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 상품 및 서비스 무역 총액이 국내총생산(GDP) 3분의 2를 넘어섬

  • 과거 전통적으로 구리에 의존하는 경제구조였지만 현재 전 세계 181개국에 3910개 품목 수출하는 무역 강국

대부분의 체결국과 무역적자 심화

-> 2003년 'FTA 모라토리엄'을 선언하며 협상을 중단

FTA

교과서 P.204

2015-10-16(금)

안이성,오충현,이형주

FTA 선정 이유

FTA의 주요 내용

FTA의 확산이유

예전 한미 FTA 때나 지금 한중 FTA 때 모두 TV나 인터넷에서 관심을 받고있고 우리 모두 한번 씩은 들어봤지만 FTA가 정확히 무엇인지, 어떤 긍정적,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지 모르는 것 같아 저희도 이번을 계기로 새롭게 알아가고 알려주고자 이 주제를 선정 하였다.

① FTA가 개방을 통해 경쟁을 심화시킴으로써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는 측면에서 무역부분의 중요한 개혁 조치로 부상

② 무역 및 외국인 직접 투자의 유입이 경제성장의 원동력이라는 인식 확산과 FTA체결이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에 큰 도움이 된 사례

③ 지역주의 확산에 따라 역외 국가로서 받는 반사적 피해에 대한 대응 필요

전통적인 FTA와 개도국간 FTA는 상품분야의 무역자유화 또는 관세인하에 중점을 두었다.

WTO체제 출범을 전후하여 상품에 대한 무역철폐 외에 서비스, 투자자유화, 지적재산권, 정부조달, 무역구제제도 등 협정의 대상 범위가 점차 확대

FTA의 정의

FTA(자유 무역 협정 - Free Trade Agreement)

국가 간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을 위해 모든 무역 장벽을 완화하거나 제거하는 협정

FTA는 그동안 유럽연합(EU)이나, 북미자유무역(NAFTA)과 같이 인접 국가나 일정한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흔히 지역무역협정(RTA)이라고도 부른다.

우리나라의 FTA 체결 현황

FTA의 긍정적 효과

정부는 세계적인 FTA 확산 추세에 대응하여 안정적인 해외시장을 확보하고 우리 경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FTA를 적극 추진한 결과 칠레, 싱가포르, EFTA, ASEAN, 인도, EU, 페루, 미국, 터키, 호주 등 49개국과의 FTA 발효

  • 수입과 수출이 자유로워짐
  • 상품 시장의 규모가 크게 확장
  • 상품들을 싸고 손쉽게 구할 수 있다.

  • FTA를 체결하지 않은 나라보다 더 낮은 관세율로 가격 경쟁력을 획들할 수 있다.

FTA의 부정적 효과

  • 외국 농산물들이 무작위로 들어온다.
  • 국내 농산물들이 경쟁력을 상실

  • 경쟁력이 취약한 산업은 상대국으로부터의 수입과 외국 기업의 투자 증가로 설 자리를 잃게 된다

  • 자국 정부의 정책이 상대국의 간섭을 받을 수 있다

FTA 실패 사례

FTA 성공 사례

섣부른 FTA가 양극화를 불러온 멕시코

' 중남미 경제의 허브' 칠레

우리나라의 FTA체결 현황

1994년, 미국, 캐나다와 NAFTA를 발효

이후 EU, 일본 등 44개국과 12개의 FTA 체결

1996년, 캐나다와 첫 FTA를 맺어 다소 늦은 출발

칠레의 전략은 FTA를 통한 적극적인 개방

1994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 가입하면서 "2010년까지 무역 자유화 조치를 완료하겠다"고 선언

발효 국가 현황

※ 준비 없이 시작한 개방은 참담한 결과 초래

NAFTA 이후 양극화가 더욱 심화되는 악순환

-> 중남미 다른 국가들에 비해 지리적으로 고립되고 내수시장이 협소한 한계 극복

멕시코는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 -> 국내 중소 제조업이 무너짐 -> 농촌인구 이탈 가속화 -> 수출과 내수의 간극도 벌어짐 -> 양극화 심각

서명/타결 국가

느낀점

현재, 중남미 경제의 허브

Thank U ^O^

FTA의 성공과 실패사례

이형주:우리 주변에 존재하는 FTA같은 사회현상을 막연하게만 아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번 조사를 통해 좀 더 심도 있게 생각해 봄으로써 그 밖의 사회현상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됨.

오충현:일단 우리 스스로 조사하여 FTA에 대해 알아볼 수 있어서 좋았던 점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서로 협동하여 발표 준비하고 친구들 앞에 나와 발표하여 남들 앞에서 발표하는 능력을 기르는 기회를 가지게 되어 좋았다.

안이성:모든 사회 현상은 양면성을 띠는데 이번 조사를 통해서 장점만 보고 판단하지 않고 그 이면인 단점 또한 파악할 수 있는 시각을 기를 수 있게 되었다.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