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광복 3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다

이승만의 '정읍 발언'

"어차피 통일된 정부는 불가,

남한만의 정부라도 세워야!"

(1946.6.)

성과 없이 끝난

미 - 소 공동위원회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의 결정을

실천에 옮기기 위한 2번의 위원회 개최

★ 한편으로는 좌-우의 대립을 막기 위해

여운형, 김규식 등이 '좌우합작위원회' 조직

★ 미국, 영국, 소련의 외교부 장관들이

한반도 문제를 의논하다

그러나, 모두 성과 없이 끝나고

뜻을 이루지 못함...

★ 회의 내용

1. 조선에 민주주의 임시 정부를 세운다.

2. 미국 - 소련이 함께 하는 공동위원회를 설치한다.

3. 4개 국가에 의한 최고 5년의 신탁통치를 실시한다.

이에 대한 좌익(사회주의)과 우익(민족주의)의 입장은?

광복이 되고,

국가 수립을 위한

정치 단체가 생기다

김구와 남북협상

남한만의 총선거를

실시하기로 결정하다

"38선을 베고 쓰러져 죽을 지언정,

남한만의 단독선거는 막을 것이다!"

★ 북한 측과 '남북협상'을 열었으나,

결국 성과 없이 끝남

- 1945년 8월 15일 광복,

★ 여운형 : 조선 건국준비위원회 조직

★ 민족주의 진영 : 송진우 등이 정당 조직

사회주의 진영 : 박헌영 등이 정치 활동

★ 미국이 한국 문제를 UN에서 논의 →

'인구 비례하여 남북한 총선거 실시'

★ 그러나, 조사를 위해 파견된 UN 임시위원단을

소련과 북한이 입국 거부함

★ 결국, 소련이 제외된 UN 소총회에서

남한 내에서도

단독 정부수립에 반대하면서 일어난

"4.3사건"과 "10.19 여수-순천 반란"

"남한만의 단독 선거 실시" 확정

외국 군대의 주둔과

독립활동가들의 귀환

★ 38선 중심으로 남쪽은 미군, 북쪽은 소련군이 점령

★ 이승만은 미국에서, 김구는 중국에서 귀국하여

활동을 시작함

다음 사건들을 시대 순으로 알맞게 배열합니다.

- 다음 사람은 이전 사람이 쓴 답을 고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과 북한의 정부가 따로 수립되다

5.10 총선거를 통해

"대한민국 정부"가 1948.8.15. 수립

(민주공화정, 대통령 임기 4년)

북쪽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1948.9.9. 수립

(김일성이 수상 직위)

조선 건국준비위원회 설립 / 좌우합작위원회 조직 /

미국과 소련의 한반도 점령 / 모스크바 3상 회의 /

제 1차 미-소 공동위원회 / UN 한국임시위원단 방북 시도

UN 소총회에서 남한만의 단독선거 결정 / 남북협상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