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Prezi AI.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Loading…
Transcript

노화의 원인

사람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세포ㆍ조직ㆍ장기의 퇴행성 변화가 생겨 죽음에 이른다. 이렇게 탄생부터 죽음까지의 전 과정을 의미하며, 좁게는 세포의 변화, 소실, 재생능력 저하등에 의해 세포수의 감소등을 의미한다.

  • 태어날 때부터 이미 유전자에 의한 노화과정이 프로그램되어 있다는 가설이다.
  • 궁극적으로 유전자 안에 노화과정이 수록되어 있어서, 평생을 두고 이러한 유전자가 연속적으로 반응하여 노화가 일어난다는 가설이다.
  • 유전자의 기능 자체가 노화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노화방지를 위해 하는 노력들의 효과는 적다.

나이가 들수록 자유라디칼에 듸해 노화가 촉진된다는 가설이다, 생체가 방사선에 노출되거나 내부효소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프리라디칼은 단백질의 SH기와 반응해서 효소의 활동을 잃게 하여 DNA, RNA의 효소 및 세포막에 손상을 일으켜 세초가 죽게 된다. 그렇게 하여 개체가 죽는다.

연어는 알을 낳기 위해서 바다에서 하천으로 올라와 알을 낳고 죽는다. 연어는 알을 낳고 등이나 표피 등에서 변화가 일어나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변한다. 이는 호르몬으로 조작된 조직의 퇴화 현상으로 설명될 수 있다.하지만 완전히 성숙되기 전에 호르몬이 나올 수 없게 생식기를 제거하면, 이러한 노화가 늦어진다고 해서, 호르몬 , 즉 유전적 요인에 의해 노화가 결정된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노화의 환경적 요인

활성화된 유리기산소가 체내의 단백질을 산화시켜서 세포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는 가설이다.

양자의학에서는 '늙는다고 생각하는 그 자체가 노화의 주범이다' 라고 생각한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늙는다고 생각하며, 그런 생각 속에서

실제로 늙게 된다는 뜻이다.

10637 김가은

노화의 원인 1-유전적 요인

유해산소설

DNA 에러설

소모설

DNA가 RNA로 인해 전사되어 효소를 비롯한 단백질을 합성하는데

이러한 세포분열시 에러가 축적되어서 노화가 된다는 가설이다.

free radical theory

인간도 기계와 마찬가지로 사용하는 동안에 소모되어서 사용될 수 없어서 늙고 죽는다는 가설이 소모설이다.

DNA에러들은 담배, 탄 음식이나 발암물질, 공해물질, 방사능에 의해 많이 생기므로 환경에 따라 변한다.

세포의 생식능력이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생체능력이 퇴화한다. 하지만, 인채는 스스로 고치는 재생능력이 있다는 결함이 있다.

유전적 요인의 증거1

유전적 질병: 조로증

노화에 관한 유전적 질병으로는 프로게리아 증후군이나 베르너 증후군 등이 있는데, 이는 유전적 요인을 증명한다.

유전자에 개체에 대한 일정한 수명 패턴이 정해져 있던 상태에서 그것이 고장날 경우 갑자기 노화 사이클이 빨라지면서 생기는 병이다.

연어의 생태

인간의 8번 염색체에 있는 DNA헬리카제가 베르너 증후군의 원인인데, DNA헬리카제는 DNA2중나선 구조를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베르너 증후군은 이러한 헬리카제가 망가져서 발생하는 질병이다.

베르너 증후군

헬리카제의 결함으로 세포가 제대로 분열되고 재생되지 않아 사춘기때부터 노화 현상이 일어나 세포가 하나하나 죽고, 세포의 죽음이 개체의 죽음으로 이어진다.

유전적으로 결정되는 DNA헬리카제의 결함으로 생겨나는 질병이란 점에서 유전적 요인을 뒷받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생체 에너지설

생체는 태어나서부터 일정한 생체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데, 한계 에너지에 더 빨리 도달하면 더 빨리 죽고 노화가 진행되며 겨울잠과 같이 늦게 쓴다면 더 늦게 죽는다는 가설이다.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에 대해서는 동물들이 겨울잠을 자지 않고 실제 활동을 하면 빠른 시간에 있어서 죽는다는 예나, 사람이 키가 작은 사람들이 큰 사람들보다 작게 산다는 예들이 있다.

예쁜 꼬마 선충의 예

텔로미어설

유전자의 기능을 인위적으로 증가시켜서 다른 것들보다 두 배 이상 느리게 자라게 만들었다 . 이 실험의 성공으로 인위적으로 수명을 늘리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노화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노화에 대한 인식을 20명 가량의 사람에게 물어본 결과 노화가 유전적 영향으로 일어난다는 사람이나 환경적 영향으로 일어난다는 사람의 비율이 비슷했다.

노화가 환경적 영향으로 일어난다

노화가 유전적 영향으로 일어난다

47%

46%

기타 :둘다 영향을 준다

7%

유전자의 양 끝에는 유전자가 닳지 않도록 하는 텔로미어 라는 것이 있다. 텔로미어는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계속 길이가 줄어드는 특성이 있다. 체세포가 60회 이상 분열하면 텔로미어가 완전히 소실하고 염색체 구조 이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세포가 죽는다. 그러므로 텔로미어를 관찰하면 세포가 얼마나 분열했는 지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텔로미어의 길이가 짧아지며 노화가 초래된다.

노화의 정의

그 외의 노화의 원인에 대한 가설

양자의학에서 생각하는 노화

Learn more about creating dynamic, engaging presentations with Pre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