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체형 관리
2. 근육 강화
“ 운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참여도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다양
한 운동종목과 프로그램 등이 계획되어야 한다는 원리”
운동과 휴식의 조화
힘든 것과 쉬운 것의 조화
운동 방법의 변화
음악이나 TV를 배치하는 등의 환경적 요소의 변화
운동에 대한 흥미와 참여를 높이는데 있어 감초를 개발 및 적용
운동강도
체형관리를 위한 체력관리 요령
1) 유산소 운동의 지침(70%)
2) 근육강화 운동의 지침(30%)
Frequency(빈도): 얼마나 자주 운동을 수행하는가?
Intensity(강도): 얼마나 강도 있게 운동을 하는가?
Time(시간): 얼마나 오래 운동을 하는가?
Type(종류): 어떤 종류의 운동을 하는가?
“얼마나 힘든 혹은 센 운동인가를 나타내는 것"
운동강도는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최우선 고려사항
운동부하검사를 실시하여 VO2max, HR 등으로 강도 결정
운동부하검사를 받지 못할 경우 : 간접 측정법(220-age) 이용
자신의 목표심박수(THR)를 산출
자신의 성별, 연령, 키에 대해 통계적으로
만성퇴행성 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가장 낮은 체중을 의미
운동시간, 운동빈도, 운동기간
성인 비만율이 빠르게 증가, 성인 3명 중 1명이 비만
특히, 소아 비만율이 7년 사이 2배로 급증
3. 저체중 저근육
4. 체중 조절(비만)
“ 적용된 운동형태, 강도 및 시간 등에 따라 해당 부위의
근육 및 그와 관련된 요소에만 변화가 생긴다는 원리”
운동실천은 모든 종류의 체력적 요소를 발달시키는 것은 아님
운동 중에 사용되는 근육, 혹은 그 때 사용된 부위의 발달
동작형태에 따라 제한적으로 달성
“ 운동이라는 자극에 대하여 인체가 효과적으로 적응하기 위해
일상적인 부하보다도 더욱 높은 부하를 주어야만 체력이
발달한다는 원리”
자극이 너무 강할 경우에는 한계를 초과하여 상해발생 우려
심각한 만성피로를 초래할 가능성
점증부하의 원리를 적용
“ 시간과 부하를 가볍게 시작하여 계획적으로 늘려나가야 한다는 원리”
갑자기 강한 부하를 가하면 인체는 이상 반응
피로해지거나 상해유발
처음에는 가벼운 부하(검사 결과의 30% 이하)로 시작
점차적으로 운동의 양을 증가
점진성의 원리는 과부하의 원리를 고려하여 계단식으로 적용
“ 개인의 성별, 연령, 질병력, 과거 운동력, 체력 수준, 유전 상태,
영양상태, 직업형태, 환경적인 요인 등을 감안하여야만 안전
하고 효과적인 운동효과를 줄 수 있다는 원리”
조건이 다른 사람들에게 획일적인 프로그램은 Bad
개인의 체력수준을 측정하고 평가
개별수준에 맞는 운동형태 및 질적·양적 요소를 결정
저체중저근육 관리를 위한 체력관리 요령
1) 유산소 운동의 지침(50%)
2) 근육강화 운동의 지침(50%)
단계별 운동계획
자신이 운동하기에 가장 적절한 시간을 계획
그 시간대에 맞는 운동 프로그램을 처방 받음
일일 운동계획에는 ?
“ 운동에 의해 초래된 인체의 변화(근육량의 증가, 지방량의 감소,
유연성의 향상 등)는 훈련을 중지하면 곧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
거나 악화된다는 이론”
예방법으로는 적어도 주당 3일은 운동을 해야 하고
최소 2주 이상의 휴식기를 가져서는 안 된다.
“ 인체의 사지는 척수에서 동일 신경에 의해 지배되다가 양쪽
사지로 나누어지기 때문에 어느 한쪽 사지의 운동이 다른 쪽
사지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다는 원리”
좌측 팔 운동을 하면 우측 팔에도 어느 정도 효과를 준다.
환측(injured side) 사지고정(immobilization)에 의한
근위축(muscle atrophy) 등을 방지하고자 임상에서 사용
특이성의 원리를 반박하는 원리
“ 운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참여도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다양
한 운동종목과 프로그램 등이 계획되어야 한다는 원리”
운동과 휴식의 조화
힘든 것과 쉬운 것의 조화
운동 방법의 변화
음악이나 TV를 배치하는 등의 환경적 요소의 변화
운동에 대한 흥미와 참여를 높이는데 있어 감초를 개발 및 적용
측정결과에 따라
1. 운동형태(Type) : 기본운동, 게임운동, 레저운동
2. 운동강도(Intensity) : VO2max, HRmax, RPE(Rating of Perceived Exertion)
3. 운동시간(Time, duration) : 운동종목별 MET(kcal/kg/hr)값에 의해 계산
4. 운동빈도(Frequency) : 주당 3일, 3~5일, 혹은 7일
5. 운동기간(Period) : 4주, 8주, 12주, 연간 계획
상위 5대 요소를 정해주는 일련의 과정을 “ 운동처방 ”이라 지칭
표준의 100%에 해당하는 이상체중은 BMI*신장의 제곱(㎡)으로 산출
성인 남성은 동서양 모두 이상적인 BMI를 22
여성의 경우 동양인은 21, 서양인은 21.5를 적용
18세 이하는 연령에 따른 표준 BMI를 근거로 이상체중을 산출
이상체중 시 골격근량도 100% 이상
근육에서 골격근은 운동에 의해 가장 두드러지게 변화되기에 골격근량을 별도로 측정할 필요
체중 속에서 체지방량이 차지하는 비율과 비교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