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자민족 우월주의
자민족 우월주의란!
다른 문화를 평가할 때 자신의 문화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
즉, 해석의 중심에 자신의 문화를 놓고 다른 문화를 평가절하한다.
자민족 우월주의의 3 종류
배운 점
느낀 점
실천할 점
면담이 필요한 이유는 우리 질문의 답이 현장에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현장이란 ‘연구 대상의 사람들’이며 우리가 원하는 답은 그들에게 있다. 그리고 그 답은 우리가 생각지 못했던 것일 수도 있다.
신학은 우리의 질문의 답은 성경에 있다!
인류학은 우리의 질문에 대한 답은 현장에 있다!
현장연구(현지조사) = 참여관찰 + 면담
현지조사 = 인류학자의 통과의례
동일 문화 속의 사람들도 행동이 다양할 수 있다. 왜냐하면 ..
사회 속에서 그의 위치가 다를 수 있기에
문맥과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기에
사람마다 고유함이 있기에
문화적 기준이나 기대치가 애매모호할 수 있기에
문화적 기준이나 기대치가 변화하고 있기에
1. 공유하는
2. 사회적으로 습득한
3. 지식
4. 행동의 패턴들
사람들이 큰 오해나 설명 없이 의사소통을 하거나 교류할 수 있다는 의미
사람들이 공통의 정체성을 가진다는 의미
같은 문화 안의 사람들에게 의미있고 용납될 수 있는 방법으로 행동하도록 돕는 충분한 정보
문화적 지식- 믿음, 태도, 규칙, 세계관, 기타 정신적 현상들
문화적 지식의 5가지 요소
규범 - 특정 상황에서 특정 사람이 특정 사람에게 어떻게 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공유되는 생각과 규칙
가치 - 구성원들이 추구하는 삶의 방식에 대한 사람들의 믿음
좋은 삶이란 무엇인가? 행복이란 무엇인가?
상징 - 어떤 것을 연상시키는 물체, 행동, 대체물
실재의 범주들 - 세상을 구분하는 방법 - 토마토,
세계관 - 실재와 사건을 해석하는 방법
이것은 실재의 범주를 어떻게 분류하는가에 영향을 받음
감기/질병의 기원 - 악령 vs 면역체계의 약화,
천국과 지옥의 유무
생물학적/유전적으로 습득되는 것이 아닌
시도와 실수를 통해 배우는 것이 아닌
관찰과 모방과 대화와 추론으로 배우는 것
그래서,
A의 지식/기술을 B가 전수 받을 수 있고
문화를 물려 주는 것이 가능하고
생각과 행동을 빠르게 바꿀 수 있다.
사회적 문맥에서의 행동 -> 역할 -> 역할의 명칭 ->
사회적 기대치 -> 권리/의무
무언의 자민족 우월주의
2. 문화적 우월성
1. 외국인 혐오증
자신의 생활방식이 구태여 더 낫다고 생각하지는 않아도 "정상적"이라고 생각하고 믿는 것.
구조화된 면담이며 일정한 질문을 준비하여 차례대로 면담자에게 물어보는 방식이다. 설문지를 쓸 수도 있으며 덕분에 손쉽게 기본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정형면담은 시간이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비이성적으로 외국인을 싫어하는 정서
인종차별, 백호주의, GNP 인종차별
혼혈에 대한 배타적 정서
자신의 문화가 다른 문화보다 계몽되었고
발전하였고 문명화되었고 지적이라고 믿는 것
서구 제국주의는 유럽식 교육제도와 언어를 식민지에 이식시켰다.
바울 당시의 유교인 기독교인들의 이방출신 기독교인에 대한 태도
적잖은 한국인들의 비서구 문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 - "게을러" "더러워" "무식해"
"얼음 넣은 물"이 정상적이다.
아마도 가난해서, 얼음을 몰라서 그렇지.. 돈 있고
알면 얼음물을 마실 것이다.
"부르짖는 기도"가 정상적이다.
아직 기도하는 법을 몰라서 그렇지, 성령충만하고
기도의 깊은 체험을 하면 하지말라고 해도
데굴데굴 구르며 목 쉬어가며 기도할 것이다.
반정형 면담은 산탄총식의 질문으로 이루어진다. 적당한 틀을 가진 기본 질문으로 시작하여 그에 따른 답변을 통해 형태를 잡아나가는 방식이다. 환경과 시간이 허락된다면 세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정보를 더 자세히 캐낸다.
구체적 질문이 없으며 이 방법은 철저히 배우는 방향으로 사용된다. 막연한 질문으로 시작하며 주도권은 피면담자에게 있다. 일반적으로 비정형 면담을 통해 책이나 보고서의 10배 정도의 자료를 얻을 수 있으나 기존에 알려진 지식과는 다른 모순적인 내용이 있거나 100% 정확한 자료가 아닐 수 있다. 면담 시간이 오래걸린다는 것이 단점이다.
