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ing
Your new presentation assistant.
Refine, enhance, and tailor your content, source relevant images, and edit visuals quicker than ever before.
Trending searches
목 차
1. 탕평 정치 등장 배경
2. 영조 탕평 정치
3. 정조 개혁 정치
4. 그 후...
5. 탕평비
탕평책(공정하고 사사로운 감정이 없음)
- 숙종 때에 박세채가 제기한 이론
- 영조와 정조 때에 본격적으로 시작
정치적 안정을 위해 국왕이 의도적으로
여러 붕당을 골고루 등용하는 정책
숙종: 노론과 소론의 대립 완화하려 시행하려 했지만 붕당 간 대립을
완화하는 데까지 이르지 못함
1. 왕권의 강화
ㄱ. 자신의 정책에 동의하는 탕평파 등용
ㄴ. 이조전랑의 권한 약화
ㄷ. 서원을 정리
2. 백성 생활의 안정
ㄱ. 균역법을 시행하여 농민 부담 감소
ㄴ. 사형수를 세 번 재판하는 삼심제 시행
ㄷ. 문물과 제도 정비(속대전, 동국문헌비고 등)
속대전
경국대전의 해석과 시행에 어려움이 많아지자, 당시 사회에 맞는 것을 보충해 편찬한 속전
속대전
경국대전의 해석과 시행에 어려움이 많아지자, 당시 사회에 맞는 것을 보충해 편찬한 속전
동국문헌비고
조선 영조 때 홍봉한이 조선의 문물제도 전반에 걸쳐 기록한 일종의 백과사전
동국문헌비고
조선 영조 때 홍봉한이 조선의 문물제도 전반에 걸쳐 기록한 일종의 백과사전
정조 [1776-1800]
- 사도세자의 아들이자, 영조의 손자
- 아버지의 사망 이후 위기를 뚫고 즉위
- 조선 임금들 중 가장 현명한 임금 중 한 명
"내 정치의 핵심은
왕권 강화와 노론 견제"
1. 강화된 탕평책
ㄱ. 정치에서 소외된 남인과 소론을 등용
ㄴ. 탕평책에 반대하는 인물도 정치 참여
2. 개혁 정책
1) 규장각
ㄱ. 창덕궁에 설치한 왕실 도서관
ㄴ. 정조의 권력과 정책을 뒷받침
2) 장용영
ㄱ. 국왕 직속의 친위부대, 한양과 수원에 설치
*문과 무의 기반을 모두 장악한 강한 임금
3. 화성(수원)
ㄱ. 정조가 건설한 계획 도시
ㄴ. 경제, 군사 활동이 모두 가능한 도시 (정약용)
"조선의 과학기술이 총동원된 과학적 건축물"
4. 서얼을 규장각의 관리로 등용하고,
자유로운 상업 활동을 허용
- 박제가, 유득공 등
- 금난전권의 폐지
금난전권? - "난전을 금지할 수 있는 권리"
5. 다양한 편찬 사업과 문물 정비
대전통편, 탁지지 등
영조와 정조께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셨음에도 불구하고.....
BUT!!!
탕평책- 왕권이 강화, 정치와 사회가 안정
BUT!!!
탕평책은 국왕이 강력한 왕권으로 붕당 간의 다툼을 일시적으로 억누른 것에 불과
"정조가 세상을 떠난 뒤에 정치 세력의 균형이 깨지면서 세도정치가 등장"
"다른 사람과 두루 친하되 편을 가르지 않는 것이 군자의 마음이요, 편을 짓기만 하고 다른 사람과 두루 친하지 못하는 것은
소인배의 사사로운 마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