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높은 산에 올라가면 기압이 낮아지므로
물의 끓는점이 낮아진다.
②높은 산에서 밥을 하면 쌀이 설익는다.
①압력솥에서는 수증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압력이 높아져 물이 100 ℃보다 높은 온도에서
끓는다.
②압력솥으로 밥을 하면 밥이 더 빨리 된다.
(1) 혼합물의 끓는점은 일정하지 않으므로
어떤 물질이 끓는 온도를 측정하면 그
물질이 순물질인지 혼합물인지 알 수 있다.
(4) 녹는점은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양에 관계없이 일정한 세기 성질이므로
물질을 구별할 수 있는 특성이다.
(1) 혼합물의 녹는점은 일정하지 않으므로
어떤 물질이 녹는 온도를 측정하면 그
물질이 순물질인지 혼합물인지 알 수 있다.
II 물질의 특성
02. 물질의 끓는 점과 녹는점
3. 혼합물의 끓는 점
3. 혼합물의 끓는점
창의력 키우기
에베레스트 산 정상에서 79 ℃에 끓는 액체를
에탄올이라고 할 수 있을까? 그 까닭은 무엇인가?
대기압이 1 기압일 때 에탄올의 끓는점은 79 ℃
이지만, 에베레스트 산 정상에서 대기압은 1 기압보다
낮으므로 에탄올은 79 ℃보다 낮은 온도에서 끓는다. 따라서 이 액체는 에탄올이 아니다.
(2) 물과 소금물의 가열 곡선
②소금물의 가열 곡선에서는
수평한 구간이 나타나지 않는다.
끓는점은 물질마다, 기압마다 다르다.
시간의 차이가 있을 뿐. 언젠가는 끓는다.
당신도 나도. 기다리면 끓는다.
(3) 생활 속 현상 - 끓는점이 높아지는 경우
2. 압력과 끓는점
(2) 생활 속 현상 - 끓는점이 낮아지는 경우
2. 압력과 끓는점
높아
낮아
(1) 외부 압력이 높아지면 끓는점이 ( )지고,
외부 압력이 낮아지면 끓는점이 ( )진다.
1. 녹는점
Ⅱ-1. 물질의 특성
①감압 용기에 뜨거운 물을
넣고 공기를 뽑아내어
압력을 낮춘다.
1. 끓는점
(5) 여러 가지 물질의 끓는점
(3) 파라-다이클로로벤젠의 가열 곡선
④ 물질에 따라
녹는점이 달라
(2) 팔미트산의 가열 곡선
②100 ℃보다 낮은 온도에서
물이 끓어 기포가 활발히
발생한다.
녹는점
(1) ( ): 고체 물질이 녹는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는 온도
②같은 물질인 경우
녹는점은 양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1. 끓는점
(3) 에탄올의 양이 다를 때 가열 곡선
①에탄올 5 mL와 에탄올 10 mL는
같은 온도에서 끓는다.
1. 끓는점
②같은 물질인 경우 끓는점은 양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Ⅱ-1. 물질의 특성
1. 끓는점
(1) ( ): 액체 물질이 끓는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는 온도
끓는점
(4) 끓는점은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양에 관계없이 일정한 세기 성질이므로
물질을 구별할 수 있는 특성이다.
2. 녹는점, 끓는점과 물질의 상태
(2) 메탄올과 에탄올의 가열 곡선
(1) 녹는점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 ) 상태이다.
고체
(4) 여러 가지 물질의 상태
(2) 녹는점과 끓는점 사이의 온도에서는 ( ) 상태이다.
액체
(3) 끓는점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 ) 상태이다.
기체
(5) 여러 가지 물질의 녹는점
고체
액체
기체
녹는점
끓는점
낮은
온도
높은
온도
3. 혼합물의 녹는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