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kg·℃
비열 계산하는 방법을 알고 싶어!!
열량은 온도가 서로 다른 두 물체가 접촉했을때,
높은온도에서 낮은온도로 이동한 열의 양을
열량이라 합니다.
바다!
여름!
해수욕장!
모래!
높은 온도의 물체가 잃은 열량
표로 정리를 하자면 이렇게 된다.
열
낮은 온도의 물체가 얻은 열량
=
교과서 281p
어떤 물질 1kg의 온도를 1℃ 높이는 데 필요한 열량을 비열이라고 합니다.
0.19
모래
1
수증기
0.56
콩기름
물
0.36
1℃ up!
문제가 나올시, 비열과 열량등을
구하라는 문제가 나올수 있다.
(1kg)
>
1kcal
(비열)
비열은 높을수록 온도가 느리게
올라가고,느리게 내려가지만.
낮으면 온도가 빠르게 올라가고
빠르게 내려간다.
0.5
얼음
열량(Q)
비열(C)=
질량(M) X 온도 변화(△t)
열량(Q)=질량(M) X 비열(C) X 온도 변화(△t)
(Q=mc△t)
온도가 65도, 질량이 1 kg인 구리 덩어리를 온도 20도, 질량 10 kg의 물에 넣으면 물의 온도는 어떻게 변하는가 ? (단, 구리의 비열은 0.09 Kcal/kg ℃)
두 개의 물질이 같은 물질일 경우, 질량이 클수록 비열이 크다.
다음 중 비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질량이 같은 물질은 비열도 같다.
② 비열은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③ 물1 kg의 비열은 물2 kg의 비열보다 작다.
④ 물체의 온도를 1 ℃ 높이는 데 필요한 열량이다.
⑤ 같은 열량을 가하였을 때 비열이 큰 물질일수록 온도 변화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