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지리-3조-고산기후에 관한 간단한 고찰
열대고산기후의 생활양식 -식
열대고산기후의 특징
연교차가 작고
음식은 주로 감자나 밀, 보리, 옥수수, 귀리 등 고산 지역에서도 잘 자라는 작물을 주식으로 합니다.
기온의 수증기의 절대량이 부족하며,상대습도는 높고 구름과 안개가 자주 발생하며 풍속이 강한 것이 특징이며, 일사량이 많고 특히 자외선이 많습니다.
각지의 높은 산악지역 혹은 고원지역(위도 1500m 이상)에 분포하며 저위도의 고산지역은 인간이 주거하기에 매우 쾌적하여 온대기후에 가깝습니다.
고산기후는 연중 봄과 같은 날씨라 하여
상춘기후 라고도 불리웁니다.
열대고산기후의 생활양식-주
열대고산기후의 생활양식-의
고대 문명 발달(잉카/마야/아즈텍)
열대 고산기후는 상춘기후의 잇점을 배경으로 일찍부터
을 미쳤으며, 오늘날에는 신선한 공기와 선선한 기후를 바탕으로 휴양지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영향
고산 기후란?
그리고 주택이나 음식에 있어서는 다른 기후에 비해 큰 특징은 없지만
주로 돌,나무를 이용한 집이 많습니다.
고산기후는 연중 봄과 같은 상춘기후가 나타나 너무 두껍지도 너무 얇지도 않은 우리나라의 봄옷같은 옷을 입고 다닙니다.
높은 산에서 해발고도와 지형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특수한 기후를 고산기후라고 합니다.
산지의 기후를 산악기후라고 하나 고산기후는 그 중에서도 특히 높은 산에서 볼 수 있으며, 열대고산기후와 온대고산기후로 구분합니다.
남아메리카의 안데스산지와 아프리카의 아비시니아(Abyssinia)고원이 열대 고산기후의 대표적인 예이고, 로키산지와 히말라야 산지, 알프스산지는 온대 고산기후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우리가 익히 알고 배우는 일반적인 고산기후는 열대 고산기후이며 우리는 열대 고산기후에 관한 이야기를 다룰 것입니다.
남아메리카-안데스 산맥
열대고산기후의 농업
열대 고산기후의 분포지
고도 2,000 ∼ 4,000m 의 상춘 기후 지역에서는 밀, 감자, 보리 등의 작물을 재배한다
적도부근에 위치한 해발고도2500~3000m의 산맥이나 고원에 분포하고 있으며 남아메리카의 안데스산맥과 아프리카의 아비시니아고원이 대표적입니다.
ps.목축업도 했었나봅니다.
아프리카-아비시니아 고원
남미의 토종 고산동물, 야마(Llama)
고산기후 위, 고대 잉카문명의 산물- 마추픽추
우리나라 속 작은 예시
고위 평탄면
마추픽추(Machu Picchu)는 흔히 잉카제국 최후의 비밀도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건축에 사용된 돌 중에는 2천년 전의 것도 있는 등, 잉카 이전 문명이 지은 것을 보수해서 사용했다고 보는 것이 최근의 정설이다.
경작지나 건축물의 규모를 보면 거주인구는 2천명을 넘지 않았을거라고 한다.
해발 2,400m의 고지대에 누가, 언제, 어떤 목적으로 이렇게 큰 도시를 만들었을까.
우리나라의 경우는 고도가 높은 곳의 기상 관측소가 많지 않아 관측 기록에 의하여 확인하기 어렵지만 해발고도가 높은 산지에서는 저지대와 다른 기후가 나타납니다. 관측소가 있는 곳 중에는 대관령(842m)과 태백(713m) 등이 해발고도가 높은 곳으로 저지대와 확연하게 구별되는 기후가 나타납니다.
우리나라의 산지는 20세기 후반부터 교통망이 발달하면서 저지대와 구별되는 기후를 이용한 고랭지 농업과 목축업, 휴양림 등이 발달하고 있습니다.
발표를 끝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조: 김선아 박예빈 박유민 김남기 서영식 이도훈 이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