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삼성물산
- 빌딩 주요 설비에 대한 에너지 사용량 및 장비의 효율적 운영상태를
감시 할 수 있는 S-BEMS 개발.
- 신축 건물뿐만 아니라, 기존 건물의 운영단계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를 약 5~10% 이상 절감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
운영에너지의 약 11%를 절감
현황
BEMS 사용 이후
COEX의 전기 및 가스 수요량과 탄소 배출 절감량
- 기존건물관리 시스템과 연동된 BEMS 기술을 2000년도 초반부터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
- 현재는 다양한 건물로 확대 보급되고 있으며, 신축 건물 뿐 아니라 건물의 리모델링 시 에너지 효율개선 위하여 BAS 설비교체와 함께 BEMS 기술을 적용 중
국내의 BEMS 적용 사례
1. COEX
- 최대규모의 종합단지로 연면적 792,299㎡에 설치된 방대한 설비를 효율적으로 운전하고 에너지를 절약 하기 위해 BEMS를 구축.
- 연간 에너지 비용이 4~5%절감,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10억 원 이상일 것으로 추산
BEMS
3. 포스코
- 인천 송도에 그린빌딩을 건설.
- 태양광 발전, 지열 냉난방,
진공 외단열 기술, 첨단 정보통신 기술
등 100여종이 넘는 친환경 기술이
적용
- 건물 관리에 필요한 에너지의 35%(280kW)를 자체 조달
4.한국전력(KEPCO)
- 구리 남양주를 대상으로 BEMS 시범사업 추진 계획.
- 남양주지사 사옥 옥상에 태양광발전설비(20kW)설치해 건물 내 전력 공급.
- 건물자동화시스템, 스마트분전반, 스마트계량기, EV충전기 등도 설치,적용해 냉난방 및 공조설비 제어, 대기전력 차단, 조명제어 등 에너지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설계를 통해 에너지사용10%, 피크전력 6%, 전력사용량 10% 등을 각각 절감하고 연간 12t의 온실가스
감축을 예상
정부가 BEMS 구축 비용 중
최대 3분의 1을 보조하는 정책을 통해
BEMS활성화 유도
Johnson Control사, Honeywell사,
Tridium사는 기존의 BAS에 에너지
관리 모듈을 추가하여 BEMS 시장 진출
Thank You~♡
전망 및 시사점
BEMS란?
시행되고, 건물 에너지 절약의 중요성
이 증가하면서 BEMS의 수요는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
- 전문가들은 궁극적으로 BEMS 설비제어의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적용을 확대하여 건물에너지 관리 분야에 대한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주장.
- 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는 건물 내의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면서 에너지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 건물 내 설비 시스템의 상태 감시와 자동제어를 수행
- 빌딩의 공조, 위생설비, 전기 및 조명설비, 방재설비, 안전설비 등의 건축설비를 대상으로 각종 센서, 미터 계를 통해 실내 환경이나 설비상황을 모니터링
목차
- BEMS의 정의
- 현황
- 해외 사례
- 국내 사례
- 전망 및 시사점
에너지그리드학과201311013 고은별
201311018 김정화
201311027 신정연
201311030 유상민
201311033 유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