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ssion Anthropology
수업 방법 소개
본 과목 과제 소개
학습/과제조 편성
지난 주 학습 내용
Feedback
수업 방법 소개
본 과목 과제 소개
학습/과제조 편성
* 많은 학생이 기대를, 몇 학생이 기대와 걱정을,
그리고 두 학생이 걱정을 표현했음.
* Q: 선교인류학이 상황화와 어떻게 다른지?
상황화는 신학과 선교학과 인류학적 지식이 필요
* 이전에 나와 수업을 들었던 학생들에게 ...
"반가워요. 시간의 압박 때문에 말을 못 했네요."
* 솔직한 내 모습이 성적에 영향?
"적극적일 수록 성적에 유리. 하지만, 예의는 지키고"
* 주경야독의 고단함과 학습의 어려움!
"기준을 낮출 수는 없지만,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교실 밖에서도 만나고 싶어요!
"물론이죠! 선대원 412호. 여긴 떡볶이 파티 없어요?"
인류학이란 무엇인가?
인류학의 세부 영역들 알기
기독교에서 인류학을 공부하는 이유 알기
왜 선교를 할 때 인류학을 공부해야 하는지 알기
인류학 연구의 세가지 원리들 알기
* 무엇을 알아가는 것은 긴 노력이 필요
* 인간을 이해하는 것은 선교 뿐 아니라
생활에도 도움이 된다
* 타문화를 보는 관점이 성숙해지길..
* 인류학적 관찰은 들여다 봄에서 시작
* 평소에 몰랐던 문화의 중요성 느낌
* 이 과목이 성경을 잘 이해하기 위해 필요
1. 하나님이 인간을 창조하셨다.
2. 우리는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았다.
영적 존재이자 육적 존재이다
3. 우리는 하나님을 위해 존재한다.
4. 우리는 이 세상을 다스린다.
5. 하나님께 반역하고 죄를 지었고, 그 결과는 죽
음이다.
6. 하나님께서 제시하신 구원의 길을 선택할 경
우 죽음을 면하게 되었다. 이신칭의
7. 결국 사람은 천국이나 지옥에서 살게 된다.
인류학은 다른 학문과 어떻게 구별될까?
최초의 인류학자가 성경에 있다?
열두 정탐꾼 민수기 13장
느혜미야 2:11-15
인간의 사회적 측면을 연구
인간은 사회적 존재
다른 인간들과의 관계에 대해 존재
인간들의 공통점인 문화가 주 연구 대상
인류학의 세부 영역들
1. 하나님께서 문화를 통해 우리에게 말씀하시기 때문
Biological/Physical Anthropology
Paleoanthropology - 인류의 생물학적 진화
Primatology - 유인원 해부 및 행동
Human variation - 인류의 신체적 다양성
Forensic anthropology (부검)
6. 하나님의 창조의 목적을 알기 위함
2. 우리의 문화 안에서 하나님께 순종하고 따르기 위함
수업을 마치면서 정리를 해 볼까요?
다음 주에는
문화의 정의
인류학 연구방법
에 대하여 ..
배운 점
느낀 점
실천할 점
Archaeology
유물의 발굴 및 분석을 통한 인간의 과거 연구
Prehistoric archaeology – 문자 이전의 사회 연구
Historic archaeology – 문자 이후의 사회 연구
기독교에서
문화 인류학을 공부하는 이유
5. 문화가 다를 뿐 우리는 모두 그리스도의 몸
3. 우리의 문화는 변하지만 하나님의 말씀은 영원하며 불변하기 때문
※ 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어야 말씀을 이해할 수 있음
우리는 어떻게 다른 문화의 기독교인들과
조화롭게 평화롭게 살 것인가?
Anthropological Linguistics
언어와 문화의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
언어가 문화 속에서 어떻게 사용되는가?
언어가 우리의 생각과 사고와 관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어른과의 대화에서 어떤 형태의 말을 해야
하는가?
4. 예수님께서는 성육신으로서 인간의 문화 속으로 들어오셨고 우리의 문화를 배우심
Applied Anthropology
Medical anthropology – 건강, 영양, 사회 환경, 가치관과 실천 간의 상호관계
Development anthropology – 사회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
Educational anthropology – 이중언어 교육, 다문화 교육전문가 양성,
Corporate anthropology – 타문화에서의 사업시 언어, 문화 조언
※ 하나님께서는 여전히 우리의 문화 속에서 말씀하고 계시며 우리는 그 속에서 말씀을 따르고 성육신으로서 예수님을 따라가야 함
Cultural Anthropology
과거와 현재의 사회와 문화 연구
i. 특정 문화 집단을 선택하고
ii. 다양한 문화 집단을 비교하고
iii. 특정 문화 집단이나 문화를 해석하고
iv. 문화적 차이를 교육하고
선교를 하려는 사람은 왜 인류학을 공부할까?
인류학 연구의 세가지 원칙
1. 총체적으로 (Holistically)
독립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문화의 요소는 없다. 따라서, 어느 요소를 고려하거나 연구할 때, 문화의 다른 영역과 연관지어 보자
Look for connections and interrelations between things, and try to understand parts in the context of the whole.
지피지기는 백전백승
화자 중심이 아닌 청자 중심의 의사전달은 청자 이해를 반드시 요구
복음을 타문화권에 보다 효과적으로 잘 전달할 수 있음
2. 비교하며 (Comparatively)
지구상의 문화는 다양하고, 문화 인류학의 이론들은 비교적 관점에서 테스트해야 한다. 비교와 대조 없이는 어느 문화 집단의 독특성이 발견되기 힘들다.
Generalizaions about humans are likely to be mistaken unless they take the full range of cultural diversity into account.
3. 상대적으로 (Relatively)
다른 문화를 연구할 때 자신의 문화의 기준과 가치로 평가해서는 안된다.
In studying another culture, do not evaluate the behavior of its members by the
standards and values of your own culture.
인류학 연구 - 과거와 현재의 사회와 문화
(예)
한국문화 선택 → 다른 문화와의 비교 → 분석 → 응용(문화적 차이를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