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igo 1
1. 선과 운필의 중시
- 서화동원 사상의 반영
- 단순한 대상의 윤곽 묘사가 아닌 기운생동적 필의와 필맥 중시
2. 여백의 강조
- 의도적으로 남겨진 조형의 공간
- 절제와 함축으로 무한 공간과 운치
3. 상징성의 강조
- 형사의 재현에 앞서 내면적 정신세계를 중시하는 표현
1. 몰골법
- 대상의 윤곽선은 그리지 않고 색채나 수묵의 농담만으로 표현하는 방법
2. 구륵법
- 대상의 윤곽선을 그리고 그 안에 채색하는 방법
3. 백묘법
- 색채나 음영을 가하지 않고 먹 선으로 만 그리는 방법
1. 삼묵법
- 농묵, 중묵, 담묵으로 농담을 표현하는 방법
2. 발묵법
- 먹에 물을 많이 섞어 넓은 붓으로 윤곽 없이 그리는 기법
3. 적묵법
- 칠한 먹이 마른 후 더 짙은 먹을 이용해 층층이 겹쳐 칠 하는 방법
4. 파묵법
- 칠한 먹이 마르기 전에 겹쳐 칠하는 방법
2019
Location 1
Location 2
Location 3
1. 일상 생활의 모습을 표현한 그림
2. 시대성, 기록성, 사실성, 해학성을 반영
3. 18세기 신윤복, 김홍도, 김득신이 대표작가
- 조선시대 초기(1392-1550년경)-안견, 이상좌, 강희안
- 조선시대 중기(1550-1700년경) 김명국, 이경윤, 이정
- 조선시대 후기(1700-1850년경) 정선, 김홍도, 신윤복
-조선시대 말기(1850-1910년경) 김정희, 장승업, 홍세섭
-근대미술(1910-1945년경) 이중섭, 박수근, 김환기
-백남준- 플럭서스, TV 조각, 비디오아트, 인공위성 예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