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구조

섬유

신장시 일차(Ia)섬유의 기능

기능적특성

역할

실질적 예

GTO란!

구조

기전

예시!!

+++++스트레칭기전&유연성증진지침!+++++

이상으로 근방추&GTO 관련 REPORT를 마치겠습니다.

미숙한점 보완해야할점 가르쳐주시면 보안하도록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NBPT 화이팅!

근방추 & GTO

GTO란

Golgi tendon organ 의 줄인말로

근 긴장의 증가에 반응합니다. 한 근육의 양쪽 끝에 있는 건 속에 위치해 있는 이 기관은 지나치게 강한 수축에 브레이크를 거는 역할을 합니다. 어떤 근육은 너무 강해서 만약 너무 많은 근섬유가 동시에 수축하면 그 근육이 손상될 수가 있습니다. 골지건기관은 근육수축을 탐지하는데, 수축이 강할수록 골지건기관의 반응도 큽니다. 이 기관의 신경충동은 척수로 전달되고 거기서 개재뉴런을 통하여 운동뉴런을 억제하게 됩니다. 요약하면, 강한 근육수축은 골지건기관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더 이상의 수축을 억제하게 되는것을 말하는것입니다!

사람들은 왜 졸때 고개를 끄덕일까?

GTO예시

:신장반사

목근육은 평소에 머리를 지탱하며긴장상태를 유지하지만 졸게되면 목근육이 이완이 되게됩니다. 이런 이완으로 머리가 앞으로 쏠리게됩니다. 이때 목근육이 지나치게 이완되게 되면 Ia,II섬유가 근육의 길이를 감지하여 근방추에 전달하고 이후근방추가 작동하여 근육이 다치지않게 수축을 하게되면서 목근육을 보호하게되면서 졸때 끄덕이는 현상이 보이는것입니다.

GTO는 평소 팔씨름중에 작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팔씨름중 이기는도중이아닌 지는도중에 GTO가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길이 변화에 대한 반응보다는 근에 주어지는 장력의 변화에 대한 반응을 감지하기때문에

과도하게 근에 장력이 주어지거나 늘어나게 되면(팔씨름중 팔이 뒤로 넘어지려는순간) 근이 빨리 반사작용을 할 수 있도록 척수로 정보를 전달하여 운동신경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근섬유의 장력을 감소시키게됩니다. 이러한 반응은 과도한 부하에 의한 상해로부터 근섬유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됩니다.

기 능 적 특 성

  • 근육의 신장 정도에 대한 정보를 중추신경계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 근 길이를 감지하는 신전 감수기로 작용하여 외력이가해졌을경우 저항하는 역할을 합니다.
  • 근육이 지나치게 늘어날 경우 신장반사를 이끌어냅니다.

여기서 신장반사란?근육이 급작스럽게 신장을 할 때 근방추에서 척수로 급격한 흥분신경을 보내어 운동신경섬유를 자극하여 근육이 다시 수축하도록 하는 반사작용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근육이 찢어질 것 같으니 특정 자극을 통해 그 근육을 자동적으로 수축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 (A) 근육이 신장되면 근방추도 신장되어 구심섬유의 흥분발사 속도가 증가합니다.
  • (B) 근육이 수축하면 구심섬유의 흥분발사 속도가 느려지고 추내근 섬유가 느슨해지면 결국 멈춥니다.
  • (C) 근육이 수축하는 동안 감마 운동뉴런이 동시에 활동하여 추내근 섬유의 양 끝을 수축시키면 중앙 부위가 팽팽해져 근육이 수축하는 동안에도 근길이의 작은 변화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G T O

골지건(GTO)기관은

근육이 힘줄과 이어지는 부분에서 힘줄의 결합조직을 뚫고 들어온 굵은 유수섬유(Ib 군)가 여러번 분지하여 아교섬유다발 주위에서 신경그물을 이루는 구조로 결합조직 피막에 싸여 있습니다.

근 방 추

  • 길이는 수 mm ~ 10 mm의 방추형 기관으로, 대개 근복의 깊숙한 곳에 근육 내 신경분지와 혈관근처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 일반 근 섬유인 추외근 섬유에 평행으로 나란히 부착되어 있습니다.
  • 근방추 속에는 2~12개의 추내근 섬유가 포함되어 있는데, 비교적 굵고 길며 가운데 핵이 모여 볼록한 핵낭 섬유와 비교적 가늘고 짧으며 핵이 흩어져 염주처럼 나란히 선 핵쇄상 섬유의 2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GTO기전!

