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 스스로 교육이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교육의 대한 정의에서 가장 중요한 정의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교육의 형태에서 형식, 비형식, 무형식 중 어디게 가장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 교육의 필요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어디인가?

- 교육학 분야에서 볼 때 자신의 사역은 어디에 가장 중점이 있는가?

- 기아대책 교육 사업의 정의 목적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

- 기아대책 교육사업의 카테고리별 구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

스스로 교육이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교육의 대한 정의에서 가장 중요한 정의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 교육의 필요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어디인가?

- 기아대책 교육 사업의 정의 목적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

기아대책에서 세계관 교육을 진행한다면 어떤 식으로 가능할까요? 어떤 세계관 교육을 하고 싶으세요?

박스 a_궁극적목적ultimate goal : 복지국가의 꿈

1) 청년중앙은행제도

Salamon(1989; 14-20)의 정책수단 유형: resources approach에서는 직접적 시행(direct gov;t), 보조금(grant), 지급보증(loan guarantee), 조세감면, 규제, 공기업화 등으로 유형을 구분한다. 여러 가지 유형구분의 방식이 있으나 이 페이퍼에서는 이러한 유형구분에 따른다.

  • 복지국가를 궁극적으로 설정한다.
  • 청년정치에서 복지국가를 목표로 정책을 만들어 보자.
  • 청년이 더 이상 삶의 기본적인 요건이 충족되지 않아서 불안해하는 사회가 아니라, 교육과 복지 그리고 일자리 문제가 기본적으로 충족되었을 때부터 비로소 시작되는 복지국가의 꿈을 꾸어 보자.
  • 이것이 유토피아라면 이제 우리에게는 어떤 것이 잠정적 유토피아가 될까?

5) 청년연대임금정책-

산업별세금차별화 정책

2) 청년역량개발제도

박스 b_상황context

청년실업, 자유시장경제모델LME, 잔여주의복지모델, 청년정당과 청년노조의 정책부족

박스 e_실행

청년중앙은행제도, 청년역량인증제도, 청년고용인증제도, 청년임금인센티브제도, 청년연대임금정책-산업별세금차별화정책

  • 여러 가지 문제가 있겠지만 청년이 주체가 되지 못하게 만드는 문제들의 모든 체제의 상보성에서 나타난다.
  • 정치와 경제, 그리고 복지제도의 상보성 안에서 청년을 위한 정책이나 접근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 청년단체들이 물론 비정규직 철폐, 일자리 창출, 최저임금상승, 임금피크제 등의 정책적인 접근을 외치고 있지만 실효성 있는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 세력화에도 실패했지만, 범위의 문제에 있어서도 기존의 정쳔들을 정당으로 가입하게 하거나 청년노조에 가입하게 만드는 유인incentive을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 설령 제공한다고 해도 지속가능성의 입장에서는 단기적인 것들이 많다.

프랑케냐모델을 통한

사회적 합의주의

박스 e_실행 : 청년중앙은행제도, 청년역량인증제도, 청년고용인증제도, 청년임금인센티브제도, 청년연대임금정책-산업별세금차별화정책

여기는 교육세미나 중

박스 c_구체적목표specipic goals

청년정당 정책, 청년노조 정책을 통한 청년이 주체되기

박스 d_방법론

제도적 상보성, 부분적 CME 실현, 청년중심의 사회적합의주의(정당, 노조)

3) 청년고용인증제도

4) 청년임금인센티브제도

1) 제도적 상보성, 경제체제 → 정치체제 → 복지체제

2) LME에서 CME로 가는 잠정적 유토피아

3) 청년 사회적 합의주의(정당, 노조)

기도회

  • 여기에 모이게 하신 하나님의 은혜를 감사하며
  • 이 시간 동안 성령님의 지혜가 임하도록
  • 함께 화합하고 토론하는 가운데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도록

분과구조로 운영

  • 6개의 분과를 신설
  • 청소년개발분과 : 12~20세까지 청소년개발과 성장을 고민함.
  • 아동개발분과 : 초등교육 주로 5~12세까지의 아동개발을 고민하고 연구함.
  • 평생교육분과 : 20세 이상 성인들을 대상으로 평생교육을 연구함.
  • 세계관교육분과 : 세계관에 대한 자료 및 연구를 통해 기아대책 정신과 연결
  • 리더십분과 : 리더십이론 및 연구를 통해 교육사업에서 리더십역량 개발.
  • 미디어/지표분과 : 영상 및 미디어 기술 발전 및 지표개발 분과 통합.

2.기아대책 사업디자인 개편 장기 방향성

1. 교육학과 기아대책

토론 내용

  • 기아대책의 사업 지표 변화를 중심으로 보기
  • 장기적인 목표와 방향성을 살펴보기
  • 성과지표를 중심으로 어디에 집중해야 하는지 살펴보기
  • 교육학의 기본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 기애대책의 교육 사업의 특징을 파악한다.
  • 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을 공유한다.

2017

필리핀 기대봉사단 교육세미나

20170807-0808 / 이스트우드리치몬드호텔

Interpretive

분과 배치

평생교육분과

청소년개발분과

안 내

1. 자신이 선호하는 분과에 앉아주세요. 분과는 2일동안 계속 같은 교육과 토론을 하게 됩니다.

2. 점심식사는 호텔에서, 저녁식사는 분과별로 외부에서 드시게 됩니다.

3. 호텔 방배정은 점심식사 이후에 진행됩니다.

아동개발분과

미디어/지표 분과

리더십분과

세계관교육분과

  • 하나님의 때에 이젠 전략이 필요하다
  • 기아대책의 차별성은 어디서 나오는지 고민이 필요하다
  • 미션과 ngo의 통합이 가능하다
  • 세계관교육부터 시작해서 마을리더십/교회리더십을 키워야 한다

here and now, future

청년 비그포르스를 꿈꾸며

청년미운새끼, 새로운 주체가 되는 정치를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