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mutatkozik: 

Prezi AI.

Az Ön új prezentációs asszisztense.

Minden eddiginél gyorsabban finomíthatja, fejlesztheti és szabhatja testre tartalmait, találhat releváns képeket, illetve szerkesztheti vizuális elemeit.

Betöltés...
Átirat

테일러리즘(Taylorism)과 포디즘(Fordism)

-발표자:김주현

테일러리즘(Taylorism)

정의와 의의

배경과 방식

  • 정의-과학을 생산에 적용하려는 움직임---> 목적 : 작업 과정의 능률을 최고로 높이는 것

※ 테일러리즘의 4대 원칙

① 매일 최고의 과업설정

② 표준적인 조건 설정

③ 성공에 대한 우대

④ 실패할 경우 노동자 손실

  • 의의-과학적 관리법은 이후의 현대적인 생산조직에 지대 한 영향을 미쳤다. 연쇄적인 효과가져옴

1. 노동력의 합리적 이용을 통해 생산성은 증대

2. 대량 생산이 가능, 상품 가격 하락

3. 고정 비용이 분산되는 효과-->기업의 이익 증가

4. 더 많은 임금을 지급, 양적인 풍요의 시대가 도래

테일러리즘은 미국 경제의 핵심적인 문제였던 노사 갈등에 대해 경제적인 이익을 통해 노사가 화합하는 win-win 전략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 배경-미국에서는 19세기 후반에 산업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기업규모가 증가하고 시장규모도 증가 But, 기업조직이 복잡해지면서 기업의 노동생산성이 현저하게 감소--->새로운 경영방식 필요

  • 방식-노동 과정을 시간별, 동작별로 철저히 분석하는 공정과 작업을 가장 단순한 작업으로 분해 세분화, 표준화된 동작을 노동자가 정해진 시간에 반복적으로 수행

1. 사람의 일을 단순하고 기본적인 동작으로 구분

2. 불필요한 동작을 골라낸 뒤 버림

3. 실험을 통해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 선택

4. 동작과 소요 시간을 기록한 뒤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색인화

5. 육체적 피로를 상쇄할 수 있도록, 휴식을 위해 허용되는 시간의 비율과 휴식을 취해야하는 간격을 조사하여 기록

한계

1. 인간적인 요인을 과소평가하여 인간을 마치 기계처럼 인식

2. 인간의 개성이나 잠재력은 거의 고려하지 않고, 기계적인 체계에 대한 인간의 적응능력만을 평가하고 있다.

- 작업자의 개인차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 어떤 사람들은 자신의 할당량을 채우다가 사흘만에 주저 앉음

3. 인간의 행동을 경제적 동기에만 유인되는 측면을 강조한다.

4. 인간은 작업기피를 하는 천성을 갖고 있다고 봄에따라 매일 최대작업량을 부과하여 그것을 완수하거나 아니면 직장을 떠나게 하라고 하는 권력주위를 발휘

5.상황적 요소를 고려하지 않은 부당한 일반화의 추구

생산성 극대화로 인해 근로자와 경영자 모두에게 이익이 돌아간다고 주장하나 노동자보다는 경영자에게 이익이 돌아감

테일러리즘(Taylorism)과 포디즘(Fordism)이 현대사회에 미친 영향

두 이론이 미친 영향

  • 테일러리즘(Taylorism)-테일러의 시도는 노동자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하였지만, 그가 창안한 작업조직의 원리는 경영 관리의 기본원리로 널리 확산되었다.

  • 포디즘(Fordism)-2차 세계 대전 이후 선진 자본주의 경제의 고도성장은 '포디즘'이라는 축적체계를 통한 '생산과 소비의 선순환'에 의해 가능한 것

----->'생산성 상승 -> 실질 임금의 상승->임금노동자의 소비 수요 증대->생산 .투자의 증대->생산성 상승'이라는 축적의 '선순환virtuous cycle'을 가능

두 이론과 리더십과의 관계

두 이론 모두 각각 테일러와 헨리 포드라고 하는 인물에 의해 사회의 주요한 변화를 가져왔고 이러한 사람들이 결국 당시 사회의 리더들이 되는 것이다.

포디즘(Fordism)

한계

  • 제품 생산이 소비자의 선호보다는 생산효율성에 기반한다는 점

배경과 방식

  • 배경 - 테일러리즘의 영향을 받아 2차대전 후의 싸고 풍부한 석유와 에너지에 기초한 것

  • 방식-컨베이어벨트를 활용하여 반자동화된 조립 라인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방법

---->컨베이어 벨트는 `일에 사람을 가져가는` 대신 `사람에게로 일을 가져가는` 포드의 착상을 실현시킨 생산 시스템

정의와 의의

  • 정의-조립라인 및 연속공정 기술을 이용한 표준화된 제품의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의 축적체제를 일컫는 말

  • 의의 - 임금 인상과 생산성 향상

1. 표준화된 제품을 대량생 산함으로써 제품가격의 우 위 추구

2. 임금 상승 및 소득증대로 국민의 물질적 생활수준이 향상-->자동차, 가전제품 등의 대량소비를 통해 더 높은 생활수준을 누리려는 사람들의 욕구가 상당정도 충족되었다.

3. 고용안정, 최저임금제도, 실업보험제도 등을 통해 노동계급의 생활이 안정되었다.

4. 소득분배를 상대적으로 균등화시켜 저소득층의 상대적 박탈감 약화--> 중산층이 두텁게 형성되었다.

Tudjon meg többet arról, hogyan készíthet dinamikus és magával ragadó prezentációkat a Prezi segítségé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