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가. 음악과 교육과정 과목
평가
공통교육과정
일반, 진로,융합선택
(3단계 평가)
예술계열
진로,융합선택
(5단계 평가)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표
https://padlet.com/sehee0089/2022-2023-8-28-29-vfj0vehtf6t73bid/wish/2673056450
일반고에서
예술계열 과목 가져오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https://prezi.com/p/84aqbxezedqa/?present=1
https://prezi.com/p/edit/gc8gxyuvx6qs/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학년군별 내용 구성과 위계
영역 중심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무슨 차이?
역량 중심
★ 음악 교과가 가진 특수성 때문에 내용과 위계를 구분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현재→과거·현재→과거·현재·미래
*만남→음악 경험→경험 확장→경험 활용
*생활→생활,문화→세계→평생 삶 속
*기초·흥미→다양·공감→활용·협력→응용·소통
감사합니다.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마. 평가
가. 음악과 교육과정 영역 비교
음악 교과내용과 구성에 대한 개요
함께 살펴볼 내용들
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음악과 교육과정의 연관성
2. 2015개정 음악교육과정과 2022 개정 음악교육과정 비교
3. 2022 개정 음악교육과정 학습과정 설계 실습
가. 성취기준 수 비교
★ 2015 생활화 영역의 성취기준이 2022의 어디로? 녹아들었는지 찾아보자.
★ 내용 체계표의 학년군 범주별 내용 요소가 성취기준으로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분석해보자.
‘OECD Education 2030’
* 우리나라를 비롯한 29개 국가가 참여
*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탐색하고 현재 개별 국가에서 강조
하여 교육하는 역량은 무엇인가를 파악
* 국제적 수준의 의도된 교육과정이 효과적으로 학교에서 실행
될 수 있는 원칙과 교수·학습방법을 설계한 프로젝트
* 미래에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은 무엇이고, 어떠한 태도와 가치를
오늘날의 학생들에게 배양시켜 건강한 미래 사회를 준비할 수 있
는가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 개념틀이다.
https://padlet.com/music511/padlet-y3u46cpar39ybnoh
총론의 방향과 인재상
추구하는 인간상
<주도성의 세 차원>
* 개인 :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개인적 성장과 능력을 개발
* 협력 : 혼자서 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으며 복잡한 문제를
함께 해결하고 가치 있는 작업을 만들어내는 것
* 집단 : 사회 전체에 소속감을 느끼며 공유된 성과와 목적을
가지고 영향을 미치기 위해 행동하는 것
* 자기 주도적인 사람
(자주적인 사람-2015 개정)
* 창의적인 사람
* 교양 있는 사람
* 더불어 사는 사람
총론의 방향과 미래인재상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기존에 학생 개인의 능력에 치중한 것을 벗어나 더 나은 미래, 모두의 행복을 위한 공동체를 위해 함께 책임 의식을 가지고, 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를 포괄하는 역량 함양 강조
★음악교과 역량에서 지식정보처리 역량이 빠진 이유는 나머지 5가지 역량의 기본역량으로 판단하고 분류하였기 때문이다.
미래 사회를 위한 새로운 교육과정이 왜 필요한가?
최준영
2009 개정 음악교과서 감수(중학교)
2015 개정 음악교과서 심의위원
2022 개정 음악교과서 집필중(음악과 생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검토위원(평가원)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집필위원(교육부)
2018 교육부 자유학기제 컨설턴트
2017~2020. 교육부 음악과 교육과정 심의위원,
중학교 교육과정 심의위원
2020 코로나-19대응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예시자료집 집필(교육부)
2020. 음악과교육과정 재구성 예시자료집 집필위원(교육부)
(교과 내, 교과 간, 삶과 교과, 온오프)
DeSeCo 프로젝트?
2002-2010 광주교육대 음악교육과 강사
2012-2019 조선대 음악교육과, 교육대학원 강사
2020-2013 목포대 음악과, 교육대학원 강사
2005-2020 나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 예술감독
현, 한국소년소녀합창연합회 이사
2021-2023 광주음악협회 부회장
1989-2022 영산중,고등학교 교사, 수석교사
2022~ 현, 영산중학교 교감
이 우주복은 누가 만들었을까?
얼마일까?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의 약자
- '핵심역량을 정의 하고 선택하는 프로젝트'라는 뜻
*OECD는 '성공적인 삶과 잘 기능하는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어떤 역량이 필요할까?'라는 질문으로 DeSeCo 프로젝트 시작
*이 질문에 대한 답
- '앞으로의 100년 교육을 좌지우지할 것'이라고 생각
*1997년부터 2003년까지 7년의 연구 결과
- 특정 지식이나 기능보다는 여러 지식이나 기능을 지속적으로 습득
- 사회 공동체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핵심역량들을 발굴
4'13"~, 12'42" 20'00"
1965년 만화가(이정문)의 그림 한장
2019년 만화가(이정문)의 그림 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