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정의
페일 세이프란 「기계가 고장이 났을 경우, 그대로 폭주해서 사고, 재해로 연결되는 일이 없이 안전을 확보하는 기구」를 말한다. 이 경우의 안전 확보란 보통 「운전을 정지하고 게다가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것이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시스템이 거대해지고 가용성(Availability)이 시스템의 중요한 요구조건일수록 시스템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시스템의 설계 시 시스템의 가용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설계가 필요하며 그 중에서 중요한 것이 Fail-Safe라고 할 수 있다.
다음은 Fail-Safe와 함께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는 설계기법이다.
중복설계(Redundancy)
중복설계란 예비 시스템을 말한다. 주 시스템의 결함시를 대비해 보조시스템을 두는 것으로, 만약의 경우 주 시스템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 사용하지 않던 보조시스템을 작동시켜 시스템을 멈추지 않고 계속 운행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중복설계의 대표적인 예는 열차의 속도를 제한속도 이하로 자동 제어하는 차상 ATC 장치를 들 수 있다. 일부 도시철도 전동차 정비지침서에는 Fail-Safe 개념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정확히 말하면 ATC는 중복설계의 개념에 가깝다.
사진출처: NAVER
동영상출처: YouTube
핸드폰이 떨어질 때 피해가 가장 최소화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 떨어진다.
핸드폰 배터리가 임계온도 이상일때 휴대폰의 전원이 꺼진다.
인공위성의 수명이 다 했을때 현 운행중인 인공위성의 안전을 위해
지구궤도를 자동이탈하도록 설정한다.
자동차 브레이크가 고장나면 비상 깜빡이가 켜지고 자동차의 속도가 뒷차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서서히 멈춘다.
엘리베이터가 운행중 층과 층사이에서 멈출경우 가장 가까운 층으로
이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