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가치성
가치함축성
당위법칙
존재법칙
1. 자연 현상: 인간의 의지와 상관없이
자연법칙에 따라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모든현상
지진,
북서풍
홍수,
ex)
비,
분명한
불분명
개연성
확률성
확실성
필연성
2. 사회문화 현상: 인간의 의지와 행동에 따라
인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기우제,
댐건설,
내진설계,
강풍주의보 발령
ex)
보편성과 특수성
보편성
청소당번 1.2.3.4.7.11.12
1. 자연 현상은 인간의 의지나 가치와 무관하다.
2. 사회 문화 현상은 자연 현상과 달리 특수성을 띤다.
3. 사회 문화 현상과 자연 현상은 모두 인과관계가 존재한다.
수업 끝!!!
4. 사회 문화 현상은 존재 법칙, 자연 현상은 당위 법칙이 적
용된다.
5. 자연현상은 사회문화 현상과 달리 경험적인 자료로 연구가
가능하다.
수고하셨습니다.
6. 자연현상은 사회문화 현상에 비해 보편성이 강하다.
7. 자연현상이 원인이 되어 사회문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1교시 체육
2교시 한국사
3교시 미술
4교시 미술
5교시 법정
6교시 영어
7교시 수학
유기체
계급투쟁
1. 거시적 관점: 사회 전체와의 관련 속에서
폭넓게 탐구하는 관점
김용균
유플러스
갈등론
기능론,
관련 이론:
2. 미시적 관점: 사회를 개인들의 행위와
상호작용의 산물로 파악하는 관점
상징적 상호작용론
관련 이론:
1. 힘을 가진 세력이 일방적으로 대중을 규제한다.
2. 권력은 사회적 필요에 따라 정당하게 배분된다.
3. 현상의 본질은 구성원의 해석에 따라 달라진다.
4. 사회의 지배적인 가치는 사회 구성원들의 합의에 따라 만
들어진다.
상황정의
5. 사회 문제는 의미를 부여하는 개인이나 집단들에 의해 달
리 규정된다.
6. 사회적 행위의 동기에 대한 해석을 중시한다.
7. 사회 갈등이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라고 본다.
상황정의
8. 사회는 특정 집단의 합의에 따라 만들어진다고 본다.
9. 사회의 각 부분은 전체를 위해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
다고 본다.
10. 법은 지배집단에게 유리하게 제정된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