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2-1. 행성의 운동

부제: 니가도니? 내가도니?

내행성 관측

오해 1. 행성의 표면 온도는 태양에서 가까울수록 높다?

행성의 온도는 태양으로부터 받는 온도 뿐 아니라 그 행성의 반사도와 행성 대기 등의 영향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은 행성의 온도가 태양에 가까울수록 높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대기가 없는 수성이 낮에는 400℃까지

올라가다가 밤에는 -100℃까지 떨어지는 반면,

금성은 온실효과로 인해 온도가 500℃에 달한다.

이것만 보아도 온도가 태양과의 거리만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큰사전의 책스

지구 중심설

내행성 겉보기 운동

학습목표

1. 행성의 겉보기 운동은 지구의 운동에 의해 관찰된 현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2. 태양 중심 이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들을 알 수 있다.

부교재

1. 왕복운동

2. 최대이각

3. 관측시간,장소

프톨레마이오스가 주장

태양을 비롯한 모든 천체들이 지구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행성들의 겉보기 운동을 설명하기 위해 주전원 개념 도입.

행성의 역행운동과 내행성의 최대 이각을 설명할 수 있다.

왜 이런 관점이 필요했을까??

1. 관측시간

2. 역행운동

두개의 우주관

외행성의 겉보기 운동

태양 중심설

금성

수성

외행성 관측

바로 이것!

1543년에 코페르니쿠스가 주장

행성들이 태양을 중심으로 원궤도를 따라 움직임.

태양 중심설의 증거

1. 목성의 위성 관측

2. 금성의 위상변화

3. 별의 시차

문제점: 동일한 행성의

운동속도가 다르게 관측되는 현상을 설명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