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content…
Transcript

1.새로운 시작(1)시의 아름다움

라온이 가득한 국어

'시' 에 대하여

1. 시는 노래 가사다

2. 시에는 음악적 특성이 남아있다

'시'란

때로는 나도 증발되고 싶다 - 김지향

분수처럼 흩어지는 푸른 종소리 - 박남수

3. 시인은 감정을 정확하게 전달하려고 한다

4. 시인은 독자가 시를 천천히 음미했으면 한다

학습목표

시에 나타난 비유와 상징의 표현 효과를

바탕으로 작품을 수용하고 생산할 수 있다.

학습 목표

들어가며

노란 별사탕

노란 꼬마전구

병아리떼

알람시계

개나리꽃

이것은?

포근한 봄

포근한 봄

그리고

마루에서 졸다가 깬

눈을 하고 앉은

새끼 고양이의 눈 속에도

내리는 봄눈

감았다 떴다 하는

새끼 고양이의 눈처럼

보드라운

봄 하늘

봄 하늘의 봄눈

눈이 내린다

봄이라서

봄빛처럼 포근한 눈

담장 위에 쌓이는 봄눈

나무 위에 쌓이는 봄눈

마당 위에 쌓이는 봄눈

봄눈의 이미지를 그려봅시다.

☆ 시에서 '봄눈'을 무엇에 빗대어 표현했나요?

봄빛

봄눈

고양이의 눈

☆ 그렇다면 왜 ’봄눈‘을 그렇게 빗대었을까요?

봄빛, 고양이의 눈의 포근함, 부드러움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 ’봄눈‘을 빗대어 표현한 효과를 생각해 봅시다.

'봄눈'을 '봄빛'에 비유하여 봄에 내리는 눈이 주는 포근한 느낌을 참신하게 표현하였다.

'봄눈'을 '새끼 고양이의 눈'에 비유하여 봄눈의 부드러운 느낌을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표현했다.

비유적 표현을 사용하여 포근하고 부드러운 봄눈의 느낌과 시 전체의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드러냈다.

주제/특징

주제

눈이 내리는 봄날의 아름다운 풍경

  • 봄눈이 내리는 풍경을 감각적으로 표현하여 생생하게 그려냄
  • 비유적 표현을 통해 봄눈의 부드러움을 참신하고 구체적으로 표현

특징

  • 같은 시어를 반복하여 운율을 형성하고 의미를 강조함

비유적 표현 학습

비유

종류

비유의 개념과 종류

개념

표현하려는 대상(원관념)을 다른 대상(보조관념)에 빗대어 나타내는 표현 방법

특징

원관념과 보조 관념 사이에 유사성이 있어야 함

직유

쟁반 같이 둥근 달

'같이', '처럼''-듯이'등의 연결어를 활용하여 한 대상(원관념)을 다른 대상(보조 관념)에 직접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

원관념

보조관념

은유

'가는 나이다' '가의 나' 형식으로 한 대상을 다른 대상에 암시적으로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

내 마음은 호수요

원관념

보조관념

사자가 춤을 춘다

의인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인 것처럼 표현하는 방법

비유의 효과

대상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보다 참신한 느낌을 줌

대상을 구체적 사물에 빗대어 표현하여 더욱 생생한 느낌을 줌

비유의 효과

대상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보다 참신한 느낌을 줌

효과

대상을 구체적 사물에 빗대어 표현하여 더욱 생생한 느낌을 줌

적용

가을볕 - 정진아

골목길 걷는 동안

내 등에 업힌 가을볕

동생 숨결처럼

따뜻하게 느껴지고

아랫목 할머니 품처럼

시린 어깨 감싸주고

노래를 하나 골라 가사에 담긴 비유적 표현을 찾고 그 의미를 생각해 봅시다.

기차표 운동화 - 안현미

원주시민회관서 은행원에게

시집가던 날 언니는

스무 해 정성스레 가꾸던 뒤란 꽃밭의

다알리아처럼 눈이 부시게 고왔지요

(중략)

언니따라 시집가버린

뒤란 꽃밭엔

금방 울음을 토할 것 같은

고추들만 빨갛게 익어가고 있었지요.

사진을 보고 사물에 담긴 의미를 떠올려 봅시다.

상징 도입

왜 구체적인 사물에 추상적인 의미를 담았을까요?

행운

약속, 결혼

새로운 길

내를 건너서 숲으로

고개를 넘어서 마을로

어제도 가고 오늘도 갈

나의 길 새로운 길

민들레가 피고 까치가 날고

아가씨가 지나고 바람이 일고

나의 길은 언제나 새로운 길

오늘도........내일도..........

내를 건너서 숲으로

고개를 넘어서 마을로

새로운 길

시의 내용 이해

말하는 이는 무엇을 하고 있나요?

  • 계속해서 길을 걷고 있다.

말하는 이의 태도를 생각해 봅시다.

  • 쉬지 않고 끊임없이 길을 걸어가려는 의지를 지녔다.
  • 늘 새로운 마음으로 살아가고자 한다.

시를 읽고 든 느낌을 공유해 봅시다.

  • 평화롭고 희망에 찬 느낌
  • 말하는 이가 길을 가며 다양한 존재를 만나는 상황에서 정다운 느낌이 들었다.

'길'의 의미

☆ 시에 나타난 문학적 표현과 효과를 알아봅시다.

○ 시에서 ’길‘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생각해 봅시다.

삶, 인생

1연과 5연에서 ‘내를 건너’고 ‘고개를 넘’는 것이 인생에서 좋은 일 힘든 일을 겪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3연에서 다양한 존재를 만나는 것이 살아가면서 다양한 사람을 만나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했다.

○ 시에서 '길'이라는 시어의 사용은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 ‘인생(삶)’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길’이라는 구체적인 개념으로 나타내어 머릿속에서 쉽게 떠올릴 수 있도록 도와줌.

• 상징적 표현을 통해 언제나 새로운 마음으로 인생을 살아가고자 하는 말하는 이의 의지적 태도를 강조한다.

주제

언제나 새로운 마음으로 인생(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의지

상징

상징

개념과 종류

상징의 개념과 특징

개념

표현하려는 추상적인 개념(원관념)을 직접 드러내지 않고 구체적인 대상(보조관념)으로 나타내는 표현 방법

특징

원관념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아 보조 관념의 의미를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음

원형적 상징

생명력, 재생

소멸, 죽음

역사, 문화, 종교 등에서 되풀이되어 나타남으로써 인류에게 유사한 정서나 의미를 불러일으키는 상징

관습적 상징

오랜 세월 동안 사용되면서 그 의미가 관습적으로 굳어진 상징

서구 - 평화

동양 - 절개

한 개인이 창조적인 상상력을 통해 만들어 내어 독창적인 의미로 사용하는 상징

서정주 '국화 옆에서' 국화= 누님; 원숙미

개인적 상징

우리가 쉽게 만났던 상징

교실 이삼남

나가며

꽃망울이다

청춘의

닫히지 않는 성장판이다

꽃의 속살은 움츠린 시간처럼

고요히

제각각

자라나고 있다

빅뱅 이전의 숨죽인 우주다