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제 배경 및 선정이유
2. 교육 목표
최근 디지털 산업 및 IT
기술이 많은 발전을 이루었고,
국민들은 이러한 발전으로 인해 좀 더 편안한 생활을 영위하게 되었다.
3. VDT 증후군의 정의 및 실태와 증상
VDT 증후군의 배경 및 선정이유
4. VDT 작업자의 올바른 자세와 예방법
하지만 그로 인하여 겪는 건강 문제도 분명히 존재하며, 그 중 하나로서 VDT 증후군이란
질환이 있다.
5. VDT 증후군을 완화 하는 스트레칭 요법
6. 요약 및 질의 응답
따라서 보건교육을 실시하여
지역사회의 건강증진 및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판단, 이번 보건교육의 주제로 선정하였다.
다른 증후군과는 달리 우리는 VDT
증후군은 충분히 예방하고 자가치료가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VDT 증후군의 올바른 자세와 예방법
VDT 증후군의 정의 및 실태
- 참 고 자 료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2011). 2011년 안전보건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14). 보도참고자료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
국민건강보험공단(2013). 보도참고자료
신촌세브란스병원 http://sev.iseverance.com/
- VDT 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연령별 목디스크 발병 현황
컴퓨터 사용과 관련된 건상상의 문제를 총칭하여 ‘컴퓨터 관련 질환’ 혹은 ‘VDT 증후군’이라고 부른다.
컴퓨터 작업으로 인해 발생되는 목이나 어깨의 결림 등의 경견완증후군과 기타 근골격계 증상, 눈의 피로와 이물감, 피부증상, 정신신경계증상 등을 말한다.
여기다 글을 싸지르는거지
섹스섹스 보지털
역할 분배
특히 젊은 연령층일수록 스마트폰이 더 많이 보급되고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 시 장시간 고개를 숙인 자세는 경추간판에 무리를 주어 결국 경추부 동통, 목 디스크를 일으키는 요소가 된다. 20대에서 목디스크 환자의 증가율이 높은 것은 스마트폰,컴퓨터와도 연관이 있을 것이라 추정됨.
연령별 목디스크 발병률 증가 현황
- VDT 증후군의 실태 -
자료 조사 : 이호종 외 3명
자료 분석 및 선정 : 이호종 외 3명
PPT 제작 : 공동 제작
발표 - 사회자 : 이호종
발표 - 보건교육자 1 : 김광현
발표 - 보건교육자 2 : 김상준
발표 - 보건교육자 3 : 김두겸
VDT 증후군 완화를 위한 스트레칭 요법
- 스스로 참여하는 -
VDT 증후군의 효율적인 예방
과목명 : 지역사회간호학 실습(1)
담당교수님 : 김선희 교수님
제출일 : 2015년 12월 4일
발표자 :
314206 김 광 현
-요약-
교육 목표
일반적 목표 :
- 2015년 4월 1일 부터 사무직 근로자 50% 이상이 VDT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목표 :
- 보건교육 참여자는 VDT 예방 스트레칭을 3가지 이상 숙지하고 있다.
- 보건교육 참여자는 VDT 예방법에 대해 잘 알고 있다.
- 보건교육 참여자는 VDT 예방법과 스트레칭법을 타인에게 설명해줄 수 있다.
- 질의 응답 -
Q1. VDT의 약자
Q2. VDT증후군의 증상
Q3. 예방법 3가지 이상 시범
흔히 ‘담’이라고 얘기하는 근육이 뭉치는 느낌과 요통이 생기기도 하고, 손목의 신경이 눌려져 손가락이 저리게 되거나 목, 어깨, 팔꿈치, 손목 및 손가락 등에 통증이 생기고 저린 증상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눈의 이물감, 충혈, 눈부심 등 안구건조증이나 근시 혹은 굴절 이상의 안과 질환도 생길 수 있다.
VDT 증후군의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