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use
Tree
Person
1948년 정신분석가 벅 (Buck, 1948)에 의해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을 토대로 개발되었다
내담자의 성격, 성숙정도, 신체, 정서, 지능 발달, 융통성 등의 통합과 현실 안에서 주어지는 문제해결 능력, 환경과의 상호작용 등 정보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어렸을 때부터 늘 가까이 접하는 대상으로 친밀감을 나타내는 측면
자유, 그 자체
억제된 감정의 표현
솔직하고 자유로운 표현
그림을 해석함에 있어서는 연령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적용할 수 있고, 현재 내담자가 겪고 있는 문제와 개인적 인 라이프 스타일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Landscape Montage Technique
HTP와 다르게 각 요소를 따로 표현하는 것이 하나의 하나의 풍경의 형태로 표현하는 것
풍경 구성법은 미술치료 혹은 그림 검사법의 하나로 1969년 중정구부 교수에 의해 창안되었다.
이 풍경구성법은 원래 정신분열증 환자를 주 대상으로 하여 모래상자 요법의 적용 가능성을 결정하는 예비 검사로 고안되었다.
1977년 독일어권 표현병리, 표현요법 학회에 발표된 후 독일, 미국, 인도네시아에서도 널리 시행됨
진단만이 아니라 치료의 도구로서도 활용되고 있다.
강, 산, 논(밭), 길, 집,
나무, 사람, 꽃, 동물, 돌
해석
(1) 강
강은 무의식의 흐름에 비유할 수 있다.
무의식에 지배되어 있는 상태의 환자는 물이 넘쳐 흐르는 그림을
그리는 경우가 많다.
강박 성향이 심한 사람이나 무의식에 대해 자아경계가 약한 사람은
강가를 돌로 쌓거나 콘크리트로 방파제를 만든 그림을 그린다.
분열증 발병기에 있는 자, 신경증 환자는 강을 너무 크게 그리거나
물의 양이 많은 강을 그리는 경우도 있다.
(2) 산
산은 그리는 사람의 주어진 상황과 앞으로의 전망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며,극복해야 할 문제의 수를 시사하는 경우도 있다.
눈앞에 우뚝 서 있거나 앞길을 막고 있는 경우는 어려움이나 장애
등이 가로 놓여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