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ychology for Everyday Life
3학년 1반 박진태,김정기,정은별
1.머피의 법칙
미국의 '머피'라는 공군 대위가 발견한 법칙이다.
원래는 '일은 항상 안 좋은 쪽으로 꼬인다. '라는 뜻이나, 일반적으로는 "바쁘거나 급할때 일이 더 꼬인다라는 기분을 느끼는 현상" 으로 쓰인다.
대표적인 예로는 꼭 지각한날에 버스를 놓치는 경우가 해당된다.
2.언더독 효과
혹시 스포츠 경기에서 강팀보다 약팀을 응원하신 적이 있으신가요?
이런 심리를 바로 "언더독 효과" 라고 하는데
강자와 약자가 대립하는 상황에서 약자가 강자를 이겨줬으면 하는 심리입니다.
드라마나 영화에서 주인공보다 주인공 친구나
카메오 역할에 더 호감을 느끼는 심리도 이에
포함됩니다.
여기서 문제!
방금 말한 언더독 효과와 머피의 법칙 중 강팀보다 약팀을 응원하게되는 심리현상은 무엇일까요?
Psychology is the study of the mind.
[by+동명사]는 ~함으로써의 의미이다.
By studying psychology, you can learn how the mind works.
간접의문문[의+주+동] 원래 '일하다' 라는뜻이나,
'작동되다'의 의미로 쓰였다.
심리학을 공부함으로써, 마음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배울수 있다.
주격 관계대명사 that which로 바꿔쓸 수 있으나,
주격 관계대명사이기 때문에 생략은 불가,
Psychology can also explain things that
happen in everyday life.
심리학은 또한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설명할 수 있다.
주격 관계대명사 that
Let's look at three situations that can
happen to all of us.
'~이 발생하다'라는 뜻의 동사 happen은 뒤에 전치사 to를
써서'~에게 일어나다'라는 표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우리 모두에게 일어날 수 있는 세 가지 상황을 보자.
be able to는 조동사 can과 같은 의미인데, will can과 같이
두 개의 조동사가 동시에 쓰일수 없으므로 can대신 be able to를 씀
Then, you'll be able to better understand yourself and other people.
주어 you와 understand의 목적어가 동일한 사람인
경우, 목적어를 재귀대명사(yourself)로 써야 한다.
그러면,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더 잘 이해할수 있을 것이다.
Don't Fail in Love Too Easily
one day는 '어느 날'의 의미로, 미래의 어느 시기나
과거의 특정한 날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One day, Tom went to an amusement park with his friend Jane.
어느날, Tom은 그의 친구 Jane과 함께 놀이공원에 갔다.
enjoy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이다.
등위접속사로, 원인을 나타내는 앞 문장과
결과를 나타내는 뒷 문장을 연결한다.
He enjoys riding roller coasters, so he got on the scariest one with her.
scary의최상급 roller coaster
그는 롤러코스터 타는 것을 즐겨서, Jane과 가장 무서운 롤러코스터를 탔다.
be ready to:~할 준비가 되다 to 뒤에는 동사원형이 옫다.
when the roller coaster was ready to go
down its track, tom's heart began to beat faster.
동사 begin 다음에는 to부정사와 동명사 모두 올 수 있다.
롤러코스터가 선로를 내려갈 준비가 되었을때 ,Tom의 심장이 더 빠르게 뛰기 시작한다.
At that moment, Tom looked at jane and thought, "I like her!
그 순간 Tom은 Jane을 보며 생각한다, "난 그녀를 좋아해!"
[should have+과거분사]:과거에 하지 않은 일에 대한
후회를 나타내는 표현이다.
Well, Tom should have thought twice.
His heart was beating fast not because of Jane.
not because of Jane은 'Jane 때문이 아니라'의 의미이다.
because of 다음에는 반드시 명사(구)가 온다.
그의 심장이 빨리 뛰었던 것은 Jane때문이 아니었다.
It ~ that 강조구문 이 문장은 The roller coaster was making his
heart beat fast.에서 the roller coaster을 강조한 문장이다.
It was the roller coaster that was making his heart beat fast.
사역동사:[make+목적어+원형부정사]
그의 심장을 빨리 하고 있었던 것은 다름 아닌 롤러코스터 였다.
여기서 깜짝 퀴즈!
Tom이 심장을 빨리 뛰게 했던것은 무엇이였을까요?
You're Just Making an excuse
the day before은 '~전날'의 의미이다.
It was the day before an important exam.
부사적 용법의 목적(in order to,so as to로도 바꾸어 쓸수 있음) for a minute: 잠시 동안(for a minute,for a second로도 바꿀 수 있음)
After dinner, Jihun turned on the TV to relax for a minute before he started studying. before은 '~전에' 라는 접속사로 쓰였다.
