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단순 코미디 영화로써 재미있게 보고 넘어갈 수도 있지만 영화에서 주는 교훈을 통해 우리는 앞으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집어봐야 합니다.
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가려내는 안목이 필요하다. 영화는 판타지적 요소가 첨가되었다고는 하지만 현실과 격차가 너무 큽니다. 따라서 자신이 원하는 길을 가려고 하되 그것을 현실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인내와 부조리에 굴복하는 것을 구분해야 합니다. 사람들은 보통 어떤 것이든 참고 인내하여 긍정적 결과를 얻으면 그것을 아릅답다고 합니다.
최종 개요
수정 전 개요 2.
제목 : '세 얼간이' - 우리는 우리가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있는가?
1. 서론
ㄱ. 영화 '세 얼간이'를 선택한 이유
ㄴ. 영화 소개
2. 본론
ㄱ. 문제
-현대사회의 실태
-영화 '세 얼간이' 분석
ㄴ.해결
-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한 노력
3. 결론
ㄱ. 영화 '세 얼간이' 를 통한 현대사회 인식 변화의 필요성
1. 서론
ㄱ. 영화소개
2. 본론
ㄱ. 내재적 비평
- 인물 분석과 비평
- 전개방식과 표현 방법
*뮤지컬적 요소
*다양한 영상 효과
*서사적 구조
ㄴ. 외재적 비평
-영화가 비판하는 현실
*경쟁을 부추기는 사회
*목적이 아닌 수단이 되어버린 배움
3. 결론
ㄱ. 영화에 대해 고려해볼 점
-영화의 아쉬운 점
-영화를 감상한 후 얻은 것
수정 전 개요 3
1. 서론
ㄱ. 영화소개
2. 본론
ㄱ. 내제적 비평
- 인물 분석과 비평
- 전개방식과 표현 방법
*뮤지컬적 요소
*다양한 영상 효과
*서사적 구조
ㄴ. 외제적 비평
-영화가 비판하는 현실
*경쟁을 부추기는 사회
*목적이 아닌 수단이 되어버린 배움
ㄷ. 영화의 한계
3. 결론
수정 전 개요 1
주제 : 영화를 통한 경쟁사회 비판
1. 서론
ㄱ. 영화소개
-줄거리
-감독 소개
2. 본론
ㄱ. 현대사회는 경쟁사회다.
ㄴ. 세 얼간이와 현대사회 비교
ㄷ. 비판
3. 결론
조원소개
201410880 김영렬
201410887 박초희
201410888 배영호
201410895 이수민
201410902 최현지
영화의 아쉬운 점
또 다른 한계점은 사회와 관련된 것이다. 즉, 꿈을 쫒으라는 강력한 메시지가 현실에 맞지 않다는 것이다. 물론 꿈을 쫒는 것은 아주 긍정적인 일일 것이다. 하지만 주위를 살펴보면 사회에서는 반드시 필요로 하는 직업이 있다. 쓰레기 청소부, 공중화장실 청소부 같은 사람들이 그 예인 것이다. 아마 처음부터 이런 직업들이 좋다고 팔 걷고 장래희망으로 삼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따라서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현실과 너무 큰 괴리를 형성한다고 생각한다.
ㄱ. 영화에 대해 고려해볼 점
-영화의 아쉬운 점
-영화를 감상한 후 얻은 것
영화의 아쉬운 점
먼저 이 영화는 우리에게 자신이 원하는 꿈을 좇으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려 한다. 하지만 그러한 메시지를 던지는 주체가 우리와는 별 상관이 없는 명문대 쪽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주인공인 란초는 학업에 몰두하기 보다는 친구들과 어울리며 새로운 무언가에 도전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막상 학과 1등을 석권하는 등 우리의 공감을 사기에는 관련성이 많이 없다는 생각이 드는 부분이다.
영화를 감상한 후 얻은 것
다음으로 상대적으로 만족할 수 있는 삶을 계획해야 한다는 것이다. 영화처럼 졸업 후 몇 년만에 관련분야의 최고가 되기란 하늘의 별 따는 것만큼 어렵다. 따라서 자신의 분야에서 튀지는 못하더라도 그것에 만족을 느끼고 있다면 그것을 발전시킬 도전적 정신을 유지해야 하는 것이다. 즉, 다시 말하면 다른 자신과는 맞지 않는 직업을 찾기보다는 자신이 원하는 분야에서 금전적, 명예적으로 성공할 길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영화를 감상한 후 얻은 것
영화가 비판하는 현실
영화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드러나는 현실은, 사회가 경쟁을 부추기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 요소를 극적으로 드러내는 인물은 역시 총장이다. 총장은 실패하면 짓밟힐 뿐이라는 극단적인 말을 서슴치 않으며 이상과 꿈을 현실이라는 감옥에 가두고 성공을 위해서만 달려갈 것을 강요한다.