섬유들은 방추운동섬유라불리는 운동섬유에 의해 지배되고있습니다.

근방추의 운동신경섬유는 감마운동섬유 입니다.

  • 감마 운동섬유는 근육이 짧아지고 있는동안 근방추가 수용체로서의 역할을 멈추는것을 방지하여, 근 길이 변화의 전체 영역에서 길이 변화의 정보를 전달할수있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골격근의 수축 -> 건방추의 Ib 섬유흥분 -> 골격근의 수축정보가 척수와 CNS로 전달 -> 척수전각 알파-운동뉴런에 의해 수축 억제 신호 도착 -> 알파-운동뉴런 수축된 골격근을 이완

  • 1.골지건기관( 골지힘줄기관)은 장력이 적용되어지는 건에서 발견되어진다
  • 2.감각신경은 척수로 활동전위가 전도된다.
  • 3.억제성 사이신경 시냅스는 알파운동신경세포와 시냅스를 이룬다.
  • 4.알파운동신경의 억제는 근육의 이완을 야기하고, 건에 적용되는 장력을 경감시킨다.

근방추의 구심섬유

  • 감각 신경 섬유는 Ia군 구심성 섬유와 II군 구심성 섬유로 2종류가 있습니다.
  • Ia군의 말단은 2종류의 추내근 섬유의 중앙에 나선상으로 감겨서 일차종말을 만듭니다.
  • II군은 섬유의 말단은 핵쇄상 섬유에만 그 중앙을 벗어나서 부착하여 이차종말을 만듭니다.

근육의 정적길이를 유지하고있을경우보다 동적길이를 유지하고있을경우에 일차종말섬유의 기능이 더욱 큰반응을 보인다.

  • 일차 종말은 근육 길이의 변화 속도에도 민감하게 반응한다.->근육의 신장 시 동적단계에서는 나중에 신장이 끝나고 일정한 길이에 도달했을 때 보다 더 높은 빈도의 흥분 발사를 보입니다.
  • 일차 종말은 근육길이의 변화속도에 맞춰 흥분발사의 속도가 즉각적으로 변한다.->근육길이가 짧아질 때에도 비슷한 속도 민감도를 보여, 매우 빨리 짧아질 때에는 최종 길이에 도달하기 전에 이미 흥분발사를 멈춥니다.

정적스트레칭기전

동적스트레칭기전

뻣뻣함에서 벗어나자 유연성증진지침!

신장시 이차섬유는 상대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적스트레칭은 일반적으로 반동이나 충격을 가하지 않고 근육이나 건을 천천히 늘리는 것으로 골지건기관은 근긴장도가 지속적으로 증가될 경우(적어도 6초 이상) 반응하여 근방추의 반사적 근수축을 압도하여 길항근의 반사적 이완을 유도합니다.

정적 스트레칭에서 수동적으로 주어진 길항근을 신장의 최대지점에 위치시킨 후 15-30초 동안 유지시키는 것으로 근육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데에 매우 유용하며 반복적으로 3-4회 시행합니다.

동적스트레칭은 능동적으로 사지가 전 관절가동범위(full ROM)에서 움직일 수 있는 능력으로, 근육이 스트레칭되면 근방추와 골지건기관 수용체의 반응이 척수에 전달되고 척수에서 근육으로 신호가 다시 전달되어 반사적 근수축이 일어나 신장에 저항하게 됩니다.

동적 스트레칭에서 반복적인 주동근의 수축은 길항근의 빠른 신장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축구공을 찰 때, 대퇴부의 수축은 슬와부근은 반대로 스트레칭합니다.

1) 스트레칭 전 워밍-업 운동실시

2) 근육에 통증을 야기 시키지 않는 정상범위를 넘는 과부하 필요

3) 통증이 아닌 약간 불편한 정도의 지점까지 스트레칭

4) 스트레칭되는 근육이나 관절에 맞게 운동범위를 증가

5) 정상범위에서 스트레칭 시 통증은 주의를 요한다.

6) 관절을 싸고 있는 관절낭과 인대를 지나친 스트레칭은 피한다.

7) 스트레칭 시 정상적인 호흡을 유지하고 호흡을 멈추지 말아야 한다.

8) 유연성증가를 위해서 정적 스트레칭과 PNF 스트레칭을 함께 사용 한다.

9) 동적스트레칭은 유연성이 좋은 사람이나 정적스트레칭을 함께 사용한다.

10) 스트레칭은 적게는 일주일에 3번 이상 많게는 5-6회 시행한다.

11) 스트레칭 동작 시 15-30초를 유지한다.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