저녁 식사 후, 지훈이는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잠시 휴식을 취하기 위해 TV를 켰다.
[seem+목적어]:'~인 것 같다' [than usual]은 비교급 뒤에 쓰여,
'평소보다'의미를 나타낸다.
Somehow, everything on TV seemed more interesting than usual, so he just couldn’t turn it off. turn it off처럼 동사의 목적어가 대명사일
때에는 목적어가 반드시 동사와 부사 사이에 위치한다.
목적어가 대명사가 아닌 경우는, 동사와 부사 사이 또는
부사 다음, 둘중 어느 자리에 들어가도 상관 없다.
왠지 TV에 나오는 모든 것이 평소보다 더 재미있는 것 같아서 그는 TV를 도저히 끌 수가 없었다.
[on the[one's] way to+장소]:'~에 가는길에'
On the way to school the next morning, Jihun said to himself, “Why did I stay up all night and watch TV?”
say to oneself: '혼잣말을 하다'
다음 날 아침 학교가는 길에 지훈이는 혼잣말을 했다. “왜 나는 밤새 잠도 안 자고 TV를 봤을까?”
why는 이유를 나타내는 관계부사로, [전치사+관계대명사](for
which)로 바꿔 쓸 수 있다.
There’s a reason why TV became more interesting to Jihun right before his exam. become 다음에 형용사가 오면'~하게 되다'의
의미로 쓰인다.
시험 직전에 TV가 지훈이에게 더 재미있게 된 데에는 이유가 있다.
want는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이고
to make는 to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의 목적이다.
He wanted to make an excuse if he failed.
if는 '~한다면'의 의미로 조건의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이다.
그는 시험을 망치게 되면 변명을 하고 싶었던 것이다.
want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이고, to say는 to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의 목적이다.
He wanted to say, “I failed the test because I didn’t study, not because I’m not smart.”
B, not A는 'A가 아니라 b'라는 의미로,not A but B로
바꾸어 쓸 수 있다.
그는 말하고 싶었던 것이다 “나는 시험을 망쳤어. 똑똑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공부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라고
자기 불구화
지훈이는 중요한 일을 앞두고 실패했을 때 핑계를 대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스스로 불리한
상황을 만들었습니다 이를 '자기 불구화, 라고 합니다.
One afternoon, Kate was running into the classroom, and she slipped and fell
hard on the floor.
어느 날 오후, Kate는 교실 안으로 뛰어들어오다가 미끄러져 바닥에 심하게 넘어졌다.
the first thing과 she did 사이에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이 생략되어 있다.
The first thing(that)she did was to look around her. Then she just got up. to look은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이다.
그녀가 맨 먼저 한 일은 주위를 둘러 보는 것이었다. 그러고 나서 그녀는 바로 일어섰다.
Instead of는'~대신에'의 의미로 전치사 of 다음에는
명사나 동명사가 쓰인다.
Instead of feeling the pain, she just felt embarrassed.동사 feel 다음에는 형용사가
오는데,이 문장에서는 주어가 감정을 느끼는 것이므로
과거분사형 형용사가 왔다.
사역동사:[make+목적어+원형부정사] 의미는'~이 ...하게 하다,
What made Kate feel
embarrassed in this situation?
It was because she thought, "Oh, no.
Everyone saw me slip."
지각동사:[지각동사+목적어+동사원형]의 형태이다.
진행의 의미를 강조하는 경우에는[지각동사+목적어
+-ing]의 의미로 쓰기도 한다.
그것은 그녀가 아, 안돼. 내가 미끄러지는 것을 모두가 봤어.
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이 문장에서 believe는 '믿다'의 의미보다 '~이라고 생각하다' 의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명사절을 이끄는 동사 belived 다음에 접속사 that이 생략되었다.
She believed (that) everyone was paying attention
to her,but she didn't have to worry.
[don't have[need] to+동사원형은]은 '~하지 않아도 된다' 의 의미다.
그녀는 모든 사람들이 자신을 주목하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그녀는 걱정할 필요가 없었다.
most of:'~의 대부분' 뒤에 나오는 명사가 복수일 때는
동사도 복수형이 온다.
Most of her friends were busy paying attention to themselves.
[busy+-ing]:'~하느라 바쁜'
그녀의 친구들은 대부분 자기 자신에게 신경 쓰느라 바빴다.
조명효과
Kate처럼 주변 사람들이 자신을 주목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조명 효과'라 합니다.
kate처럼 주변 사람들이 자신을 주목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것을 무슨 효과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