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몽골(원)의 통치 방식
1) 지방 통치 : '행성' 설치와 '다루가치' 파견
2) 민족 차별 정책
- 몽골인이 정치와 군사적 실권 독점
- 색목인(유럽, 서아시아, 중앙아시아인)이 정치에
참여하여 재정, 행정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
- 금의 지배 영역에 있던 화북 지역 사람들을 '한인',
남송의 지배 영역에 있던 강남 사람들을 '남인'으로
분류하여 차별 대우함
1) 남송 : 3번에 걸친 침략에 항쟁, 수도 '임안'이 함락
2) 고려
- 7차례에 걸친 몽골의 침략, 강화를 맺고 1270년에
개경으로 환도
- 독립국의 지위는 유지, 다루가치 파견 및 정동행성
설치를 통한 내정 간섭
- '자주성'을 강조하는 역사서의 편찬
(삼국유사, 제왕운기)
1) 과학기술의 전래
- 이슬람의 천문학, 역법, 수학 등이 중국으로 전래
→ '수시력'과 대포 제작에 영향, 한반도로 전파되면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와 '칠정산' 제작에 영향
- 중국의 화약, 나침반, 인쇄술이 서아시아를 거쳐서
유럽에 전파
2) 학문의 교류 : '만권당'에서 고려와 원나라의 학자가
서로 교류
3) 고려와 몽골의 풍습이 서로의 국가에서 유행
4) 일본이 원나라로부터 도자기와 동전 구입
3) 일본
- 2번에 걸친 여-몽 연합군의 일본 원정이 실패
- 이후 '신국 사상'의 확산, 몽골 방어에 대한 보상을
제대로 하지 않아 가마쿠라 막부에 대한 불만 고조
4) 베트남 (쩐 왕조)
- '쩐 흥다오'가 이끄는 베트남 군이 몽골군 격퇴
(바익당 강 전투, 1288)
- 베트남 내 민족 의식의 성장, '대월사기' 등 역사서
및 고유 문자인 '쯔놈'으로 쓰여진 문학 등장
1) 칭기즈 칸
- 13세기 초 몽골 부족을 통합, '칸'으로 즉위
- 천호-백호제와 친위대(케식)를 중심으로 활발한
정복 전쟁을 전개
- 호라즘 왕국과 서하를 정복
2) 우구데이 칸
- 칭기즈 칸의 손자 '바투'를 파견, 러시아 일대를
장악
- 금나라를 멸망시키고 고려를 침공
3) 쿠빌라이 칸
- 카라코룸 → 베이징 천도, 국호를 '원'으로 칭함
- 남송, 대리국 정복 및 고려와의 강화
1) 은, 비단 대신 지폐인 '교초' 발행, 몽골의 장악 지역
어디에서든 유통 가능
2) 다양한 종교의 유행 : 이슬람 교, 크리스트 교, 마니 교,
경교 등
3) 원거리 여행 : 로마 교황의 사절 '카르피니'의 방문,
마르코 폴로(동방견문록 집필), 이븐 바투타('여행기'
집필)
- 거대한 지역을 장악한 몽골의 정복 전쟁으로
교역로를 장악한 중소 세력이 모두 증발
- 초원길과 비단길에는 '역참'을 설치하여 통행의
편리를 보장
- 바닷길의 요지에는 '시박사'라는 해상 무역을
담당하는 기관을 설치 (취안저우, 항저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