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시민의식
삶의 공간이 개별 국가의 국경을 넘어서서 전 지구로 확대되는 현상
- 교통수단과 정보통신의 발달
- 세계무역기구(WTO)의 등장과 자유무역의 확산
- 지역 간, 국가 간 상호 의존성 심화
지역적인 것이 세계적인 차원에서 가치를 갖는 현상
세계 여러 국가에 자회사, 지점, 생산공장 등을 두고 세계적인 규모로 생산과 판매 활동을 하는 기업
<공간적 분업>
선진국 - 본사, 연구 개발 연구소
개발도상국 - 생산 공장
전 세계적으로 중심지 역할을 하는 도시
- 런던, 뉴욕, 도쿄 등 전 세계적으로 중심지 역할을 하는 도시
- 금융, 제조, 서비스 정보,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함.
- 다국적 기업의 본사, 국제 금융 업무 기능,
생산자 서비스 기능 집중
- 자본, 상품, 노동력 뿐만 아니라 문화의 이동 활발
-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
- 국가 간 분업으로 부의 총량은 증가하지만
일부 국가에만 부가 집중 됨.
- 개도국과 선진국 간의 소득격차 증가
개별 국가 안에서 빈부 격차 심화
- 문화의 상품화 및 활발한 문화교류로 다양한
문화를 접하면서 문화의 획일화 우려
보편윤리- 인간의 본성에는 누구에게나 비슷한 보편성이 있으며 이러한 근거로 인간의 존엄성이나 자유 및 평등과 같이 시대와 장소에 상관없이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보편적 가치가 존재한다는 입장
보편윤리의 입장에서 볼 때, 개인은 세계 시민으로서 인권이나 자유와 같은 보편적 가치를 무엇보다도 우선시해야 한다.
특수윤리 - 국가의 주권이나 시민의 복지를 우선시해야 한다는 주장
특수윤리는 특정한 집단 내에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가치로, 개인이 특정 국가의 시민으로서 국가의 주권이나 시민의 복지를 우선시해야 한다는 윤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