* 피면담자가 계속해서 말할 수 있도록 침묵을 지킨다.
* 피면담자의 말을 반복하여 확인한다.
* 대화가 지나치게 어색해지지 않도록 추임새를 넣는다.
* 좀 더 자세히 말해줄 것을 요구한다.
* 피면담자의 대답이 정확하지 않은 정보일수도 있지만 면담 중에는 믿어준다.
* 먼저 신뢰하라.
대 탐험의 시대 이후 - 새롭게 만난 인종들
- 인간과 원숭이 사이
- 노아의 후손, 잊혀진 이스라엘 민족들
자연과학의 발달
-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 (1859)
- 생물학적 진화론 --> 사회 진화론
단선적 진화론
- armchair anthropology
- 단순 -> 복잡/ 야만 -> 서구
미국, 역사적 특수주의
서재 -> 현장 / 현장 조사
영국, 기능주의
- 기능들로 문화를 설명
객관적 설명 vs 주관적 설명
인류학이란?
인류학의 세부 학문 영역들
우리가 문화 인류학을 공부하는 이유는 다음의 7가지다.
① 하나님께서 문화를 통해 말씀하심
② 우리의 문화 안에서 하나님께 순종하기 위함
③ 문화는 변하지만 하나님의 말씀은 불변하기 때문
④ 예수님께서도 우리의 문화를 배우심
⑤ 문화가 다르지만 우리는 모두 그리스도의 몸
⑥ 창조의 목적을 알기 위함
⑦ 문화를 배움으로써 타문화권 복음사역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음
인류학 연구의 3가지 원리들
총체적, 비교적, 상대적
※ 현지조사는 윤리적으로 하라. 허락을 받아라. 그리고 원하지 않으면 가명을 사용하거나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한다.
※ 고정관념을 극복하라.
※ 연구자와 피연구자 사이에 라포(신뢰와 유대감)를 형성하라.
※ 사람마다 자기 문화에 대한 정보량의 차이가 있다. 더 많이 알고 있는 사람을 찾아서 정보를 얻기 위한 시간 분배를 잘 하라.
* 기억하라
가급적 많이 기억하라.
* 기록하라
할 수 있는 만큼 최대한 써라. 특히 피면담자로부터 받았던 느낌에 대한 내용과 그가 언급했던 것 중 인상적인 말을 기록하라.
* 녹음하라
메모하면서 놓쳤던 것을 다시 들어보라.
* 같이 살면서 일상생활을 함께하는 것이 바로 참여관찰이다.
* 참여관찰을 할 때는 외부자적 관점을 가지고 마음대로 해석하지 말라. 그 안에 들어가서 내부자적 관점으로 보고 그들을 이해하라.
* 더 좋은 관찰을 위해 참여하는 것이지 참여하기 위해 관찰하는 것이 아니다. 참여가 많아지면 관찰의 시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밖에 없다. 관찰을 위한 참여임을 항상 기억하라.
* 참여관찰은 그들에게 있어서 이상적인 것과 현실적인 것을 구분하는 것을 가능하기 만든다.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려고 노력해야겠다."
"수업에 대한 이해를 확실히 하는 것이 일차적 목표"
"내가 모르고 또는 알려고 하지 않았던 관점들을 배워 새로웠다."
"관점에 따라 다른 가치관을 가지는 지를 알게 되었다."
"하나님께서 문화를 통해 말씀하시고 문화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말씀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느꼈다."
"생각보다 깊고 우리에게 가까운 학문"
"총체적, 비교적, 상대적" <- 익숙하지 않아 어렵다.
"관심을 가지고 눈과 귀를 열어 바라보는 것."
"나 스스로가 나의 문화의 틀로 다른 문화를 바라보고 있었다."
Q: 인류학적 관점에서 액츠 공동체는 어떤가?
Q: 청자의 입장으로 다문화공동체를 다 받아들여야 하나?
받아들인다의 의미?
Q: 상대 문화를 어느 정도까지 수용할지에 대한 기준?
Q: 우리 문화 안에서 하나님께 순종하는 것과 우리 문화를 기독교적으로 변화시키는 것 사이의 무슨 다른 점이 있는가?
우리 문화를 기독교적으로 변화시키려면 어떤 노력을?
Q: 우리는 문화에 영향을 받는데, 과연 우리는 문화에 영향을 끼칠 수는 없을까?
Q: Providence University College의 장학금 규모는?
Q: 동영상/조발표 과제에 대해 조금 더 설명..
Q: '신학적 관점'이 아니라면 인류학 공부 어떻게?
인류학의 발달
문화란 무엇인가?
인류학의 연구 방법인
면담의 종류, 기술, 도구에 대해 공부하기
현지조사와 참여관찰에 대해 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