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 혼란한 남북조의 재통일 (589년)
- 대운하 건설 등의 거대 토목공사 진행
- 2대 황제인 양제 시대에 고구려 원정을 실패,
무리한 국책 사업과 전쟁에 반발한 반란으로
멸망함 (618년)
1) 통일신라
- 당나라의 빈공과에 합격한 최치원
- 인도 여행 후 '왕오천축국전'을 남긴 승려 혜초
- 청해진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해상 무역을 장악한 장보고
2) 일본
- 당나라의 과거에 합격한 '아베노 나카마로'
- '입당구법순례행기'를 남긴 승려 엔닌
3) 베트남 : 당나라의 빈공과에 합격한 크엉꽁푹, 크엉꽁푸
형제
- 수나라를 멸망시키고 건국됨
- 중국 북쪽의 강력한 유목민족인 '돌궐'을 굴복시킴
- 신라와 연합,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킴
- 당나라 서쪽의 신흥 강국 '토번(티베트)'과 대립
- 율령에 기반한 국가 체제 정비, 정복 지역에 도호부
설치
- 당나라를 중심으로 한 문화권
- 당나라의 '빈공과' 실시로 외국인 관리 채용
- 당나라 수도 장안이 세계 도시로 발전
→ 신라, 일본이 당나라에 '견당사'를 파견하여 조공
및 당의 문화를 흡수
- 중국의 한자, 유교, 불교, 율령 등이 한반도, 일본,
베트남 등으로 전파 → 동아시아 문화권 형성의 기반
1) 돌궐
- 6세기 중엽 몽골 초원을 기반으로 성장
- 중국의 북조를 압박할 정도의 군사력 지님
- 내분과 당나라의 견제 정책으로 8세기 초 멸망
2) 토번
- 7세기 초 건국되어 당나라의 서쪽 지역을 위협,
당나라에서는 화친을 위해 '화번공주'를 보내기도 함
- 9세기 중반 이후 급격히 쇠퇴
1) 중국 : 통일 제국의 등장 (수, 당)
2) 한반도 : 삼국 경쟁의 심화, 신라의
삼국통일 달성
3) 일본 : 아스카 시대의 개막과
체제 정비의 기틀 마련
1) 철기의 보급 : 화북 지역 - 한반도 - 일본 열도의
순서로 전파
2) 중국 내 농업 기술의 확산 : 화북 지역 한족 이주민이
강남 지역으로 이동, 습지를 개간
3) 한반도에서 건너간 도왜인들이 수전 농법을 포함,
농경 기술과 철기 기술을 전파
1) 백제의 의자왕 즉위 (642년)
- 숙청을 통해 왕권을 강화
- 신라의 영토를 공격하여 대야성 등을 점령
2) 고구려의 대중국 전쟁
- 중국 통일 왕조인 수나라, 당나라와 전쟁
- 수나라의 침입을 살수대첩에서 방어 (612년)
- 당나라의 침입을 안시성 전투에서 방어 (645년)
1) 쇼토쿠 태자의 섭정
- 천황을 대신해 정치 전반을 관장, 백제 우호 세력의
지지를 받음
- 군주 중심의 중앙집권 추진
- 고구려, 백제에게서 각종 문물을 수입
2) 다이카 개신(645년)과 천황 중심 국가의 성립
- 친당, 친신라 세력 vs 친백제 세력
→ 친당, 친신라 세력의 쿠데타 후 개혁 단행
- 토지와 세금 제도, 지방 행정 조직 정비
- 7세기 말 '일본' 국호와 '천황' 칭호 사용
1) 신라, 위기의 7세기
- 백제와 고구려의 협공으로 영토 상실
- 안으로는 여왕에 반대하는 내분 발생
2) 당과의 동맹, 삼국통일의 달서
- 당나라와 동맹을 성사 (648년)
- 백제(660년)와 고구려(668년)를 당나라와
함께 멸망시킴
- 당나라의 한반도 지배 야욕을 꺾음
(매소성-기벌포 전투, 67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