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학교폭력의 이해 및 예방
불안장애적 품행장애와 적대적반항장애
1. 학교폭력의 실태
2. 학교폭력의 이해 및 예방
1. 학교폭력의 실태
아동·청소년의 심리적 장애는 동시에 다양한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위험요인
DSM-IV 분리불안장애, 범불안장애, 공황장애, 사회공포증,
특정공포증, 강박장애,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불안으로 인한
인지적 물리적 행동적 반응을 표현
ADHD, 품행장애, 공격성과 과잉행동 등
- 양부모, 양육형태
학교폭력 예방
2. 학교폭력의
이해 및 예방
학교폭력 징후 파악하기
학교폭력의 정의 및 쟁점 유형
이해하기
위기개입 전문성·과제
진화하는 폭력
적극적 대처필요
1. 학교폭력의
실태
학교폭력 피·가해학생
심리적 특징
성별과 연령
학교폭력 발생 원인
품행장애와
적대적반항장애, 우울증
조직과 시스템
전문가 개입
피해의 징후
상담영역의
확장 요구
학교폭력전문상담기관 필요성 절실
• 학급 내 학교폭력 피해․·가해의 징후 파악하기
교사가 피해․·가해학생으로 의심되는 학생을 발견했을 때에는 학교폭력
피해․·가해학생들의 징후와 일치하는지 점검하여 확인한다.
• 가정 내 학교폭력 피해․·가해의 징후 파악하기
부모가 가정에서 자신의 학생의 행동을 점검해보도록 해야 한다. 학교에서
는 가정통신문을 발송하여 학부모가 가정에서 학생을 관찰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도움을 주어야 한다.
• 학교폭력 예방․감지 월별 계획 세우기
학교폭력 징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1년 동안 학교폭력 예방과 감지를 위
해 해야 할 것들에 대한 계획을 사전에 세우도록 한다. 아래의 ‘학교폭력 예
방․감지 월별 계획’을 벽에 붙여두고, 항상 체크한다.
- 청소년폭력예방재단 : 02-585-0098
- 학교폭력SOS지원단(전화상담) : 1588-9128
- 학교폭력긴급전화 : 1588-7179
- 청소년상담전화 : 1388
적극적, 지속적 관심 필요
폭력의 발생구조와
메카니즘에 대한 통찰 필요
개인적 관심 및 열정,헌신 의존(X)
"나만 아니면 된다." 학교폭력 방관
- 남아가 여아에 비해 품행장애의 진단기준에 더 부합
- 여아들은 남아들에 비해 감춰지고 간접적인 공격성을
나타내는 행동 문제가 많음
폭력에 대한 일상화, 관대적 문화
실제적 도움과 지원체계 강화 시급
협상과 교섭
상식과 윤리성
학교폭력 관련 전문기관 연계
이해집단
갈등해소
저연령화
대처방안마련
일상생활의 어려움 - 등교거부의 심각성
자살 충동여부의 심각성
학교폭력 이후 피해고통 호소
계급층
사이버
폭력
졸업빵
학교폭력의 둔감화 : 신종학교폭력 유형 인식 저조
건전한 상식·윤성의 원칙 요구
다양한 이해집단간의 요구와
긴장 및 갈등 수반
심각성에 대한 체감도의 지속적 증가
목적을 위한 편법적, 임기응변(X)
학생 10명 중 2명은 재학 중 피해 경험, 저연령화
학생 10명 중 2명은 재학 중 가해 경험, 저연령화
→ 다각적인 사회적 참여가
전제되어야 해결 가능
- 수업시간에 다른 학생들로부터 야유나 험담을 많이 듣는다.
- 잘못했을 때 놀리거나 비웃는 학생들이 많다.
- 체육시간, 점심시간, 야외활동시간 등에 혼자 있는 학생이 있다.
- 옷이 지저분하거나 단추가 떨어지고 구겨져 있다.
- 안색이 안 좋고 평소보다 기운이 없다.
- 친구가 시키는 대로 그대로 따른다.
- 항상 학생들이 힘겨루기를 할 때 그 상대가 된다.
- 자주 친구의 심부름을 해준다.
- 혼자 하는 행동이 많다.
- 주변 학생들한테 험담을 들어도 반발하지 않는다.
- 성적이 갑자기 떨어진다.
- 늘 청소당번을 도맡아 한다.
- 다른 학생들에게 눈치를 많이 받는다.
- 자주 지각을 하거나 몸이 아프다는 이유로 조퇴하거나 결석한다.
- 평소보다 어두운 얼굴표정으로 수심이 있어 보이고 수업에 열중하지 못한다.
- 담임교사나 교무실, 상담실 주위를 서성이거나 보건실을 찾아오는 횟수가 많다.
- 전학가고 싶다는 말을 한다.
- 수업이 시작한 후에 화장실에 가려고 한다.
- 교실에서 큰 소리를 많이 치고 반 분위기를 주도한다.
- 교사와 눈길을 자주 마주치며 수업분위기를 독점하려 한다.
- 교사가 질문할 때 다른 학생의 이름을 대면서 그 학생이 대답하게 한다.
- 교사의 권위에 도전하는 행동을 종종 나타낸다.
- 자신의 문제 행동에 대해서 이유와 핑계가 많다.
- 성미가 급하고, 충동적이다.
- 화를 잘 내고, 공격적이다.
- 친구에게 받았다고 하면서 비싼 물건을 가지고 다닌다.
- 자기 자신에 대해 과도하게 자존심이 강하다.
- 작은 칼 등 흉기를 소지하고 다닌다.
- 등하교 시 책가방을 들어주는 친구나 후배가 있다.
- 손이나 팔 등에 종종 붕대를 감고 다니거나 문신 등이 있다.
- 친구나 후배에게 돈을 빌려서 갚지 않는다.
학교폭력 피해율, 가해율의 지속 및 심각화
가해의 징후
3. 청소년폭력과
기타장애
3. 학교폭력으로 인한 기타 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