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광안대교

광안대교는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다리이며, 수영구 남천동 49호 광장과 해운대구 우동 센텀시티를 연결하는 대한민국 최대의 해상 복층 교량이다.

트러스 교에 대해서 알아보자!!

Step 1

트러스교란?

먼저, 트러스(Truss)는 몇 개의 직선 부재를 한 평면 내에서 연속된 삼각형의 뼈대 구조로 조립한 것을 말하며,

트러스를 이용한 교량을 트러스교라고 한다.

즉 트러스교는 곧은 부재를 부재 끝부분에서 마찰이 없는 힌지(hinge)로 결합한 삼각형의 뼈대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교량에 적합한 구조물로 조립한 것이다.

Step 2

트러스 구조를 성립시키기 위한 몇가지 가정

① 트러스 부재의 연결은 핀으로 연결되어 모든 부재는 축력만을 전달한다.

② 모든 하중과 반력은 트러스격점에 재하된다.

③ 모든부재는 직선이며 격점은 해당부재의 교차점에 위치한다.

④ 트러스의 축방향 변형은 미소하여 전체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Step 3

트러스교의 구성

Step 4

트러스의 종류

  • 주트러스(Main Truss) : 수직하중을 지지하고 그 하중을 하부구조로 전달하는 역할.
  • 수평브레이싱 : 양측의 주트러스를 연결하여 횡하중에 저항하는 역할
  • 수직브레이싱 : 양측의 주트러스와 상부 수평브레이싱을 연결하는 것
  • 바닥틀 : 횡형과 종형으로 구성되며 바닥판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주 트러스의 격점으로 전달.
  • 바닥판 : 가로보와 세로보의 격자구조로 지지하며 바닥판 하중은 이 격자구조를 통하여 주트러스에 전달된다.

Warren트러스

상로의 단지간에 사용. 지간 60m정도까지 적용

Step 5

우리나라의 트러스교

Howe트러스

사재가 만재하중에 의하여 인장력을 받도록 배치한 트러스

K트러스

외관이 좋지 않으므로 주트러스에는 사용않함.

2차응력이 작은 이점이 있다.

보통지간 90m이상에 적용.

이 외에도 Pratt트러스, Parker 트러스, Baltimore트러스등이 있다.

성산대교

성산대교는 서울특별시의 한강에 위치한 다리이다.

마포구 망원동과 영등포구 양평동을 잇는다.

성수대교

성수대교는 서울특별시의 한강에 위치한 다리로, 성동구 성수동과 강남구 압구정동을 잇는다.

구조물의 외관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진 최초의 교량이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