동일하게 경험하는 생물학적 과정이지만,

이 과정에 대한 이해와 행동은 문화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면,

태아부터 인간인지, 아니면 이름을 부여 받은 때부터 인간인지..

언제부터 훈육을 어떻게 누가 왜 무엇으로 어디에서 하는지 ...

언제부터 성인인지 ..

노인에 대한 사회/문화의 인식은 어떤지 ...

- 태어나면서 한 살은 우리의 문화적 이해.

- 자식을 사랑하는 부모는 매를 아끼지 않는다는 것은 우리의 문화적 이해

- 군대 갔다 와야 .. 결혼을 해야 .. 자식을 낳아봐야 ... 우리의 문화적 이해

- 너는 애비 애미도 없냐? 새파랗게 젋은 것이 ... 우리의 문화적 이해

인생주기란?

통과의례란?

결혼은?

사랑 - 현대 서구화 된 사람들에게 아주 중요한 요소이지만, 문화적으로 사랑

이 결혼의 전제 조건이 아닌 경우도 많다.

성경은 누구랑 결혼하라고 말씀하는가?

적응의 5 형태을 알기

생산의 3 요소와

다양한 생산 양식들을알기

생산 방식에 대한 성경적인 이해를 가지기

피드백

1. 선교인류학이란? 선교적 목적으로 (기독교적 관점에서) 관찰과 면담을 통해 사회적/문화적 존재인 인간을 이해하는 것. 그 결과, 현장에서 선교사들이 (할 수 있는대로) 복음을 자신/한국 문화의 관점에서 피선교지의 사람들에게 강요하지 않고 성경대로 전하려고 노력하고 시도하는 것!

2. 자녀가 많을수록 성경적인가? 그리고 우리가 따라야 하는가?

3. 조모임! 조발표 시간을 조금 드려 죄송! 그래서 수업 순서를 바꿨습니다.

부담이 크다 vs 많이 배워서 유익하다.

싼 것이 비지떡이다. You get what you paid for!

4. 정보의 분석과 이해의 방법이 가장 중요한가?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그리고 그들의 관점에서 수집하는 것이 가장 중요!

지속적으로 해야 할 일!

5. 사랑해서 결혼한다!에 대한 질문이 다소 충격적으로 느껴졌다면,

교수의 소기의 목적은 달성했습니다.

"익숙한 것을 낯설게, 낯선것은 익숙하게"

첫째, 기독교인에게 가장 적합한 생산은 무엇인가?

둘째, 위에서 언급한 생산의 형태 중 다른 것들에 비해 더 기독교적인 것은 무엇인가?

셋째, 생육하고 번성하라고 말씀하신 하나님의 명령에 부합한 우리의 반응은 무엇인가?

Mission Anthropology Week 6

지난 주에 여러분이 이런

의견을 주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