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분해가 잘 되지 않는 물질
② 여러 번, 오래 헹궈도 남아있어 입이나 피부로 흡수된다.
③ 일부 계면활성제는 발암물질로 독성이 강하다.
④ 다른 독성물질의 흡수를 돕는다.
① 노닐페놀
- 식품위생법에서 식품 및 식품첨가물로 사용할 수 없도록 규제
② DEA(디에탄올 아민)
- 환경호르몬물질, 질산염, 니트로사인을 유도하는 발암물질
③ TEA(트리에탄올 아민)
- PH조절용, 안과질환, 모발, 피부건조증
④ 이미다졸리디닐유레아
- 접촉성 피부염, 호흡기, 피부염증을 유발
⑤ SLS(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SLES(소디움라우레스설페이트)
- 잠재성발암물질인 니트로사먼으로 전이
액체의 표면장력과 두 종류의 액체사이 or 액체와 고체사이의 계면장력을 낮추는 기능을 가진 합성물질
① 다른 계면활성제나 전해질과도 마음대로 혼합 가능
②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기포정조제
③ 기포 안정성이 좋고 피부에 대한 반응이 무해
④ 세척 작용이 우수하면서도 거품이 덜 생김
⑤ 상온에서 물에 용해, 온도가 높아지면 용해도가 감소
① 비누를 포함한 대부분의 세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② 세정력은 뛰어나고 기포형성작용 우수
③ 유분을 많이 빼앗으므로 잦은 사용은 X
1) 질소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① 첨가제(에톡시레이티드 알킬-아마이드)
- 거품제, 섬유유연제 성분
② 3차산화아민
- 거품추진제(거품목욕, 주방용 손세제, 아기용 샴푸등에 사용)
2) 지방산 에스테르
① 글리세롤 에스테르
- 식료품, 제빵, 유제품등에 사용
- 음료, 아이스크림, 마가린, 버터 등에 거품조절에 사용
② 헥시톨 및 사이클릭 언하이드로헥시톨
- 제약, 화장품, 식품의 유화제로 사용
① 황산염 - 알킬황산염 : 샴푸,치약의 기포제 성분
- 알킬 에테르 황산염 : 고급비누, 목욕크림,
샴푸의 분산제
② 술폰산염 - 도데실 벤젠 술폰산염 : 가루세제
- 단꼬리 알킬 벤젠 술폰산염 :
가루세제의 흡습성과 치약의 점도는 낮추는 기능
목차
Ⅰ.서론
- 주제선정이유
Ⅱ.본론
1. 계면활성제란?
- 계면활성제의 정의와 특성
- 표면장력과 계면활성제
- 물의 표면장력 실험
2.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성질
- 음이온계면활성제
- 양이온계면활성제
- 비이온계면활성제
- 양성계면활성제
3. 계면활성제의 위험성
- 계면활성제의 위험성
- 주의해야 할 계면활성제
① 친수기가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해리되는 부분을 모두
가지고 있음
② 등전점보다 알칼리성 용액에서는 음이온
산성용액에서는 양이온으로 작용
①아미노 프로피온산
-정전기 방지 또는 윤기가 나게 할 목적으로 사용
②이미도 프로피온산
- 직물 유연제, 화장품 및 고급비누
③4기 화합물
- 직물유연제 및 헤어린스, 부식 방지용 첨가제,
거품제,고급비누의 칼슘염 분산제
① 음전하기질에 흡착
- 분산제, 부유집진제, 아스팔트 유제의 유화제,
대부분의 코팅제, 린스
② 살균 작용
- 수술기구 소독, 소독약, 식품용기 소독
물에 계면활성제 분자가 일정 농도가 되면,
친수성인 계면활성제의 머리 부분이 물 쪽으로 노출되는 둥근 형태
기름을 좋아하는 부분
비극성
물을 좋아하는 부분
극성
계면활성제가 가지고 있는 친수성과 친유성의 상대적인 능력의 차이가 그 계면활성제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끼치게 되고, 이에 따라 계면활성제의 용도도 달라진다.
동일 분자 내에 양이온기와 음이온기 양쪽을 갖는
계면활성제이며 혹은 간단히 양쪽성 비누라고 부르고 있다.
계면활성제 중에서 물에 녹으면 전리해 계면활성을
나타내는 부분이 음이온이 되는 것을 계면활성제
떠 있는 바늘 위에 물을 몇 방울 떨어뜨렸을 때 아무 이상이 없던 것과는 달리 계면활성제가 들어있는 비눗물을 몇 방울 떨어뜨렸더니 바늘이 바닥에 가라앉았다.
휴지 1조각, 바늘, 물, 세제 혹은 비눗물, 그릇
이온화하는 원자단을 분자 중에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수용액으로 되어도 해리되지 않는 계면활성제
수용액 속에서 이온화해서 생성된 양이온 부분이 계면활성을 나타내는 계면활성제
① 물이 담긴 그릇에 휴지를 밑에 두고 바늘을 위에 둔 채
그릇에 넣는다.
② 막대기로 휴지 가장자리를 눌러 휴지만 가라앉게 한다.
③ 떠 있는 바늘에 물을 몇 방울을 넣는다.
④ 떠 있는 바늘에 세제 혹은 비눗물을 몇 방울을 넣는다.
바늘은 표면장력에 의해 뜰 수 있다.
하지만 비눗물은 물분자간의 상호작용을 방해함으로써 표면장력을 약하게 만든다.
따라서 물 표면에 일종의 막이 생겨 바늘이 가라앉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