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베냐민 지파에 속한 예루살렘 북동쪽

아나돗이라는 작은 마을, 제사장 집안에서 태어남

주전627-6년 ~ 예루살렘이 멸망하게 되는 시드기야 왕 11년 (주전587-6년)

사전 고려사항

1. 예레미야의 출생

2. 예레미야의 활동시기

3. 예레미야서의 형식

예레미야서에서는 매우 다양한 언어형식들이 보이는데, 이는 다양한 사람 또는 그룹들이 공동 작업을 통해

이 책의 내용을 점진적으로 집대성했음을 보여준다.

#1. 내가 너를 예언자로 세웠다.

* “나는 아이라”(1:6) : 사명에 자신이 부적당하다는 감정을 표출하고 있음

* 사명은 하나님의 손이 예레미야를 직접 만지심으로 확정되고 강화됨

* 예레미야는 첫 순간부터 개인으로서 등장한다.

(이사야와는 달리)

* “뭇 민족에게 보낼 nabi(예언자)”라는 표현은

매우 이례적이다.

* 부르심 앞에 취하는 예레미야의 태도

* 두 가지 짧은 환상장면

살구나무

윗면이 북쪽으로부터 기울어진 끓는 가마

#2. 결혼의 환희 - 바알에게로 변절 - 북방으로부터 임하는 적

* 하나님의 말씀이 예레미야에게 임한다.(2:1) “야훼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기를”

* 예레미야가 예언의 도입에서 선포-> 위임된 테마를 새로운 방식들 안에서 발전

* 이스라엘은 신들을 바꾸었다. 그것은 그 어느 백성도 하지 않은 일이다.(2:10)

* 심판과 구원의 직접적인 병렬

= 이사야서의 1~12장

거기서도 죄악, 심판의 선언, 그리고 회복의 약속이 나란히 위치한다. 이것은 심판과 구원 사이의 연결이 정경으로 인정받는 예언서의 기본적인 요소가 되는 것을 보여준다.

살구나무는 어떻게 생겼을까?

#3. 성전설교와 언약설교

* 예레미야가 공적으로 말씀을 선포하도록 하나님께서 다시 예레미야에게 요구(7:1)

* 예루살렘의 한가운데서 비판의 말씀을 선포(7:2) : 당시의 제사 관행을 날카롭게 비판

* 예레미야(=모세의 계승자)

But,이 시점에서 모세처럼 행동X

-> 바로 이 백성들의 ‘중재자’가 되는 것

을 금지

* 새로운 설교(‘언약의 말씀’)

= 11장 1절(성전설교) 동일한 도입구

#5. 탄식하는 예언자

* 거대한 언약의 설교 후 & 중보기도의 금지 이후

예레미야는 지금 자기 자신에게 이야기하기 시작

-> 예레미야의 고백 or 탄식시

[렘] 11:19 저는 도살장으로 끌려가는 순한 어린 양 같아서 그들이 나에 대해 음모를 꾸미고 있다는 것을 몰랐습니다. 그들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저 나무를 그 열매와 함께 없애 버리자. 산 자들의 땅에서 그를 죽여 버리자. 그러면 사람들이 더 이상 그의 이름을 말하지 않을 것이다."

[렘] 11:20 하지만 만군의 여호와여, 주님은 공정한 재판관이십니다. 주님은 사람들의 생각과 마음을 살피십니다. 저로 하여금 주께서 그들에게 원수 갚으시는 것을 보게 해 주십시오. 오직 주께만 제 사정을 말씀드립니다.

[렘] 11:21 그러자 여호와께서 예레미야를 죽일 계획을 세운 아나돗 사람들에 대해 이렇게 말씀하셨다. "그들은 '너는 여호와의 이름으로 예언하지 마라. 그렇지 않으면 너는 우리 손에 죽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나는 너를 회복시킬 것이다.

그들이 너에게로 돌아오게 하되, 그러나 너는 그들에게로 돌아가서는 안된다.

#6. 상징으로서의 예언자

‘이스라엘아 네가 돌아오려거든 내게로 돌아오라’.

‘너희는 각기 악한 길에서 돌이키며 너희의 길과 행위를 아름답게 하라’

1:11~14를 회상시키는 환상의 장면에서 예레미야는 두 개의 무화과나무 광주리를 본다.

토라는 이스라엘의 “마음에 기록” 될 것

새언약은 이스라엘 편에서는

하나님에 대한 완전한 지식을 의미하고

하나님 편에서는 모든 죄의 용서를 의미할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포로 된 자들을

결국 돌아오게 하실 것이고

이스라엘과 유다를 함께 모으실 것이고

그들의 땅으로 다시 돌아오게 하실 것이다.

http://www.flickr.com/photos/kkseema/2042946052

하나님과의 약속도...

토기의 깨짐과 동시에...

산산조각이 나버린 토기

예레미야

거짓예언자 하나냐 등장

여전히 회개의 가능성과 예고된 재앙의 예방이 아직은 열려있다.

