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ranscript

3

정약용의 업적

1

정약용의 업적

정약용이 유배 생활때 쓴 책이

바로 목민심서이다.

내용은 수령, 관리가 걸어야 할

올바른 길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다.

윗사람으로서의 솔선수범, 청렴함 등을 강변한다.책 자체의 평가는 매우 높다.

2

정약용의 업적

청나라의 [기기도설]을 연구해

거중기와 녹로를 제작하고,

서양식 축성법을 기초로

[성제]와 [기중가설]을 만들어

수원화성 수축에 기여하였다.

10년 공사기간을 3년으로 단축할 수 있었다.

1794년 경기도 암행어사로

나가 서용보와 김용직의 비리를 고발하여 파직시키는 등 크게 활약했다.정약용이 18년 동안 유배 생활을 했던 것도 서용보가 반대했기 때문이다.

정약용은 어릴적부터

화를 내지 않고

차분한 성격이었다.

어릴적

천연두 걸렸을 때의

일화

정약용의 외가는 해남 윤씨다.

해남에 있는 [녹우당]이 해남 윤씨의 종가로, 자체적으로 장서를 수집해 [만권당]이라는 장서각을 지어놓았다.

정약용은 이곳에서 18년 유배 기간동안 학문에 몰두했다.

사회인물조사 [정약용]

발표자 : 전율

정약용에 대한 나의 생각

정약용은,

- 여러 분야의 학문에 뛰어났다.

- 성실하고 친절한 사람이었다.

- 정의감이 강한 사람이었다.

(다산)정약용

경기도

남양주 출생

(1762~1836년, 73세)

(나주 정씨)

정약용을 아끼던 정조가 세상을 떠나자 신유박해 때 형들과 함께 경북 포항에 유배되었다. 셋째 정약종은 순교를 택했다.

신유박해란, 1801년 신유년에 일어난 천주교도 박해 사건이다.

정약용은 N잡러!

작가, 시인, 교사,

지리학자, 의학자, 암행어사, 건축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