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9강. 동아시아 문화권의 요소 (1)

율령의 형성

1) 춘추전국시대의 '법가' 사상가 등용

2) 진나라의 '율'을 중심으로 한 국가 운영

3) 한나라 : 칙령을 모아 초창기 형태의 율령 제정

4) 서진 : '율'과 '영'을 분리

5) 남북조 시대 : '격'과 '식'이 등장

율령 체제의 형성

수-당 시대의 '율령'

- 동아시아 국가의 기틀을 다지다

오늘의 학습활동 :

"법은 기본권을 제한할 수 있는가?"

1)'율'의 운영

- 5단계 : 태형 / 장형 / 도형 / 유형 / 사형

- 신분, 가족 구성원 관계에 따라 다르게 운용

2)'령'의 운영

- 중앙은 '3성 6부제', 지방은 주현제

- 균전제, 조-용-조, 부병제의 운영

- 수나라 대에 과거제 처음 실시, 당나라 대에 정착

- 여러분의 의견을 찬성 / 반대로 나누어 그 근거와

함께 구글 클래스룸에 올려주세요 :)

- (이동수업) 5반은 토요일, 8반은 화요일까지!

율령이 뭔지나

좀 알자!

- 율 : 규칙을 어기면 처벌하는 법률 (형벌 관련)

- 령 : 국가, 사회의 운영 관련 법률 (중앙제도 및 규범 등)

→ 고대 시대에 사람들을 다스리는 '전반적인 법'

율령의 확산 (1)

: 만주, 한반도

균전제의 붕괴?

1) 삼국시대 : 중앙집권체제 확립을 위한 수용

(고구려 소수림왕 / 백제 고이왕 / 신라 법흥왕)

2) 통일신라

- 집사부 중심의 중앙 정치 운영, 골품제와 연계

- 백성들의 호구, 재산을 파악한 '촌락문서' 작성

3) 발해 : 당나라의 중앙제도 '3성 6부제'를 모방,

독자적 운영

4) 고려 : 당나라 제도에서 기원한 '2성 6부제'

1) 토지는 그대로, 인구 증가 → 1인당 지급 토지 감소

2) 세금과 병역의 의무는 그대로 → 부담의 가중

3) 농민이 토지를 버리고 이탈 → 토지 황폐화 또는

사적인 장악

4) 세수 감소, 부병제의 유지가 힘들어짐 → 국방력

약화, 모병제로의 전환

1. 율령은 무엇이고 어떻게 등장하였나?

2. 율령은 수-당 시대에 어떻게 완성되었나?

3. 율령은 동아시아 각국에 어떻게 확산되었나?

4. 심화 학습 : 균전제에 대해 알아보자

율령의 확산(2) :

일본, 베트남

1) 일본

- 천황 중심의 체제 확립을 위한 '다이호 율령' 제정

- 중앙제도를 '2관 8성'으로 운영

- 균전제를 모방한 '반전수수법' 실시

2) 베트남

- 당나라의 제도를 기반으로 11세기에 제정

- 고유의 관습, 법을 따로 유지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