대학교가 개인의 꿈과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공간이라는 사실을 부정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생존이라는 벽에 부딪히는 학생들의 부담감을 그들의 꿈을 스스로 무너뜨리게 만들었다. 그 결과 대학은 단지 스펙의 일종으로 취급된다. 이에 란초는 자신의 학교가 1위임을 자부하는 총장과 등수에 연연하는 학생들 앞에서 이러한 현실을 비판한다.
전개방식과 표현 방법
인도영화의 특징적인 요소 중 하나로 사건과 사건을 구분 짓고 환기하는 역할로서 사용되며 관객으로 하여금 웃음을 자아내거나 이해를 돕기 위한 수단이다. 이는 긴 러닝타임으로 인해자칫 내용을 따라가지 못하거나 지루해지는 관객들로 하여금 다시 영화에 몰입할 수 있도록 충실히 도와준다.
*뮤지컬적 요소
*다양한 영상 효과
*서사적 구조
CG를 첨가하거나 화면을 흑백필름처럼 연출하는 등의 변화를 통해 상황을 더욱 극적으로 표현했다. 예를 들어 파르한과 란초가 라주의 집에 들를 때, 라주의 가난한 집안 형편을 묘사하기 위해 색감을 없애고 화면을 흑백으로 처리했다. 이러한 영상 효과는 관객의 흥미를 끄는 요소 중 하나이다.
파르한과 라주 그리고 차투르가 란초를 찾아나서는 영화의 현재 시점과 영화의 핵심 내용인 란초 특유의 학업생활을 보여주는 과거의 시점 이 두 가지의 시점이 교차되며 내용이 전개된다. 또한 과거의 이야기에서 다시 개개인의 인물의 이야기를 보여주는 전개방식을 취하고 있다.
란초는 영화상에서 가장 비중있는 역할을 맡고 있다. 잘못된 습관이나 경쟁을 위한 교육을 특유의 재치와 열정으로 부정하고 자신의 삶을 살아갈 것을 끊임없이 주장한다.
파르한은 부모님의 기대를 등에 업고 있다는 사실 때문에 자신의 꿈인 사진작가를 포기한 채 공학자로서의 길을가야만 했다. 영화 후반에 이르러 주인공 란초에게 자극을 받은 그는 공학자의 길을 포기하고 사진작가가 되기 위해 걸음을 옮긴다.
인물소개
- 란초
- 파르한
- 라주
- 차투르
- 비루 사하스트라부떼
라주는 자신이 성공하여 가족을 부양해야 한다는 부담감에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이 때문에 새로운 도전에 뛰어들기 보다는 안정을 찾고 있으며, 현실에 안주하길 바라고 있다.
란초와는 정반대의 신념을 가진 인물로 경쟁사회 속에서 개인의 성공만을 보고 달리는 이기적인 현대인을 대표한다. 차투르는 배움에 대한 열정보다는 최고를 위해 공부하며, 어떤 것을 이해하기보다 외워서 해결하려는 기계적인 모습을 보인다.
그는 신입생들 앞에서 “인생은 마라톤이다. 빨리 달리지 않으면 패배할 뿐이다.” 란 말을 하면서 인생을 ‘레이스’로서 강조하며 1등을 하지 못하면 그것은 곧 패배라고 여기는 사람이다.
천재들만 간다는 일류 명문대 ICE,
성적과 취업만을 강요하는 학교를 발칵 뒤집어 놓은 대단한 녀석 란초! 아버지가 정해준 꿈, `공학자`가 되기 위해 정작 본인이 좋아하는 일은 포기하고 공부만하는 파파보이 파르한! 찢어지게 가난한 집, 병든 아버지와 식구들을 책임지기 위해 무조건 대기업에 취직해야만 하는 라주! 친구의 이름으로 뭉친 `세 얼간이`! 삐딱한 천재들의 진정한 꿈을 찾기 위한 세상 뒤집기 한판이 시작된다!
모두다 외쳐봐! 알 이즈 웰...알 이즈 웰...
1. 감독소개
라지쿠마르 히라니
라지쿠마르 히라니
- 1962년 11월 20일생
- 2010년 필름페어 어워즈에서 최우수 감독상 수상
- 인도 국제 영화제에서 최우수 감독상 수상
-영화 세 얼간이, 에클라비아 - 더 로열 가드, 파리니타 등의 영화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