예레미야가 몇몇 증인들 앞에서

아나돗에 있는 땅을 다시 사는 행위

예레미야는 바벨론 왕에게 굴복하는 것에 대항하여 다른 예언자들 사이의 관계에 갈등 현상이 발생한다.(28장)

그는 누구인가?

아나돗 $17

토기장이를

찾아라!

예레미야의

"고독"

이 상징 행위는 힌놈 골짜기

안 도벳 산당에서의 아이

희생에 대한 심판 설교와

함께 연결된다.(3-9절)

죄의 심판

이스라엘의 다가올 운명

예레미야의 소명과 관련지어,

환상에서 선포의 내용이 아주 생생하게 표현되고 연결

“상징”으로서의 예레미야의 모습들

Symbol

만약 네가 회개하면

그는 가족을 만들지 못하며(16:2-4)

"너는 결혼하지 말아야 한다.

이 곳에서 아들이나 딸을 낳지 말아야 한다."

!

잔칫집 역시 들어갈 수 없었다(8)

"너는 잔칫집에도 들어가지 마라. 거기에 앉아서 먹고 마시지 마라."

상직에 들어가는 것과 애곡이나 위로를 할 수 없다(5-7)

여호와께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예레미야야, 너는 초상집에 들어가지 마라. 가서 죽은 사람을 위해 울지도 말고, 슬퍼하지도 마라. 왜냐하면 내가 이 백성에게서 내 평화와 사랑과 자비를 거두어들였기 때문이다."

* 탄식시의 결론은 어떤 위로감 없는 탄식시로 끝이 난다.(20:14-18)

그의 대적자들은 그를 조롱한다.

“야훼의 말씀이 어디 있느냐?

이제 임하게 할지어다!”(17:15).

come

what is

BACK

?

Mission

“꿈을 꾼 예언자는 꿈을 말할 것이요 내 말을 받은 자는 성실함으로 내 말을 말할 것이라” (23:28)

#7. 하나님은 누구를 보내셨나?

#8. 바벨론의

관문 앞에서

"진실로 여호와께서 나를 보내사"

눈물의 선지자 예레미야 :(

이스라엘이

이방신을 향해 돌아섬.

First problem :

20장

바벨론

21~23:8

왕에 관한 이야기 모음집

포로로 끌려간 유대인

고향에 남게된 유다인

Second Problem:

그는

희망=회개 Repent

예레미야와 예언자들과의 논쟁에서 바벨론에게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심각한 충돌의 원인이 된다.

But!!

* 대다수의 예레미야의 말씀들은 피할 수 없는, 임박한 심판에 대한 통찰로 나타난다.

예레미야

그가 바로...

예레미야 멍에의

상징적 의미

예루살렘과 성전의 파괴, 유다 왕국의 정치적 종말이라는 가장 큰 위기의 가운데 예레미야는 그가 선언한 신적 심판을 단순히 받아들이지 않고, 계속하여 백성들이 그들의 잘못된 가르침과 운명에서 벗어나길 촉구하고 그들이 회개하길 간구하였다.

회개하여라.

#9. 미래와 희망

포로로 끌려간 유대인을 데려오시겠다는 하나님의 말씀

그는 애굽이 바벨론에 의해 멸망당할 것을 상징적 행위로 보여준다.

(43:8~13)

#11. 위기에 있는 예언자

예레미야는 이 피난민 무리에 대한 마지막 심판의 말을 전하고 그들이 전멸할 것을 예언한다.(44)

이 선포의 신빙성은 ‘상징’에 의해 확인되는데, 이 상징은 예언적 행위를 통해 이미 알려진 것으로 바벨론의 손에 의해 바로가 패한다는 것이다.(29절)

회개에 대한 요청,

그들이 회개 하지 않고 있다는 확인,

미래에 돌아올 것이라는 희망,

그리고 최종적으로 하나님 자신이 그들의 사로잡힘을 “돌이키실” 것이 되었다.

'이 모든 땅'을 느부갓네살에게!

what can

He do?

So ...

발제일 2012.05.03

바벨론인들이 점점 다가오고 있을 때,

회개의 요청대신

이제는 피할 수 없는 임박한 재난을

하나님의 심판으로써 인정하고

그들이 메어야 할 멍에처럼 받아들이라고 촉구한다.

담당교수 하경택교수님

새언약 ‡ 토라

이방민족에 대한 예언

* 새 언약은 하나님이 조상들과 맺었던 언약과 본질적으로 한 측면에서 다르다.

예레미야조

그러나

감사합니다.

solution

201101012 김현오

201101021 박승용

201101027 송초은

201101030 양동희

201101053 최유리

201101055 황동규

#10. 그리고 열방들?

그러나!!

새 언약 New Promise

그림 출처 : www. google. com

자료정리 : 김현오, 박승용, 황동규

발제지 : 양동희

프레지 : 최유리

발제자 : 송초은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